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구성 방식 연구 -중학교 1학년 검정 교과서 23종의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류보라 ( Bo Ra Ryu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9 No.-

        이 연구는 국어 교과서의 단원 구성에서 영역 통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23종의 중학교 1학년 검정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읽기 영역의 통합양상을 분석하였다. 23종의 검정 국어 교과서의 읽기 단원에서 영역 통합 단원이 읽기 성취기준별로 16회에서 27회까지 나타나 대부분의 읽기 단원이 영역 통합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읽기와 밀접하게 통합한 영역은 쓰기였고, 말하기, 문법 영역과 통합한 단원의 사례수도 높게 나타났다. 대단원의 통합 방식은 나열 방식, 융합 방식, 나열 후 융합 방식, 융합 후 나열방식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나열 방식은 대단원에서 통합한 영역들을 소단원 수준에서 별도 단원으로 구성하는 방식이며, 융합 방식은 대단원에서 통합한 영역들의 교육내용을 융합하여 소단원 수준에서 통합 영역들을 다루고 있는 방식이다. 대단원 구성에서 영역을 통합하였으나 소단원과 활동 수준에서는 통합되지 않고 나열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는 대단원의 학습목표와 소단원의 학습목표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소단원 학습 목표가 제시되어야 교사와 학습자가 각 소단원의 학습목표를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영역을 통합하여 단원을 구성하면서 교육과정의 내용에 변형이 일어나는 양상이 있으므로 효율적인 교수·학습이 운용되기 위해서는 통합의 방식에 대한 구체안이 교육과정 수준에서 안내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of unit construction in Korean textbook. This study analyzed how the reading domain is integrated with other domains in 23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Most reading units are proved as domain integration unit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reading domain are integrated with other domains 16 to 27 times in the reading units in the 23 authorized textbooks. Writing domain is the most frequently integrated with reading domain. Speaking and grammar are the next. The way of integration of main units is arrangement, combination, combination after arrangement and arrangement after combination. The arrangement is that domains are integrated in the main units and each content of domain consists the small units. The combination is that domains are integrated in the small units. In the arrangement, the small unit`s objective should be presented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recognize it clearly because the main unit`s objective does not match the small unit`s one. The introduction of the way of integration is necessary in the curriculum level for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lesson since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happens in the domain integration.

      • KCI등재

        갈등사회에서 요구되는 비판적 읽기 교육

        류보라(Ryu, Bo-ra)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5

        이 연구의 목적은 갈등사회의 속성을 이해하고 화해하는 능력으로서 비판적 읽기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판적 읽기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비판적 읽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사회갈등의 구성 요소와 종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비판적 읽기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개념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비판적 읽기는 기능적 문식성 차원에서 사용된 용어이나 문식성의 개념 변화에 따라 비판적 문식성의 범주 속에서 그 의미를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에 대해 발견되는 문제점은 교육내용이 충분하지 않고, 비판적 읽기가 독립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복합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교과서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텍스트의 내용과 관련 맥락, 텍스트가 소통되는 구조와 관련 맥락에 대한 이해의 수준으로 비판적 읽기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비판적 읽기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비판적 읽기의 개념 정립, 교육과정수준에서 교육 내용의 체계화, 비판적 읽기 교육 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ritical reading ability as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reconcile the nature of conflicting society,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critical reading educatio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problems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mponents, types and causes of social conflict were investigated, and the conceptual change of critical reading was examined. And the content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that appear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based on these concep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eaning of critical reading in the category of critical literac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literacy or terms used in the dimension of functional literacy. The problems found in critical reading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is insufficient and that critical reading is not independently handled, but is handled in a complex manner. The problem found in textbooks is that critical reading is not possible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context of the text, the structure in which the text is communicated and the contex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ritical rea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ritical reading, systematize educational contents at the curriculum level, and develop critical reading education method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

