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開寶藏의 修訂에 대한 연구 - 廣弘明集을 중심으로 -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광홍명집 제7, 14, 15, 16, 17, 18, 19, 21, 22, 24, 25, 26, 27권의 초조장본․재조장본․조성장본을 대조하여 이들 판본의 바탕이 되었던 개보장본의 수정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조장본․조성장본에는 동일하게 수정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초조장본에는 수정되어 있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것은 초조장본이 ‘개보장 원본’의 상태가 그대로 수용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재조장본․조성장본에는 동일하게 수정된 상태로 되어 있고, 초조장본에는 재조장본․조성장본과 다른 상태로 수정되어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것은 초조장본이 ‘개보장 원본’을 바탕으로 해서 수정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초조장본․재조장본에는 수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원래의 내용과 동일하게 되어 있지만, 조성장본에는 수정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것은 조성장본에는 ‘개보장 재수정본’의 상태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끝으로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광홍명집의 개보장본에는 ‘개보장 원본’, ‘개보장 수정본’, ‘개보장 재수정본’이 있었고, 초조장본의 바탕이 된 것은 ‘개보장 원본’이고, 재조장본의 바탕이 된 것은 ‘개보장 수정본’이며, 조성장본의 바탕이 된 것은 ‘개보장 재수정본’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ctions of Gaebojang, which has been the basis of the panbon by comparing with the volumes 7, 14, 15, 16, 17, 18, 19, 21, 22, 24, 25, 26, 27 of Gwangmyunghongjib.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it is same like in Jaejojangbon․Josungjangbon with the same and corrected condition, but it is investigated that it is in Chojojangbon as an original one without any corrections. It is estimated that Chojojangbon included ‘the first Gaebojang’ as it is. Secondly, it is same like in Jaejojangbon․Josungjangbon with the same and corrected condition and it is investigated that it is in Chojojangbon as a different corrected condition unlike Jaejojangbon․Josungjangbon. It turns out that Chojojangbon got corrections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of Gaebojang’. Thirdly, it is in Jaejojangbon․Josungjangbon as the uncorrected condition and the same like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but it is investigated that it is corrected one in Josungjangbon. It is thought that ‘recorrection of Gaebojang’ was embraced in Josungjangbon. Finally, with the above analyses, the study shows that there were ‘the first Gaebojang’, ‘the correction of Gaebojang’, and ‘the recorrection of Gaebojang’ in the Gaebojangbon of Gwangmyunghongjib. And further, it came out that ‘the first Gaebojang’ was a basis of Chojojangbon and ‘the correction of Gaebojang’ was a basis of Jaejojangbon, and ‘the recorrection of Gaebojang’ was a basis of Josungjangbon.

      • KCI등재

        松廣寺 經牌의 千字文 帙(函)號에 대한 硏究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8 No.-

