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비설화의 다면적 가족 양상과 모성의 의미

        류명옥(Ryu, Myeong-ok)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9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4

        구비설화에는 다양한 가족의 모습이 나타난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중심으로 자녀들이 함께 생활하는 가족공동체를 통해서 여러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구비설화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모습은 자녀를 훌륭하게 양육하는 어머니와 자신의 욕망실현을 우선시하는 어머니 등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어머니에 대한 연구는 주로 모성실현 여부에 따라 훌륭한 어머니인가 아닌가를 논의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모습을 모성실현 여부로만 살펴본다면 구비설화의 어머니에 대한 연구는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못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오누이 힘내기〉 유형 설화와 〈자식 버리고 개가한 어머니〉 유형 설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두 설화 유형의 어머니는 자녀에게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어머니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단순히 어머니가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않고 자신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모습만을 보고 비판적으로 바라본다면 결국 여성의 문제 또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속의 여성들의 문제로 논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어머니에 대한 연구를 다면적으로 살펴보는 데 한계점을 지니게 될 것이다. 〈오누이 힘내기>〉유형 설화의 어머니는 아들을 살리려고 딸을 죽이는 과감한 행동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어머니로서 무비판적으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가 가족공동체에 편입되기 위한 방법이었던 것이다. 〈자식 버리고 개가한 어머니〉 유형 설화의 어머니는 개가하는 여성이라는 부정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어머니가 개가하게 되는 결정적인 이유가 자녀가 어머니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비설화 속에서 어머니가 모성 실현을 하지 못하는 행동에 대해 그 원인과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를 살펴보아야 한다. 어머니가 자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자녀를 통해서 욕망 실현을 어떻게 하는지를 살펴보아야 어머니의 모습과 모성 실현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모성실현의 모습은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various family figures in oral folktales. Through the family community, where children live together with their fathers and mothers, they show their families. Especially, the mother`s appearance in the storybooks varies from her mother who cares for her children well and her mother who prioritizes the realization of her desires. However, in most studies, the study of mothers was mainly discussed as to whether they were good mothers or not, depending on whether maternity was achieved or not. However, if you simply look at the mother`s failure to take care of her children and not to fulfill her role, they will eventually be discussed as women`s issues or patriarchal ideology. These discussions will have limitations in examining the research of mothers in many ways. 〈The Trial of Strength between brother and sister〉 folktales is her daughter to act boldly to kill her daughter. However, this behavior was not a critique of patriarchal ideology as a mother, but a way for mother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family community. 〈The Mother abandons a child and rewarriage〉 folktales is a negative image of a woman who is a rewarriage, but the decisive reason why her mother is a rewarriage is that her child does not need a mother. In order to examine the cause and reason for the mother`s failure to realize maternity in a narra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should be examined. It is important to look at how mothers perceive their children and how they realize their desires through their children. It can be seen that the motherhood realization can be manifested in various ways.

