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학습 독자의 국어 교과서 읽기 사례 연구

        류수경 ( Su Kyeong Ryu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국어교육 Vol.0 No.1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 Reader`s Korean textbook reading in learning contexts.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voice`` and communication structure in Korean Textbook. It comes from the fact that investigating the voice in Korean textbook means to observe the textbook`s language in relation to the interrelation among multiple subjects surrounding it. This study shows when student readers read Korean textbooks, their reading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like schema, meta-cognition, engagement, teacher`s sponsorship, worrying about exams. Korean textbook is a material not only used for teaching in class but also for providing a meaningful experience of reading. And then, reading textbook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various factors like learning objective, interaction with teacher, atmosphere of classroom and social-cultural environment.

      • KCI등재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신문 매체 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 연구※ : 한자 난도와 세대에 따른 양상을 중심으로

        류수경 ( Ryu Su-kyeong ),서혁 ( Suh Hyuk ),김정우 ( Kim Jung-woo ),김은성 ( Kim Eun-sung ),정소연 ( Chung So-yeon ),권순희 ( Kwon Soon-hee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41

        본 연구는 청소년부터 중노년에 이르는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신문 매체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을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대체로 일반 독자들은 한자어 난도가 높을수록 한자어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중노년층이 다른 세대에 비해 한자어의 뜻을 이해하는 정도가 낮았고 청장년이 한자어 이해도가 가장 높았다. 청소년의 경우 한자어의 난도가 높아질수록 한자어 이해도가 큰 폭으로 줄었다. 다음으로, 대체로 한자어의 난도가 높을수록 시선의 고정 빈도가 높고 고정 시간이 길었다. 이를 세대별로 살펴보면 대체로 중노년층의 시선의 고정 빈도가 높고 고정 시간이 길었으며, 청소년의 경우 난도에 따른 고정 빈도와 고정시간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를 바탕으로 신문 매체 텍스트를 중심으로 세대별 어휘 교육과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신문 매체 텍스트 읽기 양상을 한자어의 난도와 세대별 양상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세대별 어휘 교육과 문식성 교육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는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general readers ranging from adolescents to adults to investigate their understanding of Sino-Korean words in news media texts using an eye-tracker, and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vocabulary education that improves literacy. When the difficulty level of words was higher, the rate of understanding Sino-Korean words lower. Especially, old age got lowest level. The total dwell time of pupils was longer on Sino-Korean words of a high difficulty level, and fixation was more frequent. When the difficulty level of words was higher, the revisit count and rate were also higher. This study analyzed the reading pattern of news media texts in depth, and verified the influence of difficulty levels of Sino-Korean words on text comprehension. Therefore, this is a foundational study for establishing a database for future vocabulary and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내재적 독서 동기 촉진 교수 전략에 대한 이론적 탐색 : 외적 보상이 내재적 독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류수경 ( Ryu Su-kyeong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4