        The study is that it newly examines the gyungpae in Songgwangsa on which Cheonjamoon jilho(hamho) has been inscribed by comparing with the Jaejojang and Chojojang jilho(hamho), Gaewonrok jilcha(hamcha) same like Georanjang jilho(hamho), and Gaewonrokyackchul jilho(hamho) same like some Daejanggyung in Kangnam. The abridged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estimated that not merely is Cheonjamoon jilho(hamho) inscribed on the 13 gyungpaes in Songgwangsa, otherwise known as before, far less in terms of consistency with Jaejojang, but also is pretty rare the possibility it is Cheonjamoon jilho(hamho) in Chojojang. Only the two books, called kyungjeon, Abidalmapumryujokron and Shinhwayeomgyungron are accorded with the gyungpae in Songgwang Temple and Cheonjamoon jilho(hamho) in Jaejojang. For the reason, they are considered to be the gyunpae of Jaejojang for sure. Second, it is certain that the gyungpae of Songgwangsa is exactly not involved in Geranjang in the whole relation of it as before. Third, there has been any reference on the relations between Kangnamjang, Daejanggyung made in Kangnam, and the gyungpae in Songgwangsa. However, there is remarkable analysis in the paper: Daeseungabidalmajabjibron, Byulyeokjabahamgyung, Abidalmajibyeemoonjokron, and Daewonseongjojiwonbyunwerok and so on have nothing to do with Jaejojang and they are just in accord with Kangnamjang. Especially, Daewonsungjojiwonbyunweerok is first included in Jeoksajang(1216~1322) among all the Daejanggyung made of mokpanbon including Kangnamjang, and the Cheonjamoon jilho(hamho) of it is given in Jeoksajang at the very first, called ‘Ha(585)’. And it is right the jilho(hamho) of the gyungpae of Daewonsungjojiwonbyunweerok in Songgwangsa. Taken the such being the case, there is no doubt that the gyungpae of Daewonsungjojiwonbyunweerok in Songgwangsa which has the jilho(hamho) called ‘Ha(585)’ is attached in Jeoksajang Daewonsungjojiwonbyunweerok. 본 연구는 千字文 帙號(函號)가 새겨져 있는 松廣寺 經牌에 대해 재조장과 초조장의 질호(함호) 그리고 거란장과 동일한 질호(함호)를 갖고 있는 開元錄의 帙次(函次)와 江南의 여러 대장경과 동일한 帙號(函號)를 갖고 있는 開元錄略出의 질호(함호)와의 비교를 통해 松廣寺 經牌의 千字文 帙號(函號)에 대해서 새롭게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3개의 송광사 경패에 새겨져 있는 천자문 질호(함호)는 종래에 이해된 바와는 달리 재조장과 일치하는 것은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초조장의 천자문 질호(함호)일 가능성도 매우 희박하다고 판단된다. 단, 2개의 경전 즉 阿毘達磨品類足論과 新華嚴經論은 송광사 경패와 재조장의 천자문 질호(함호)와 일치하고 있다. 때문에 이 두 경전에 해당되는 것은 분명 재조장의 경패가 틀림없다고 판단된다. 둘째, 契丹藏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인 관계에서 보면, 종래의 견해와 같이 송광사 경패는 거란장과 관계가 없는 것이 분명하다. 셋째, 江南藏과 송광사 경패의 관계에 대해서 종래에는 아무런 논급이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매우 주목할 만한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大乘阿毘達磨雜集論, 別譯雜阿含經, 阿毗達磨集異門足論, 大元聖朝至元辨僞錄 등은 재조장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고, 오로지 江南藏과 일치하고 있다. 특히 大元聖朝至元辨僞錄은 江南藏을 비롯한 모든 刊本 대장경 가운데 磧砂藏(1216∼1322)에 처음 수록되었고, 大元聖朝至元辨僞錄의 천자문 질(함)호는 磧砂藏에서 최초로 부여된 것인데, 그 천자문 질(함)호는 ‘何(585)’이다. 그런데 그것이 바로 송광사 大元聖朝至元辨僞錄의 경패 질(함)호인 것이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질(함)호가 ‘何(585)’인 송광사 大元聖朝至元辨僞錄의 경패가 磧砂藏 大元聖朝至元辨僞錄에 붙여진 것임에 조금이라도 의심할 나위가 없는 것이다.

      • KCI등재

        고려금속활자의 새로운 주물사주조법에 대한 연구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1 No.-