      • KCI등재후보

        인문학 마을 만들기 사업을 통한 민요 전승양상의 변화와 구연의 현재적 의미

        류명옥(Ryu, Myeong-o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0

        인간의 삶이 점점 도시화 되어 감에 따라 민요는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가 일찍 이루어진 경상북도 칠곡군에는 민요가 사라지기보다는 새로운 방식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지역 사람들의 민요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가고 있다. 칠곡군은 산업단지의 조성으로 인해 많은 인구들이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심각한 문제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작한 사업이 바로 ‘인문학 마을 만들기’이다. 이 사업은 지역발전위원회와 농수산식품부가 시행한 공모사업에 칠곡군이 『인문학도시 조성사업』으로 선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 사업은 마을 어르신들에게 한글을 가르쳐주거나, 젊은이들이 인문학 마을을 방문해서 마을 사람들과 친밀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인문학 사업은 마을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졌지만 민요 전승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배제되고 주변화 되어 왔던 개인들의 이야기가 충분히 가치가 있다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가치가 없다고 여겨졌던 자신의 생애담이나 어린 시절에 불렀던 흔한 노래인 민요가 충분히 가치 있는 것임을 확인시켜 준 것이 민요 전승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지금은 옛날처럼 농사를 짓는 등 노동을 할 때 민요를 부르지 않아 민요가 점점 사라져가고 있지만, 인문학 마을 만들기 사업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성인문해교육을 통해서 기억에서 사라져가는 민요를 글로 적어 놓고 언제든지 부를 수 있게 되었다. 이제 민요 전승은 구전의 방식에서 글로 쓰여진 사설을 보고 부르는 방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처럼 칠곡군이 시행하는 ‘인문학 마을’ 사업을 통해서 민요는 노래와 사설만이 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젊은 세대들에게 옛날 어른들의 삶의 이야기를 함께 전해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어 세대 간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민요 전승을 통한 소통은 세대 간을 넘어서 마을 안과의 소통, 마을 안과 밖의 소통까지도 그 역할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구비문학이 현대인들과 끊임없이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것이다.

      • 설화에 나타난 치병 서사와 질병을 바라보는 시선

        류명옥 ( Ryu Myeong-ok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2 백록어문교육 Vol.29 No.0

        인간의 힘으로 치유할 수 없는 질병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혐오의 대상이 되는 문둥병과 신체적 질병 외에 마음의 병인 상사병에 이르기까지 많은 질병을 경험하게 된다. 설화에서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라는 점에서 문둥병에 대한 이야기가 널리 전승되고 있다. 문둥병 설화는 남성이 문둥병에 걸려서 아내인 여성이 병을 치유하는 설화가 있으며, 문둥이 처녀가 하룻밤 동침한 남성을 기다리면서 만든 술을 먹고 치유하는 설화가 있다. 마음의 질병은 상사병의 경우는 대부분 여성들이 병에 걸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구비설화에서는 문둥병 외에도 질병을 치유하는 이야기가 있지만 문둥병은 다른 질병과 달리 가족 내부에서 따뜻한 보살핌과 관심을 받지 못하고 집 밖에서 격리되어 생활함으로써 혐오와 차별의 시선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으로 문둥병 설화에서 환자를 치유하는 방법은 전문적인 의학지식이 아니라 관심과 정성으로 우연히 병이 낫게 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문둥병 설화의 치유 방법을 보면 혐오와 차별의 시선이 환자에게 질병보다 더 가혹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환자를 대하는 자세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사병의 경우 혼자서 속앓이를 하면서 스스로 치유해야 한다는 점에서 문둥병에서 격리되어 소외된 모습과 비슷하게 나타난다. 특히 혐오의 대상인 문둥병과 상사병의 경우 여성이 치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뚜렷한 치병의 방법이 없는 질병의 경우 의약이나 전문적인 지식으로 병이 낫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따뜻한 감정 공유와 위로를 통해서 치유된다는 점에서 질병이라는 것의 근원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질병의 치유는 따뜻한 보살핌과 관심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면서도 여성의 중요한 역할을 통해 다른 가족관계에서 보여주는 혐오와 차별의 시선의 경계를 뛰어넘는 모습은 인간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남녀노소를 넘어서서 인간애에 대한 넓은 의미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Mundung disease is a disease that cannot be cured by human power and has been avoided. In that it is a highly contagious disease, stories about mundung disease are also handed down in oral tales. There is a story about Moon Doong-i disease in which a man has a Moon Doong-i disease and a woman, his wife, heals the disease, and a story about drinking alcohol and healing made by Moon Doong-i’s maiden while waiting for a man who slept overnight. In addition to mundung disease, there is a story of healing diseases and diseases in the oral story. However, unlike other diseases, Mundung disease was recognized as a view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by living in isolation outside the house without receiving warm care and attention inside the family. With this perception, the way to heal a patient in the story of Mundung disease is not professional medical knowledge, but accidentally cured with interest and sincerity. Therefore, if you look at the healing method of the story of Mundung disease, it shows that the gaze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is harsher than the disease to the patient, and you can see what the attitude toward the patient should be. In particular, wome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disease healer in the story of Mundung disease,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Mundung disease healing is centered on marital relationships. By solving incurable diseases that humans cannot cure through couples, marital relationships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they show what kind of relationship should be made beyond blood ties. In addition to blood ties or impulsive feelings of love,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through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is shown through a disease called Mundung disease. While showing the importance of warm care and attention for the healing of the disease called mundung disease, the crossing of the boundaries of hate and discrimination in other family relations shows that women occupy a great deal of meaning in family diseases.