        본 연구는 외적 보상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여 학습자의 내재적 독서 동기를 촉진하기 위한 교사의 교수 전략의 원리와 방법을 도출하였다. 외적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행동주의적 접근으로서 현재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독서 동기 촉진 전략이다. 그런데, 외적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미니맥스 전략’을 사용하게 하고 오히려 내재적 독서 동기를 떨어뜨리는 등 ‘보상의 숨겨진 대가’가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과 대책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기에 대한 내인성 귀인 이론, 과잉정당화 이론, 인지 평가 이론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인간은 외적 보상에 따라 기계적으로 반응하여 행동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을 둘러싼 외적인 상황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능동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보상이 제공되었을 때 오히려 내재적 동기가 낮아질 수 있으며, 통제적이지 않고 정보적인 방식으로 보상이 주어질 경우에는 내재적 동기가 저해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논의를 종합하여 학습자의 내재적 독서 동기를 촉진하기 위한 접근법으로는 행동주의적인 접근이 아니라 인본주의적이고 인지주의적인 접근을 제시하였고, 교수 전략의 원리는 독서 과제를 설계하고 제시하는 단계에서는 자율성 욕구 충족의 원리, 독서 수행에 대한 피드백 단계에서는 유능성 욕구충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자율성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독서 과제 설계 및 제시 전략의 방법으로는 정보적 방식으로 선택권을 제공하기, 독서 과제를 수행하는 합리적 근거 제공하기를 제시하였고, 유능성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독서 수행 피드백 전략의 방법으로는 정보적인 칭찬과 함께 유형적 보상 제시하기, 독서와 관련된 보상 주기, 예상하지 못한 보상 주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rewards and intrinsic motivations to draw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to promote learners' reading motivation. Providing external rewards is a behavioral approach and is a popular strategy for promoting reading motivation in current school settings. However, providing external rewards results in ‘hidden costs of rewards’ such as using ‘minimax strategy’ and reducing intrinsic reading motiv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this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d the Endogenous Attribution Theory, Overjustification Theory, Cognitive Evaluation theory for motivation. As a result, human beings are not beings that react mechanically to external rewards, but are active beings that control their behavior while interacting with external situations surrounding them, so that incentives can be lowered when rewards are provided. It also confirmed that intrinsic motivation may not be impaired if compensation is given in an uncontrolled and informative manner. Through the above theoretical discussion, this study emphasized the humanistic and cognitive approach, not the behaviorist approach, as an approach to promoting learner's intrinsic reading motivation. The principles of teaching strategy suggested the principle of meeting the needs of autonomy in designing and presenting the reading task and the need of competence in the feedback stage of reading performance. As strategies for designing and presenting reading tasks to meet autonomy needs, it is suggested to provide learners with the authority to choose in an informative manner and to provide a rational reasons for performing reading tasks. As a strategy for a feedback on reading performance to meet competency needs, it is suggested to give tangible rewards along with informative compliment, reading-related reward, unexpected reward.

      • KCI등재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이론에 기반한 해외 중등학교 과제 중심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의사소통 과제 활동을 중심으로-

        류수경 ( Ryu Su-kyeo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0

        이 연구는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이론을 바탕으로 해외 중등학교 청소년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촉진하는 과제 중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2언어 학습자의 자아 체계는 ‘이상적 L2 자아’, ‘필연적 L2 자아’, ‘L2 학습 경험’으로 구성되며, 실제 자아와 이상적 L2 자아의 불일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제2언어 학습의 강력한 동기가 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제 중심 교수·학습 방안을 총 6단계로 제시하였다. 각 단계 내용은 ‘이상적 L2 자아 인식을 통한 한국어 학습의 목표 설정, 이상적 L2 자아 이미지 강화를 통한 상위 과제 선정, 실제 자아와 이상적 L2 자아의 비교를 통한 하위 과제 선정, 미래 자기 지시를 통한 과제 수행 계획 수립, 지속적인 이상적 L2 자아 환기를 통한 과제 수행, 과제 수행에 대한 자기 평가와 L2 자아 성찰’이다. 이 연구는 해외 청소년 학습자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과제 중심 교수·학습 방안으로 구체화하여 앞으로 한국어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proposed a TBLT method that promotes the motivation of overseas adolescent learners to learn Korean based on L2 Motivational Self System. The self-system of a second language learner consists of ‘Ideal L2 self’, ‘Ought-to L2 self’, and ‘L2 Learning Experiences’. Efforts to reduc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eal self and the ideal L2 self are a powerful motivation for learning a second language. In this study, TBLT method based on L2 Motivational Self System was presented in a total of six steps. This study explains a new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verseas youth learners. In addition, it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practicing Korean language classes in the future by materializing them as TBLT methods.

      • KCI등재

        국어 교과서 텍스트의 유형과 복잡도

        서혁 ( Hyuk Suh ),류수경 ( Su Kyeong Ryu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텍스트 복잡도 연구는 학습자에게 적절한 텍스트를 선정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착안하여 텍스트 복잡도의 여러 요인을 밝히고 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교육의 체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0년 이후의 텍스트 복잡도 연구물을 검토하여 이전의 이독성 연구에서 개선된 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폈다. 또한 텍스트 복잡도를 실제 교수·학습과 관련지어 논의하기 위해서는 독자와 과제 요인에 주목하여 국어 교과서 텍스트의 복잡도를 텍스트 자체의 복잡도에서 더 나아가 ‘도입 텍스트, 본문 텍스트, 해설 텍스트, 과제(학습활동) 텍스트, 보충 텍스트’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동일한 텍스트가 서로 다른 여러 학년에 수록되는 현상의 대표적인 두 사례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텍스트 복잡도와 교과서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text complexity and tasks in textbooks.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we discussed preceding studies regarding text complexity and readability conducted recently, especially after 2010, and trie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researches on text complexity and types of texts in textbooks. We need to classify texts in textbooks such as ‘Introduction text’, ‘Main text’, ‘Explanation text’ and ‘Task text’ which have not been paid attention so far in discussing text complexity. This study also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text complexity and Task text by adapting and analyzing the same text which were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respectively.