        This study presents that there is a new method of sand mould casting which can make the original shape of Goryeo movable metal types,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al shape of the types with the existing method can’t be cast in the original shape of the types. A summary of the casting process of the new method of Goryeo movable metal types presented in the paper is as follows. ① One makes a ‘temporary mould’ by filling an empty mould with moulding sand, and plants the upper part of type of eomija in the ‘temporary mould’ by pressing it. ② One puts ‘a blank mould called a hartle’ on ‘the temporary mould’ which the upper part of type of eomija has already been planted. ③ One fills ‘the blank mould as a hartle’ placed on the ‘temporary mould’ with moulding sand and then makes it firm. ④ One takes ‘the mould full of moulding sand’ with the lower part of eomija placed on the ‘temporary mould’ as the ‘hartle’ of it. ⑤ One digs the moulding sand covering the part of wings of eomija planted in the ‘hartle’ to the height of them. ⑥ One puts ‘a blank mould as the upper one’ on the ‘hartle’ with the lower part of eomija, and then sprays mould release agent and fills the moulding sand after sifting in the end. ⑦ After separating ‘the mould as a sangtle filled with moulding sand,’ one creates a passage of molten metal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of ‘hartle’ and then takes out eomija. ⑧ After combining the ‘sangtle’ over the ‘hartle’, one takes molten metal from a crucible and injects it into the metal inlet. And then, one breaks the moulding sand in the mould after the molten metal is cool, and takes out the type attached to the gagiswoi. 본 연구는 종래에 연구된 고려금속활자 주물사주조법으로는 고려금속활자의 실물 모양 그대로 주조될 수 없는 점에 착안하여 새로운 방식의 고려금속활자 실물 모양 그대로 주조될 수 있는 주물사주조법을 고안하여 제시한 것이다. 본고에 제시된 새로운 고려금속활자 주물사주조법의 주조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빈 틀에 주물사를 채워 ‘임시틀’을 만들고 ‘임시틀’에 어미자의 상부(글자면)를 눌러 심는다. ② 어미자의 상부가 심어진 ‘임시틀’ 위에 ‘하틀로 쓰일 빈 틀’을 올려놓는다. ③ ‘임시틀’ 위에 놓여 있는 ‘하틀로 쓰일 빈 틀’에 주물사를 완전히 채워 평평하게 다진다. ④ ‘임시틀’ 아래에 놓여 어미자의 하부가 박혀있는 ‘하틀로 쓰일 주물사가 채워진 틀’을 거푸집의 ‘하틀’로 삼는다. ⑤ ‘하틀’에 심어진 어미자의 날개를 덮고 있는 주물사를 날개의 높이만큼 파낸다. ⑥ 어미자의 하부(바닥면 몸통)가 심어진 ‘하틀’ 위에 ‘상틀로 쓰일 빈 틀’을 올려놓은 다음 이형제를 뿌린 다음 주물사를 체로 걸러 채운다. ⑦ ‘상틀로 쓰일 주물사가 채워진 틀’을 분리한 다음 어미자의 하부가 심어진 ‘하틀’의 표면에 쇳물의 통로를 만들고 어미자를 빼낸다. ⑧ ‘하틀’ 위에 ‘상틀’을 결합시킨 다음 도가니에서 쇳물을 가져다가 쇳물 주입구에 쇳물을 주입하고, 쇳물이 식으면 틀 속에 있는 주물사를 부셔 주조된 가지쇠에 붙어있는 활자를 꺼낸다.

      • KCI등재

        고려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5 No.-

        This study explores the existing claims about the kinds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of Jaejo Daejanggyung and then suggests a new perspective. First of all, I examined the gyungmyung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written in Daejangmokrok and all the scriptures and numbers in Jaejojang, and entered the gyungmyung and suitable numbers in a table to estimate the exact amount of kinds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of Jaejo Daejanggyung. And then, the kinds and numbers of Jaejojang including the kinds and kownsu of each scripture and one-volume of the scripture are produced through computer processing. As a result, it proves that the scripture in Jaejojang has 1496[1530] kinds; ‘1496 kinds’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a variety of scriptures in one volume as one type and ‘1530 kinds’ in each bracket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each of the various scriptures in one volume as one type of individual scripture, and 6555. 본 연구는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에 대한 종래의 주장을 살펴본 다음 필자의 새로운 주장을 피력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에 대한 타당하고 정확한 수량을 산정해 내기 위해 먼저 「대장목록」에 기재된 경전의 경명과 권수 및 재조장에 수록된 모든 경전과 그 권수를 조사하여 하나의 표 속에 경명과 해당 경전의 권수를 입력하였다. 다음으로 전산처리를 통하여 독립된 경전의 종수와 권수 그리고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경전을 포함한 재조장 경전의 종수와 권수를 산출해 내었다. 그 결과 재조장에 수록된 경전은 1496[1530]종(‘1496종’은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여러 경전을 1종으로 간주해서 산정된 것이고, 각괄호([ ]) 안의 ‘1530종’은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여러 경전을 각각 개별 경전 1종으로 간주해서 산정된 것임), 6555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三國遺事」 壬申本의 底本과 板刻에 대한 연구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2 No.-