        류보라 ( Bo Ra Ryu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7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갖고 있는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이 독서의 목표와 독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알아보기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학생들의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들의 좋은 독자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생들의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과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의 세 가지이다. 연구 방법은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을 그림, 글, 단어로 표현하도록 하였고, 좋은 독자 인식에 영향을 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학생은 서울소재 3개 학교의 3학년 학생 65명과 6학년 학생 72명으로 남학생 67명, 여학생 70명이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은 좋은 독자는 책상 앞에 의자를 놓고 바른 자세로 앉아서 책을 읽는다는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6학년보다 3학년 학생들이 좋은 독자가 즐겁게 책을 읽는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초등학생이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좋은 독자의 모습은 친구가 가장 많았고,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의 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은 부모님, 선생님, 친구와 수업 시간의 지도였다.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독자 인식과 책상, 의자 이미지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이 독서를 즐거운 대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독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search elementary students` good reader perception and find how to improve their reading attitude.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s the elementary students` good reader perception,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e elementary students` good reader percep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good reader perception and reader self-perception. The research method is the analysis of the data about their pictures , writings and words about good readers and the questionary of themselves as readers and influences of their perception. The participants are 65 third graders and 72 sixth graders and they are 67 boys and 70 girls. The result is that they have a stereo-typed image which a good reader reads books sitting on a chair in front of a desk with a good posture. Third graders perceive that a good reader enjoy reading compared to sixth graders. The images of good reader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e around them are mostly friends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formation of perception of good reader are their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the instruction of the lesson. The positive perception of good readers about themselves have a meaningful co-relation with the image of desks and chairs. It is need to educate the elementary students to enjoy the reading.

      • KCI등재

        교육 실습에서 국어과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 성장 연구

        류보라(제1저자) ( Bo Ra Ryu ),백혜선(교신저자) ( Hye Sun Paik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이 연구는 국어과 예비 교사들이 교육 실습을 통해 수업 역량이 성장하는 과정과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참여자는 3개 중등학교에서 실습한 4명의 교생이며 연구 자료는 관찰 자료, 면담 자료,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 참관, 교생 면담을 주요자료로 활용하였다. 교생 4인의 교육 실습에 대한 자료들에서 추출한 중심어는 ‘교생의 수업 역량 성장’으로 관련 변인은 교육 실습에 대한 인식, 실제 수업의 체험, 교육 실습의 어려움, 교생의 역량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 등네 범주이다. 교육 실습을 통해 국어과 예비 교사들은 수업 역량의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교생들은 부담과 기대라는 인식을 갖고 실습에 임하며, 수업역량 성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활동은 실제 수업의 체험이다. 그러나 실습 과정에서 교생은 내적으로는 정체성의 혼란, 외적으로는 환경적인 요인들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업 역량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은 지도교사와 대학에서의 강의이다.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해 수업 역량 관련 요인들을 중심으로 교사 양성 교육과 교육 실습을 내실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develop the teaching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and explor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ir practice teach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our student teachers at three secondary school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observations, interviews, and documents. The primary data are from observations of instruction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 teachers. The key term extracted from the data of the four student teachers is “growth of the teaching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practice teaching are the perception of practice teaching, experience of real instruction, experience of problems, and factors related to teaching competence. The teaching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develops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practice teaching. Student teachers expect to practice teaching and have the responsibility to do so, and the experience of giving real instruction is most related to the growth of their teaching competence. However, student teachers experience problems stemming from the confusion of their internal identity and external environmental effects. The teachers’ instructors and university lectures are environmental effects. To foster the growth of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the education of student teachers and practice teaching should ensure internal stability focused on teaching competence.

      • KCI등재

        중학생의 독서와 진로 탐색의 관계

        류보라 ( Ryu Bo Ra ),김소현 ( So Hyun Kim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발달 단계에서 진로 탐색기에 속해 있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탐색을 위한 도구로서 독서가 갖는 의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진로 지도에서 독서를 활용하 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지역의 중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독서 현황과 진로 교육, 진로 탐색에서 독서를 활용하는 방식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중학생의 독서 흥미는 보통 수준이 었으며 진로성숙도는 약간 그러하다의 수준을 보였다. 독서 흥미와 진로성 숙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어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 독서 흥미를 높이고 독서를 즐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독서를 활용한 진로 지도 경험은 많지 않아 진로프로그램에서 독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학교 전체의 진로교육 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구안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학생들의 진로 탐색에서 독서를 활용하는 방식을 분석 한 결과 상당수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 제공원으로서 인쇄매체의 자료 들을 긍정적으로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중학생들이 인쇄매체 에서 자신의 희망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도서를 찾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도서 검색 방법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독서와 밀접한 상관을 맺고 있으므로, 중학생 들의 진로 교육에서 자아 성찰적이며, 다양한 탐색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독서 활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meaning of read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to suggest the way of using reading for career education. This study is a survey of 299 students of 3 middle schools in Seoul and Kyeonggi-do, and an analysis of reading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The result of research is that reading interest is in middle level, and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is a little higher than middle level. Reading interest has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so it is useful to read pleasantly and make reading interest higher for career maturity. The students`` experiences of career instruction through reading activity are not enough,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using reading for career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make a system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integrated career education for school. The analysis of how middle school students use reading for career exploration is that they depend on the printed media for the source of career information. So it needs to teach middle school students how to search books that suits for their expected career.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has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so it is necessary to use reading for various exploration of career and self-reflection.