      • KCI등재

        쓰기 윤리로서의 ‘인용’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2015 개정 교육과정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소라 ( Lee¸ So-ra ),류수경 ( Ryu¸ Su-kyeong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3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 윤리 교육으로서의 인용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내용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쓰기 윤리와 인용 교육에 관한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쓰기 윤리 교육의 비중이 축소되고 쓰기 기능보다 태도 측면을 강조하여 교과서와 교수·학습으로 구현될 때 쓰기 윤리 태도가 쓰기 윤리 실천으로 이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나타났다.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윤리로서의 인용은 소략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인용의 개념은 당위적 측면에서 원칙 중심으로 제시되며, 인용의 방법적 측면은 명시적이기보다 간접적인 방식으로 드러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인용의 전략적 활용에 관한 내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쓰기 윤리로서의 인용 교육 관련하여 교육 내용 및 교과서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mprove the educational contents oft quotation for ethical writing in primary, secondary school.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analyzes middle school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focuses on ‘quotation’ because it is a typical method for ethical writing. The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consider sequencing educational contents of quot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o help students write ethically, the purpose of quotation and the methods for quotation should be described in textbooks. We need Explicit activities are required for students to quorate correctly and write ethically. It should be linked to other language activities.

      • KCI등재

        텍스트 복잡도 평가 준거표 비교 분석 - 미국의 CCSS 기반 질적 평가 준거표를 중심으로 -

        최소영 ( Choi So-young ),류수경 ( Ryu Su-kyeong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5

        본 연구는 텍스트 복잡도(text complexity) 평가를 위해 개발된 여러 종류의 준거표(rubric)를 발굴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텍스트 복잡도 평가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요소를 발견하고 국어 교육에서의 텍스트 복잡도 평가를 위한 준거표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CCSS에 제시된 텍스트 질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미국 4개 주 교육부의 텍스트 복잡도 평가 준거표들을 일정기준에 따라 분류한 다음 각 유형의 준거표가 가지는 특징 또는 장점·단점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교육용 텍스트의 질적 평가를 위한 준거표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정보 텍스트의 경우와 문학 텍스트의 경우를 나누어 각각의 준거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텍스트 질적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며 공통적 요인과 상이한 요인, 각 요인의 적절성, 우리나라 교육용 텍스트 질적 평가를 위한 준거표 개발 시 적용 가능 또는 불가능한 지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and compare various types of rubric developed for text complexity measures, discover elements commonly required for text complexity measure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ference tables for text complexity measur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the text quality factors presented in the USA CCSS were analyzed. Subsequently, text complexity measures criteria of the four U.S. states of educat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ype of criterion,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ference tables for qualitative measures of Korean educational texts. Subsequently, text qualitative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each reference table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case of information text and literature text, and factors different from common factors, advantages or disadvantages of each factor, and points applicable or impossible in the development of reference tables for qualitative measures of educational texts in Korea.

      • KCI등재

        보도자료 기사화를 통해서 본 독서 담론 형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2013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 보도를 중심으로

        서혁 ( Hyuk Suh ),편지윤 ( Ji Yun Pyeon ),류수경 ( Su Kyeong Ryu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5