        This study is that newly trying to analyze the jeobon and panbon of Imshinbon by properly examining the pangak of Imshinbon and correcting the existing errors that I have made through close comparing Wangryukpyun and volume 1, 2, 4, and 5 in Seonchobon which is currently disclosed with Imshinbon.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The total number of pages of Imshinbon in Samgukyusa is 218. It is considered that 43 of them are printed from the old book (the woodblock of Seonchobon), 147 are put into print from the new book being reprinted with Seonchobon, 5 are from the new book being reprinted with Koryobon (as a guess), and 23 are from the new book that is transcribed by hand and woodcut. Among them 5 pages of Imshinbon judged from the new book being reprinted with Koryobon (as a guess) are the 9th and 10th of ‘Wangryuk’ and 12th, 16th, and 36th of the volume 1 etc. Besides among 23 that are transcribed by hand and woodcut, 43th and a couple of 46th in volume 2 are thought that they are transcribed by hand and woodcut with Koryobon (as a guess) as jeobon. 본 연구는 현재 공개된 선초본인 <왕력>편, 제1, 2, 4, 5권과 임신본과의 면밀한 대조를 통해 임신본의 판각에 대하여 올바르게 분석하여 필자가 범했던 종래의 오류를 바로 잡고, 임신본의 저본과 판본의 판각에 대해 새로운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임신본 「삼국유사」의 張數는 총 218장인데, 이중 43장은 舊板(선초본의 책판)에서 인출된 것이고, 147장은 선초본을 번각한 新板에서 인출된 것이며, 5장은 고려본(추정)을 번각한 新板에서 인출된 것이고, 23장은 필사 판각된 신판에서 인출된 것으로 고찰되었다. 이 가운데 고려본(추정)을 번각한 新板에서 인출된 것으로 판단된 임신본의 5장은 <왕력>의 제9장, 제10장과 제1권의 제12, 16, 36장 등이고, 필사 판각된 것으로 판단된 23장 중에서 제2권의 제43, 46장 2장은 고려본(추정)을 저본으로 필사 판각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高麗에 전래된『 開寶藏』에 관한 硏究