      • KCI등재

        “간통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에 나타난 의로움(義)의 이면적 의미 -간통한 아내 용서하고 간부(姦夫)를 조정에서 만나다-유형을 중심으로

        류명옥 ( Myeong Ok Ryu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본 연구는 ‘간통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의 유형 중에서 ‘간통한 아내 용서하고 姦夫를 조정에서 만나기’ 설화를 통해서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 것이다. 이 설화에서 중요한 내용은 아내의 간통 장면을 목격한 남편이 아내와 姦夫를 용서하는 훌륭한 인품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러한 남편의 의로운 행동을 통해서 姦夫와 남편이 서로 의형제를 맺는 것이다. 그러나 용서를 통한 의로움의 행위는 윤리 도덕적인 측면에서 주목받는 모습일 뿐 실상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일방적으로 혼인 약속을 파기당한 姦夫의 본성에 따라 행동한 모습은 이해받지 못하고, 간통을 저지른 행위로 인해 도덕적이지 못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또 다른 남성인물인 간통한 아내의 남편은 가문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여 윤리 도덕적으로 훌륭한 인품을 지닌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결국 두 남성은 윤리 도덕적인 규범에서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속에서 억압받고 강요당하는 것이 여성뿐만이 아니라 남성에게도 견디기 힘든 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흔히 간통의 이야기에서 대부분 징치당하고 비판받는 대상은 여성이었다. 자신의 정절을 지키지 못하는 여성에게 그 책임을 묻는 것이 간통 이야기의 핵심이었지만 ‘간통한 아내 용서하고 姦夫를 조정에서 만나기’ 설화에 나타나는 ‘간통’ 과 ‘용서’ 의 의미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속에서 윤리 도덕적으로 억압을 당하던 남성들의 모습을 드러내기 위한 소재였으며, 두 남성의 모습을 모두 긍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설화에서 드러나는 의로움의 의미는 윤리 도덕적으로 훌륭한 행위를 한 남성의 모습을 높이 평가하는 동시에 그 이면에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속에서 이상적인 윤리 규범을 실천하기를 강요당하는 남성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는 것을 설화를 통해 말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ill consider what its meaning is through tale titled ‘forgiving adulterous wife and meeting adulterer(姦夫) in mediation’ out of a tale type dubbed ‘Forgiving Adulterous Wife.’ The important contents in this tale include what a husband of having witnessed wife`s adulterous scene reveals excellent personality of forgiving the wife and the adulterer and what the adulterer and the husband mutually form brotherly ties through the husband`s this righteous behavior. However, this image is just what is evaluated as an ideal figure in patriarchal ideology. Its actual condition is shown differently. The image of adulterer, who was cancelled a promise of marriage unilaterally, is being evaluated as a figure who fails to be understood and to be moral due to the act of committing adultery. And what is suppressed and forced amid the patriarchal ideology could be known to have been very difficult to be endured even by men as well as women through the image of the husband, who is evaluated as a figure of having excellent personality ethically and morally with sacrificing himself for honor of the family and of being compensated all the behaviors. Also, the meaning in ‘adultery’ and ‘forgiveness,’ which are indicated in the tale titled ‘forgiving adulterous wife and meeting adulterer(姦夫) in mediation,’ was the material for revealing the image of men, who had been suppressed ethically and morally in the middle of patriarchal ideology and is containing a meaning of being positive in all the images of two men. Accordingly, the meaning of righteousness, which is revealed in the tale, will be able to be confirmed through the tale as saying of being contained the image of men, who are forced to practice the ideally moral norm amid the patriarchal ideology, in the hidden side, as well as highly evaluating the image of a man who did excellent behavior ethically and morally.