        본 연구는 보도자료와 신문기사가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인 미디어가 아니라는 것을 전제로 하여 2013 국민독서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보도자료와 신문기사에서 강조하고 축소하고 있는 부분을 밝히고, 조사 결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독서 담론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독서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보도자료와 신문기사를 분석한 결과, 보도자료에서는 독서율의 증가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의 독서 실태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정책의 성과를 강조하는 반면, 신문기사에서는 여전히 독서량이 저조하다는 것을 전제로 독서 의지를 고취시고 책 소비를 촉구하고 있었다. 이는 독서 생활과 문화의 질적인 성장보다는 양적인 성장에 집착하고 있으며,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의 독서보다는 여전히 인쇄 책 중심의 독서를 중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인쇄 책 생산과 소비에 대한경제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다양한 독서 담론이 상호 공존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혁신과 함께 교육, 그리고 미디어와의 연대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도자료와 신문기사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견지해야만 더욱 역동적인 독서 문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phenomenon on reading discourse in Korean society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2013 Research Report on Reading Status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ess releases have a optimistic viewpoint and emphasize the output of the policy, which based on the increasing rates of reading. Whereas newspaper articles tries to stimulate the readers`` willingness and consuming books because of the low rate of reading. This means that newspapers give attention to the quantitative growth of reading life rather than qualitative, such as culture or discourse on reading. In particular, newspapers strengthen the paper book reading rather than digital book, which implicates economic perspectives of producing and consuming books. In conclusion, various reading discourse has its different interest on reading, which implicates that we need mcuh more communication, policy innovations, educations, solidarities between medium to coexist in the future of reading life.

      • KCI등재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Degree of 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2)

        서혁 (Suh, Hyuk ),이소라 ( So Ra Lee ),류수경 ( Su Kyeong Ryu ),오은하 ( Eun Ha Oh ),윤희성 ( Hee Sung Yoon ),변경가 ( Kyung Ga Byun ),편지윤 ( Ji Yun Pyeon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7 No.-

        본 연구에서는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하여 텍스트 복잡도를 상세화하여, 텍스트 내적 복잡도 공식을 개발하였다. 기존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보완하기 위해 (1) 이독성 측정을 위한 등급별 어휘집 마련, (2) 문장의 복잡도 측정 체계 개발을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삼았다. 텍스트 복잡도 공식 개발에 사용된 독립변수는 본고에서 마련한 등급별 어휘 목록 A, B, C등급 및 그 이외의 서로 다른 단어들의 포함 여부와 문장 길이 및 문장 복잡도 측정 체계에 따른 문장 복잡도 평균이다. 또한 종속변수는 전문가가 판단한 텍스트의 적정 학년 평균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산출하였다. 이 중 초등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길이가, 중등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복잡도가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과 중등 교과서의 텍스트 학년 수준의 적합성을 판별하기에 적절한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각각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초등 및 중등 수준의 텍스트 복잡도 공식은 다음과 같으며, 해당 공식은 초등 텍스트 학년 수준에 대해 75.2%, 중등에 대해 65.6%의 설명력을 지닌다. 초등 텍스트 학년 수준 = 7.438 - 0.391×(문장 수) + 0.032×(A등급 이외의 단어 수) + 0.016×(문장 수×A등급 이외의 단어 수) * R2 = 0.752 중등 텍스트 학년 수준 = -0.060×(A등급 단어 수) + 0.145×(C등급 이외 단어 수) + 0.110×(문장 복잡도) + 0.024×(문장 복잡도×C등급 이외 단어 수) + 9.075 * R2 = 0.656 본 연구에서 마련한 텍스트 복잡도 공식은 텍스트 내적 요인만을 중요 변수로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한계를 지닌다. 향후 총체적인 텍스트 복잡도 공식 마련을 위해서는 텍스트 복잡도 외적 요인인 배경지식과 과제 요인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xt Complexity Formula more precisely. For this, we focused on complementing the list of words and elaborating the measurement of Sentence Complexity.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Formula are graded vocabulary list and the figure of sentence complexity calculated by the length and structure of sentenc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determination on text of the appropriate grade level by experts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suggested two Text Complexity Formular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which has the power of explanation of 75.2% about difficulties of texts in elementary level and 65.6% in middle school level. The Text Complexity Formula, we finally determined, is as follows. ETGL = 0.032uWa - 0.391S + 0.016uWaS + 7.438 * R2 = 0.752 ETGL = Elementary Text Grade Level uWa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A S = The number of sentence uWaS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A × The number of sentence STGL = - 0.060Wa + 0.145uWc + 0.110C + 0.024uWcC + 9.075 * R2 = 0.752 STGL = Secondary Text Grade Level Wa = The number of words in word list A uWc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C C = Degree of Sentence Complexity uWcC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C × Degree of Sentence Complexity This Text Complexity is o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features of the internal texts.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for supplementing the formula through includi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the text like Reader variables(reader`s background knowledge) and Task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