        류부현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This study shows that the relevant records about the publication of Tripitaka Kai bao and how it was it passed down in Goryeo have been examined, and this is presented with a table. Also its conditions are organized in a clear manner. The argument includes the following. Firstly, it is estimated that the Janggyung handed down in Goryeo in 989 is the Tripitaka Kai bao made up of bonjang of Tripitaka Kai bao , Yeonhwashimryunhwoimoongeisong,Bijangjeon, Bulbu, Jeonwonga etc. Secondly, it is presumed that the Janggyung passed down in Goryeo in 991 is the Tripitaka Kai bao composed of bonjang of Tripitaka Kai bao , Yeonhwashimryunhwoimoongeisong,Uijebijanggeon (i.e. Bijanggeon, Bulbu, Jeonwonga,Bijangjeonyueuneulsi, Bijangjeonwhoigamsi,Bijangjeonwhoigamwhoimoonsi), and Soyoyoung etc. Thirdly, it seems that the Janggyung which came down in Goryeo in 1019 is the Tripitaka Kai bao comprised of bonjang of Tripitaka Kai bao , Yeonhwashimryunhwoimoongeisong,Uijebijanggeon (i.e. Bijanggeon, Bulbu, Jeonwonga,Bijangjeonyueuneulsi, Bijangjeonwhoigamsi,Bijangjeonwhoigamwhoimoonsi]) Soyoyoung, yeonsik,and sokgan A of Tripitaka Kai bao (Songshinyeokgyung A,Sokgaewonrokjang, Samjangjipjeon). Fourthly, it is assumed that the Janggyung handed down in Goryeo in 1022 is the Tripitaka Kai bao consisting of identical contents to the Janggyung which came down in Goryeo in 1019. Fifthly, it appears that the Janggyung passed down in Goryeo in 1083 is the Tripitaka Kai bao made up of sokgan B of the Tripitaka Kai bao as the so-called “Songjodaejanggyung”. Finally, it is likely that the Janggyung come down in Goryeo in 1085 is the Tripitaka Kai bao composed with the same contents as the Tripitaka Kai bao passed down in 1022 or the “Songjodaejanggyung” handed down in 1083. 본고는 『開寶藏』의 刊行과 高麗에 傳來된 『開寶藏』에 대해서 관련기록을 검토하여 表로 정리해서 제시한 다음, 그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본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989년 고려에 전래된 藏經은 開寶藏 本藏(5048卷 481帙), 蓮華心輪廻文偈頌 11卷, 秘藏詮 20卷, 佛賦·詮源歌 1卷으로 구성된 開寶藏(初本: 淳化年間 印出本)으로 추정된다. 둘째, 991년 고려에 전래된 藏經은 開寶藏 本藏(5048卷 481帙), 蓮華心輪廻文偈頌 11卷, 御製秘藏詮 30卷{즉 秘藏詮 20卷, 佛賦·詮源歌 1卷, 秘藏詮幽隱律詩 4卷, 秘藏詮懷感詩 4卷, 秘藏詮懷感廻文詩 1卷}, 逍遙詠 11卷으로 구성된 開寶藏(初本: 淳化年間 印出本)으로 추정된다. 셋째, 1019년 고려에 전래된 藏經은 開寶藏 本藏(5048卷 480帙), 蓮華心輪廻文偈頌 11卷, 御製秘藏詮 30卷{즉 秘藏詮 20卷,佛賦·詮源歌 1卷, 秘藏詮幽隱律詩 4卷, 秘藏詮懷感詩 4卷, 秘藏詮懷感廻文詩 1卷}, 逍遙詠 11卷, 緣識 5卷, 開寶藏 續刊 A{宋新譯經 A(“經傳 30帙”), 續開元錄藏(“未入藏經 27帙”), 三藏集傳(法苑珠林 등)}으로 구성된 開寶藏(修訂本: 咸平年間 印出本)으로 추정된다. 넷째, 1022년 고려에 전래된 藏經은 1019년 고려에 전래된 藏經과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開寶藏(修訂本: 天禧年間 印出本)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1083년 고려에 전래된 藏經은 이른바 “宋朝大藏經”으로서 開寶藏 續刊 B{咸平 2년(999) 11월 이후 大中祥符 4년(1011)까지의 宋新譯經 B-1), 大中祥符 5년(1011) 5월 이후 天聖 5년(1027) 3월까지의 宋新譯經 B-2), 天聖 5년(1027) 3월 이후 景祐 3년(1036)까지의 宋新譯經 B-3), 景祐 3년(1036) 이후 元豊 2년(1079)까지의 宋新譯經 B-4)}로 구성된 開寶藏으로 추정된다. 여섯째, 1085년 고려에 전래된 藏經은 1022년에 전래된 개보장과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開寶藏 혹은 1083년에 전래된 “宋朝大藏經”과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開寶藏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分司大藏都監版「宗鏡錄」의 底本考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05 서지학연구 Vol.30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original of Jongkyungrok, by studying collection and entry of Jongkyungrok in order to bring light on the source of Jongkyungrok, published in Bunsadogam.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Jongkyungrok is the book complied by Younsu(904~976) and it is entered in Sungnyoungjang in 1107, during the era of Daegam. Second, Bunsadogam's Jongeunrok is based on the basis of Sungnyoungjang's Jongkyungrok and Berojang's Jongkyungrok, which has been modified and recorded along with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 Third, Jongkyungrok's Chunjamun order of Bunsadogam's corresponds to the order of Jongkyungrok, which is entered in Sungnyoungjang and Berojang 본고는 分司都監版 宗鏡錄의 所從來를 구명하기 위해 宗鏡錄의 編纂과 入藏에 대해서 살펴본 다음 分司都監版 宗鏡錄의 底本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구명되었다. 첫째, 宗鏡錄은 延壽(904~976)가 편찬한 저술로서 大觀元年(1107)에 崇寧藏에 入藏되었다. 둘째, 分司都監版 宗鏡錄은 崇寧藏이나 毘盧藏 중에서 뒤에 補板된 종경록을 底本으로 하고, 高麗의 실정에 맞게 수정되어 覆刻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分司都監版 종경록의 千字文 函次는 崇寧藏이나 毘盧藏에 入藏된 종경록의 函次가 인습된 것이었다.