      • KCI등재

        청소년의 독자 인식 양상과 범주 연구

        류보라 ( Bo Ra Ryu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독자로서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이상적인 독자와 자신의 독자로서의 모습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한 자료를 분석하여 이루어졌다. 186명의 글과 그림에서 독자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개념 어들을 추출하여 이를 6개 상위 범주로 묶은 후에 각 상위 범주를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빈도를 분석하였다. 독자 인식을 구성하는 6개의 상위 범주는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행동적 측면, 독서 환경, 학습과의 관련, 비유적 표현이다.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은 14개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었으며 각 상위 범주를 대표하는 하위 범주는 이해, 집중, 바른 자세, 많은 책, 모범생, 책벌레였다. 자신에 대한 독자 인식은 12개의 하위 범주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대표하는 하위 범주는 무념, 귀찮음, 바르지 않은 자세 등으로 나타났다. 이외 기타의 내용으로 좋은 독자는 독후감, 토론 등 독서 관련 활동을 잘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좋지 않은 독자로서의 인식으로 책을 읽으면 잠이 온다는 내용이 있었다. 청소년의 독자 인식은 독서 교육의 방향을 점검한다는 의미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is to search adolescents` reader self-perception and analyze the data of their writings and pictures about good readers and themselves as readers. Conceptional words which represent reader selfperception were extracted from 186 students` writings and pictures. After placed them under the 6 higher categories, they were analyzed frequency dividing higher categories into lower categories. 6 higher categories which organize reader self-perception are cognitive aspect, affective aspect, behavioral aspect, reading environment, relation with study and metaphorical expression. The conception about good readers is organized by 14 lower categoriesand the lower categories that represent each higher categories are understanding, concentration, a good posture, many books, a model student and a bookworm. Reader self-perception is composed of 12 lower categories and they are without thinking, idleness, a bad posture and so on. Besides, good readers recognize they are good at reading activity such as a book report or discussion but poor readers recognize they feel sleepy while reading. Adolescents` reader self-perception can give an educational message in that it examines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독서 교육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류보라 ( Bo Ra Ryu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2

        이 연구는 국어 교사의 독서와 독서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4명의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한 자료를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국어 교사들은 독서와 독서 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고 있는가와 국어 교사들의 독서와 독서 수업의 관계는 어떠한가이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독서 교육은 국어 수업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 하는 양상을 보인다. 국어 교사들은 독서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 만 이들의 수업에서 독서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독서 교육의 방식에 대해서도 교사들의 인식이 합의되어 있지 못하다. 국어 교사의 독서는 독서 교육과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많은 영항을 주므로 국어 교사의 독서가 활성화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국어 교사의 독서 지도 방식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강제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나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거부감에 대해서 우려하고 있다. 학생들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 하여 독서 동기를 적절하게 자극할 수 있는 교사의 지도가 필요하다. 독서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독서와 독서 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qualitative analysis from the interview with four reading teachers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reading teacher``s reading and perception of reading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y think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are and how is the relation between reading and reading lesson. The reading education in school does not seem to be linked with reading lesson closely. Reading teachers recognize that reading education is important but reading education can not be the main in the lesson. Also the perception of reading teacher does not reach an agreement on the way of reading education. Reading teacher``s reading has a strong influence on reading education and teacher``s efficacy in teaching, so the support is necessary for promoting teacher``s reading. Teachers think the way of teaching reading needs to have some compulsion but they are worried about students`` repulsion. They need to stimulate students`` motivation properly and understand students`` psychological status.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reading and perception of read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positively for the success of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독후감에 나타난 독해 양상 분석 연구

        류보라 ( Bo Ra Ryu ),서수현 ( Soo Hyun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3 청람어문교육 Vol.47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 of reading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reading reports and understand their way of reading to write reading reports.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are raised for this paper:(1) How is the frequency of aspect of reading in the reading report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2)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reading report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3)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genres in the reading report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190 reading reports of 67 students are analyzed for this study. This content is categorized into 6 units, specific idea, general idea, finding out implicit idea based on text, general evalu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ext, response on a text and creative expression using schema. The result showed that text-based reading and response are frequent in the reading reports. Girls showed greater frequency than boys in the aspect of read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genres, creative expression in literature and response in persuasive texts showed greater frequency. The aspect of reading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reading reports showed text-based reading and simple response, so it is necessary to teach many ways of reading for various thinking and good reading re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