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잘 자요, 엄마』의 제씨의 자살에 관한 분석

        류미정 ( Mi Jeong Ryu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4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4

        본 논문은 마샤 노먼의 『잘 자요, 엄마』(night, mother)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나온 정념의 정의를 바탕으로 제씨의 ‘감정’을 분석하여 그 자살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잘 자요, 엄마』는 1983년 퓰리처 상을 받은 미국의 여류 극작가 마샤 노먼의 작품이다. 이 희곡은 딸인 제씨의 자살 선언으로 시작하여 그녀의 자살을 막기 위한 엄마 델마와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마샤 노먼은 제씨의 죽음에대해, 자신이 바라는 것을 아무 것도 가질 수 없다고 생각하는 그녀에게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자기 조절 문제를 용기 내어 움켜쥐는 것이라 설명한다. 이 희곡에 대한 많은 연구도 제씨의 자살을 ‘주체성의 주장, 자아 추구’등의 용어로 제씨가 자신의 존재감을 주장하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에 덧붙여, 제씨의 ‘감정’에 초점을 맞추어 희곡을 분석해 보았다. 감정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했기 때문에 발달한 것이며, 이는 타인이나 사회 등 세상과 맺는 관계와 관련이 있다. 자신이 처한상황과 대상에 관해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감정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결국 감정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사람에 대해 이해한 제씨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스스로 상실한 자기 자신에 대한 화두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실존적 감정이라 일컬어지는 수치심, 죄책감, 두려움(불안)을 바탕으로 제씨가 어떻게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실존적 감정들을 자극받아 왔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씨의 자살을 자신의 인격을 보호하고 자신의 존재를 주장하기 위한 ‘분노’ 표현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제씨의 자살의 이유와 그 결심의 타당성을 감정의 흐름을 통해 이해하였다. 그녀는 두려움이라는 감정 대신 수치심과 죄책감을 깊이 경험하며 그것이 내재된 분노로 인해 자살을 유일한 희망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제씨가 ‘자기 존재, 자신의 주체성’을 주장하기 위한 분노의 방식으로 자살을 선택한 것이라면, 역으로 그녀가 살기 위해서는 자신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경험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자신의 감정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랬더라면 제씨에게 필요했던 ‘사랑과 희망’을 발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삶의 의미에 대해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의문으로부터 출발하여 결국에는 ‘삶과죽음’은 맞닿아 있으며 ‘죽고 싶다’는 말은 ‘잘 살고 싶다’는 말이었음을 새삼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살 행위에 이르는 감정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죽음’의 희망 대신 ‘삶’의 희망을 찾도록 하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Jessie’s suicide in Marsha Norman’s ‘night, Mother’ by analyzing her emotions based on the definition of passion from Aristotle``s 『Rhetorics』. ‘night, Mother’ is a play of American playwright Marsha Norman who received the Pulitzer Prize in 1983. It begins with the Jessie’s announcement of suicide and consists of the conversation with her mother Thelma to prevent suicide of her daughter. Marsha Norman explains that the suicide is for Jessie to grasp courageously the power of self-control, because she believes that she cannot have anything she wants. Many researchers conclude that Jessie’s suicide is her choice to assert her strong presence in terms of ‘claim of identity, inquiry of self’. In addition, I analyze it focused on the ``emotions`` of Jessie. Emotions are developed and transformed in needs of human being’s survival, so the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world such as others or society. We respond each other in different emotions, according as the way to give meaning to our situation and objects. After all, to understand the emotions can be seen as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ity. Jessie has doubts about her presence and has a topic for lost herself. Therefore, I examined how she made relationship with others by the stimulation of feelings based on so called existential feelings; shame, guilt and fear. And I understood the reason of her suicide and its validity through the flow of emotions from protecting her personality to asserting her presence by expressing ‘anger’. She experienced the feeling of shame and guilty deeply rather than fear, so she accepted suicide as the only hope by the inherited anger. Jessie has chosen to commit suicide in the way of anger for claiming ‘self existence, her identity’, But I thought on the contrary that she would have needed to experience to be taken herself as is. In other words, she needed to switch the view on her emotions. Then she would have found ‘love and hope’, necessary for herself. Starting from the question of how to look for the meaning of life in this paper, I found that ``life and death`` wa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 want to die" was saying “I want to live well.” I examined also the possibility to find the ‘hope of life’ instead of that of death in pursuit of the flow of emotions reaching to the very act of suicide.