      • KCI등재

        周本 화엄경 〈高麗 校勘記〉와 諸本의 文字異同 연구

        류부현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4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issing passages' in variousversions of Jubon Hwaumgyung and to examine why suchomissions exist and why the letters of one version are different fromthose of another. To that end, the researcher looked into Gyogamgi ,a historical record written in the last part of Sambon Hwayumgyung(Suchangpan series, Volumes 3, 4, 5, 8, 10, 11, and 12).In Jubon Hwaumgyung , there are a total of 12 missing passages:(1) three passages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Jubon Hwaumgyung(an instance of omission that stemmed from missing passages inBeombon [the Sanskrit edition]), (2) three passages omitted atthe time of translating Jubon Hwaumgyung into Korean, (3) fourpassages left out in the course of copying the Korean translation ofJubon Hwaumgyung , and (4) two passages absent in the first placeor lost sometime later.To sum up, a few passages in each version were omitt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or copying the original, and most ofthe omissions were made when Hwaumgyung was translated.The missing passages, however, were restored in Kyungsobased on Beombon . There is no missing passage in such booksas Jabokjangbon , Hapron , Jeoksajangbon , Bonyungjangbon ,Youngrakbookjangbon , Youngraknamjangbon , Kyungsanjangbon ,Cheongjangbon and Seobakjangbon . It is suggested that in thesebooks the omissions were elucidated based on the letters ofKyungso or Hapron . 본 연구는 ‘수창판 계열 삼본 화엄경’의 주본 제3권, 제4권, 제5권, 제8권, 제10권, 제11권, 제12권의 책 끝에 기재되어 있는 일단의 校勘記의 내용에 의거하여 주본 화엄경 여러 판본에 내재되어 있는 脫文(탈문)과 여러 판본에서 발생된 文字異同의 상태와 그 원인을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고려 교감기〉에 기재된 것으로 주본 화엄경에 내재되어 있는탈문은 총 12건이 다. 이 가운데 주본 화엄경이 번역될 당시 그 臺本이된 梵本의 탈루로 인해 주본 화엄경 漢文本에도 원래 탈문으로 되어있던 것은 3건이고, 주본 화엄경이 한역될 당시에 번역자의 잘못으로인해 주본 화엄경 漢文本에 탈문으로 되어 있던 것은 3건이며, 주본 화엄경이 한역된 이후 베껴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탈문은 4건이고,원래 혹은 후에 탈루된 탈문은 2건이었다.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종합해 보면, 각 판본에 보이는 탈문은 모두자체에서 발생된 것이 아니라 그 저본의 탈문이 인습된 것이다. 이들탈문 대부분은 화엄경이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것으로 원래부터 탈문으로 되어 있던 것인데,〈 경소〉에서 처음으로 梵本(범본)에 의거하여 보충된 것이다. 이러한 탈문이〈 자복장본〉,〈 합론〉,〈 적사장본〉,〈보녕장본〉〈, 영락북장본〉〈, 영락남장본〉〈, 경산장본〉〈, 청장본〉〈, 서박장본〉 등에 완전한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은 이들 판본이나 이들 판본의 저본에서〈 경소〉 또는〈 합론〉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보충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개성 만월대 출토 금속활자의 가치

