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도 변형 무지외반증에서 새로운 Double Chevron 절골술 - 예비 보고 -

        류석우,윤준오,김유진,이기원,선명욱,Lew, Sog-U,Yoon, Jun-O,Kim, Eu-Gine,Lee, Ki-Won,Seon, Myung-Woo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1

        There are many reports on the various methods of treatment for hallux valgus. 1st metatarsal proximal osteotomy with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or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arthrodesis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for treatment of severe hallux valgus. We performed a new double chevron osteotomy in 3 cases and obtained satisfying results. We present this procedure as a new method of treatment for severe hallux valgus.

      • KCI등재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조직지원 특성에 따른 효과성

        류석우(Seok-Woo Ryu),양해술(Hea-Sool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조직지원 특성이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으로 구성된 조직지원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반응, 학습, 전이, 결과수준을 효과성의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8월 16일부터 9월 9일까지 국내 상장 및 코스닥 등록 증권사 중 서울에 본사를 두고 상시 재직자 온?오프라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5개 기업의 임직원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3차로 나누어 총 340부가 배포되었으며, 총 164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검증 결과, 가설 1. 조직지원 특성이 반응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반응수준에 대해서 모두 p<0.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2. 조직지원 특성이 학습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학습수준에 대해서 p<0.05,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3. 조직지원 특성이 전이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전이수준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 조직지원 특성이 결과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결과수준에 p<0.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 교육훈련의 효과성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도 중요하지만, 교육훈련 과정에 대한 지지체계와 학습한 것을 실제 업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이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제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실시하는 기업이나 전문가들은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특성도 중요하나, 조직지원 특성이 교육훈련 효과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upporting unit affect the effectiveness of company-wide HRD Education & Training program.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upporting unit comprising supervisor’s support, job support, and company suppor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ith the level of reaction stage, learning stage, transfer stage, and result stage as dependent variable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6, 2011 to September 9, 2011 by sending out questionnaires to employees of 5 securities firms listed on KOSDAQ where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 training program is running year-round with headquarter in Seoul. A total of 34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hree times for the survey, and total of 164 questionnaires were sampled for the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he analysis, regarding the first hypothesis that tries to reveal how the characteristics affect the level of reaction stage, it is verified that all of supervisor’s support, job support and company support have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reaction stage with p value less than 0.01. In regard to the second hypothesis that tries to see how the characteristics affect the level of learning stage, it is confirmed that supervisor’s support, job support and company suppor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learning stage with p value less than 0.05 or 0.01, respectively. Concerning the third hypothesis that aims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s affect the level of transfer stage, it is appeared that all of supervisor’s support, job support and company support have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transfer stage. And lastly, as for the fourth hypothesis that tries to see how the characteristics affect the level of result stage, it is analyzed that supervisor’s support, job support and company support have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result stage with p value less than 0.01.This study reconfirm the outcomes of previous research, which is that the effectiveness of company-wide education & training program depends not only on the contents and quality of education & training program, but also more importantly on the role of organizational supporting uni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where what is learned in classroom can be applied to real business.Companies or experts that run education & training program in real world should recognize that the performance of training is dependent more significantly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upporting unit rather than the design or features of education & training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Differential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Mitotic Centromere-associated Kinesin (MCAK) During Cell Cycle Progression in Human Jurkat T Cells

        전도연,류석우,김수정,김영호,Jun Do Youn,Rue Seok Woo,Kim Su-Jung,Kim Young Ho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2

        인체 MCAK 단백질을 Escherichia. coli에서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하였다. 이를 SDS-PAGE 후 electroelution으로 정제하고 항원으로 사용하여 rat에서 다클론성 항체생성을 유도한 결과, 생성된 항체는 Western blot analysis에 의해 인체 MCAK 단백질 (81 kDa)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었으며, Jurkat T cells과 293T cells에 있어서 MCAK 단백질의 대부분이 핵 내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주기에 따른 MCAK 단백질의 발현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Jurkat T cells을 Hydroxy urea 또는 Nocodazole의 처리로 $G_{1}/S$ boundary 그리고 $G_{2}/M$ boundary에 blocking하고 이로부터 release 시키는 시간을 달리하여 다양한 세포주기상에 위치한 Jurkat T cells을 확보하였다. 각각의 Jurkat T cells로부터 cell lysate를 얻어서 Western blot analysis를 시도한 결과, MCAK 발현양은 S phase에서 가장 높았으며 MCAK의 SDS-PAGE상의 mobility가 81 kDa에서 84 kDa로 shift됨을 확인하였다. MCAK의 전기영동상의 mobility shift에 의한 slow moving $p84^{HsMCAK}$는 S phase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G_{2}/M$ phase에 최대였고 $G_{1}$, phase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세포주기에 따라 MCAK의 단백질의 인산화 양상이 달라짐을 시사한다. 생성된 항체를 이용한 Immunocytochemical analysis의 결과, 인체 MCAK 단백질은 세포주기의 interphase에서는 주로 중심체와 핵에 존재하며, M phase의 각 단계에 따라서 spindle pole, centromere, spindle fiber 또는 midbody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E. coli에서 발현된 재조합 HsMCAK 단백질을 항원으로 하여 rat에서 생산한 다클론성 항체가 HsMCAK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과 또한 HsMCAK 단백질의 인산화를 나타내는 SDS-PAGE상의 mobility-shift가 $G_{2}/M$ phase에 최대에 도달하는 양상으로 세포주기에 따라 변동됨을 나타내며, HsMCAK의 인산화와 HsMCAK의 세포 내 위치간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는 hamster 및 Xenopus 등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MCAK의 세포주기상의 주요기능이 인체세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itotic centromere-associated kinesin (MCAK), which is a member of the Kin I (internal motor domain) subfamily of kinesin-related proteins, is known to play a role in mitotic segregation of chromosome during M phase of the cell cycle.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produced a rat polyclonal antibody using human MCAK (HsMCAK) expressed in E. coli as the antigen. The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ed the HsMCAK protein (81 kDa), and could detect its nuclear localization in human Jurkat T cells and 293T cells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specific stage of the cell cycle was obtained through blocking by either hydroxyl urea or nocodazole and subsequent releasing from each blocking for 2, 4, and 7 h. While the protein level of HsMCAK reached a maximum level in the S phase with slight decline in the $G_{2}-M$ phase, the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from $p81^{MCAK}\;to\;p84^{MCAK}$ began to be induced in the late S phase and reached a maximum level in the $G_{2}/M $ phase, and then it disappeared as the cells enter into the $G_{1}$ phase. Immunocyt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HsMCAK protein localized to centrosome and nucleus at the interphase, whereas it appeared to localize to the spindle pole, centromere of the condensed mitotic DNA, spindle fiber, or midbody, depending on the specific stage of the M phas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 rat polyclonal antibody raised against recombinant HsMCAK expressed in E. coli specifically detects human MCAK, and indicate that the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from $p81^{MCAK}\;to\;p84^{MCAK}$,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its differential intracellular localization during the cell cycle, fluctuates with a maximum level of the shift at the $G_{2}-M$ ph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