      • KCI등재

        2014~2016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연극치료 사업 분석 및 제언 - 생명보험사회공헌 지원사업 자살예방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류미정 ( Ryu Mi Jeo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7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7

        이 논문은 2014년~2016년까지 지난 3년 간 생명보험사회공헌 지원사업으로 진행된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 연극치료 사업을 점검해 봄으로써 효과적이었던 부분과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여 보다 더욱 효과적인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요인을 살펴보고 그를 토대로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 연극치료 프로그램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사항이 무엇인지 점검 하였다.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정서적인 문제-우울감과 무망감, 자기조절능력, 문제 해결력, 자존감 향상(긍정적인 자아상 탐색, 긍정적 감정과 경험에 접근하기)을 다루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가정 문제, 교우 관계, 학업 스트레스’에 관한 사건 및 감정을 살피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정서적 친밀 및 의사소통’을 경험하며 자신의 문제를 변형하고 삶의 의미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정서적 안정, 자기조절 및 문제 해결력 향상, 자존감 향상, 삶의 의미 발견, 지지적인 관계 구축’으로 크게 다섯 가지의 보호요인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견지를 바탕으로 생명보험사회공헌 지원 사업으로 지난 3년간 진행된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세부 프로그램의 점검 전, 전반적인 사업의 점검으로, 사업의 구성, 각 년도 별 진행하면서의 문제점과 변동사항, 프로그램의 결과를 살펴보았고, 좀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기간 설정, 대상 선정 기준 재점검, 사전, 사후 검사의 결과 분석의 미흡함 등의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연극치료 세부 프로그램을 각 년도 별로 참여자 사전, 사후 검사 결과 및 만족도 설문지 결과와 비교하여 점검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기인식의 향상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정서적 안정, 자존감 향상, 삶의 의미 발견과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업 초반에는 상대적으로 지지적인 관계구축, 자기 조절 및 문제 해결력 향상에 있어서는 미흡함이 보여졌다. 2016년의 경우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지지적인 관계구축에 초점을 맞추어 관계 측면에서의 향상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만 여전히 문제 해결력 향상에 관한 프로그램의 비중이 다소 약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3년간의 작업을 점검하면서 청소년 작업에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부분은 집단의 관계 및 신뢰형성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참여자 만족도 설문지 결과를 토대로 하였을 때 현재까지 꾸준하게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 만족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상승해오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에도 사전, 사후 검사 결과와 만족도 설문지, 진행되었던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관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유기적인 분석을 토대로 더욱 효과적인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난 3년간의 사업 자료를 처음으로 취합하여 정리하고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 이를 통하여 이후 더욱 효과적인 청소년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보완해야할 부분을 제언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reviewed the suicide prevention theatrical treatment program for young people who was supported by the Life Insurance Philanthropy Foundation for the past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By identifying and proposing what is needed, the aim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a more effective program of suicide prevention theater treatment for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youth suicide were examined firstly, and then what was the focus of the suicide prevention theater program for adolescents. Suicide Prevention Dramatherapy Programs for Adolescents should deal with emotional problems - depression and hopelessness, self-control, problem-solving skills, self-esteem (seeking positive self-image, approaching positive emotions and experience). To do this, we need to look at events and feelings about 'family issues, friendships, and academic stress'. In this process, we must change our own problems and discover meaning of life through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imacy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his program, five kinds of protection factors should be constructed as 'emotional stability, improvement of self contro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self - esteem, discovery of meaning of life, supportive relationship building'. Based on this viewpoint, the Korea Theater Therapy Association was trying to analyze the program of Dramatherapy for prevention of suicide in the youth for the past three years as a support project from the Life Insurance Philanthropy Foundation. Before the detailed program check, the overall project review, the composition of the project, the problems and changes in the progress of each year, and the results of the program were reviewed. And the lack of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inspection, pre- and post-test. Finally, comparing the theater treatment program for prevention of suicide in youth with the pre-, post-test, and satisfaction survey results of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at what point in time there was an effect on emotional stability, self-esteem, Related. However,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there was a lack of supportive relationships, discipline and problem-solving skills. For 2016, this was reflected to show that it has improved with a focus on supporting relationships. However, the proportion of programs in problem solving still seems to be somewhat lacking. In reviewing the work for three years, we once again confirmed that the part of youth work that needs to be preceded is group formation and trust 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rticipant satisfaction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gram participant was steadily increasing. This analysis also confirms the nee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test and test results, satisfaction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programs. This organic analysi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theater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the past three years. It is meaningful to propose a supplementary part in developing a more effective theater therapy program for young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