        류부현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9

        Above all, this paper examined the details including form, size, quality of materials, a place of discovery, excavation or release time and so on of movable metal types formerly known as Goryeo types and the types excavated from Manwoldae,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academic circles. And then, the existing consideration and evaluation of the types from Manwoldae were analyzed as well. First, the types from Manwoldae, for the first time, were excavated in the process of an excavation and they can be seen as the highest level of types produced by the nation. Second, they have both domestic and global historical significance. Third, they proves that Goryeo is truly an inventor of movable metal types. Fourth, they are a touchstone for studying Goryeo movable metal types. Fifth, they are estimated to be the types that were being kept in a management institution of Goryeo and can be a kind message that foretells the possibility of mass release of Goryeo movable metal types in the future. 본 고찰에서는 먼저 종래 고려활자로 알려진 금속활자와 만월대에서 발굴된 금속활자의 세부사항(모양・크기・재질・출토지・발굴 또는 공개 시기 등)에 대해서 학계에 발표되었던 내용을 종합하여 살펴본 다음 만월대에서 발굴된 금속활자에 대한 기존의 고찰 내용과 평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첫째, 만월대에서 발굴된 금속활자는 최초로 발굴조사 중에 출토된 것이며, 국가가 주도하여 만든 최고 수준의 활자라 볼 수 있다. 둘째, 만월대 출토 금속활자는 국내적 뿐만 아니라 세계사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셋째, 만월대 출토 금속활자는 고려가 명실상부한 금속활자 발명국임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넷째, 만월대 출토 발굴된 금속활자는 고려금속활자를 연구하는데 시금석이 된다. 다섯째, 만월대 출토 금속활자는 고려의 활자 관리기관에 보관되고 있었던 활자로 추정되는데, 향후 고려금속활자의 대량출토의 가능성을 예언해주는 메시지이다.

      • KCI등재

        증도가자의 문화재청 검증에 대한 문제점 - 조판 실험의 광곽 크기를 중심으로 -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3 No.-

        본 연구에서는 증도가자의 진위 여부를 가리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 문화재청의 조판 실험 가운데 광곽의 크기에 대한 문화재청의 주장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광곽의 크기에 대한 활자본과 번각본의 관계에 대해서 『향례합편』을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청의 수치상 조판실험 가운데 가장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조판 실험(제2차 실험 가운데, 평균 크기의 활자와 번각본의 최대 광곽 변화율이 적용된 실험)에 의거한다면 증도가자의 조판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능할 것으로 판명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향례합편』의 활자본과 번각본의 광곽 길이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는데, 활자본의 경우는 그 번각본에 비해 평균 0.52㎝가 길고, 가장 많이 긴 경우(제42장)는 0.95㎝가 길며, 가장 적게 긴 경우(제40장)는 0.15㎝가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번각본의 평균 광곽 길이를 가지고 활자본의 광곽 크기로 추정하는 문화재청의 『증도가』 활자본 광곽 크기의 추정 방식이 잘못된 것임을 증명해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sistence and question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bout the Printing Plate size in the process of the Administration’s experiment of Typesetting, which becomes important grounds for finding out the truth of Jeungdoga-type. Also, it specifically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hwaljabon and beongakbon to the Printing Plate size targeting Hyangryehappyun. The conci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proved that the Typesetting of Jeungdoga-type is not impossible but possible on the basis of the most realistic and reasonable experiment of Typesetting, which includes the average sized hwalja and the most Printing Plate rate of change in the second experiment, among the experiments of the figure from the Administration. Secondly, it is investigated that in the case of hwaljabon, it is 0.52cm longer than the beongakbon on the average, 0.95cm longer in the longest case (chapter 42), 0.15cm longer in the least long case (chapter 40) from the investigation contents about the results of the length of Printing Plate of hwaljabon and beongakbon of Hyangryehappy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