      • KCI등재

        웹툰에 나타난 고전 서사 활용의 양상과 의미

        류명옥(Myeong-Ok Ryu) 동남어문학회 2022 동남어문논집 Vol.1 No.54

        본 연구는 고전 서사를 활용한 웹툰을 중심으로 살펴보아 고전 서사와의 긴밀한 관련성을 확인하고 향후 고전 서사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고전 서사를 기반으로 많은 웹툰이 창작되고 있다. 특히 대중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웹툰 <바리공주>와 <그녀의 심청>을 중심으로 오늘날 대중들은 웹툰을 통해 고전 서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웹툰 <바리공주>는 서사무가 <바리공주>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지만, 바리공주의 효녀로서의 모습은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하지만 웹툰 <바리공주>에서 바리공주의 삶을 면밀하게 따져봄으로써 비판과 논란의 문제들을 해명해주기도 하며, 바리공주를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웹툰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웹툰 <그녀의 심청>에서는 심청이라는 효녀로 잘 알려진 <심청전>을 기반으로 창작되었다. 웹툰에서는 심청이에게 자신의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깨닫게 해 주면서 효녀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여성, 이데올로기 비판 등을 문제제기하면서 고전과 현대의 접점을 찾아가고 있다. 웹툰은 그동안 고전 서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있어 왔지만, 지금은 고전 서사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고전 서사를 현대를 살고있는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한 가치를 지닐 수 있음을 끊임없이 확인시켜 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close relationship with classical narratives by focusing on webtoons using classical narrative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use of classical narratives in the future. Many webtoons are being created based on classical narratives. In particular, we looked at how the public today understands classical narratives through webtoons, focusing on the webtoons <Princess Pari> and <Her Simcheong> which are very popular with the public. The webtoon <Princess Pari> was created based on <Princess Pari> and was widely known to the public, but Princess Pari's appearance as a filial daughter has been the subject of criticism. However, the webtoon <Princess Pari> explains the problems of criticism and controversy by closely examining Princess Pari's lif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webtoon can be found in that it allows her to understand in various aspects. In the webtoon <Her Simcheong>, it was created based on <Simcheongjeon>, which is well known as a filial daughter named Simcheong. In the webtoon, Simcheong is finding a point of contact between classic and modern times, breaking away from the perception of being a filial daughter and raising issues such as criticism of women and ideology, while letting Simcheong know what her identity is. There has been a perception that webtoons do not fully reflect classical narratives, but now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m understoo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onstantly confirms that classical narratives can still have valid values for us living in modern times.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아기장수 우투리>와 <반쪽이>를 중심으로 -

        류명옥 ( Ryu Myeong Ok ),조유영 ( Jo Yu-young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4 백록어문교육 Vol.33 No.0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고전 서사 문학 작품들이 교육 자료로 수록되어 있다. 그중에서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이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교육 제재로 활용되고 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는 설화 작품을 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설화 작품 수가 2배로 늘어나는 양적 측면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설화 작품들은 참고자료나 추가 읽기 자료로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읽기 영역’에서 요약하기를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계점을 보인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과 ‘문화 향유 역량’ 함양을 위한 설화 문학 작품의 특징을 활용할 수 있는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설화 문학 작품을 비문학적 성격으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새롭게 개정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역량 함양과 설화 문학 작품의 특징을 반영한 설화 교육 방안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되었던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는 영웅적인 능력을 지녔지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비극적 죽음을 맞이하는 설화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는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는 광포 전설로 전승되어 중요한 설화 문학 작품으로 인정받아 중학교 1학년∼3학년의 국어 교과서에 모두 수록되었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았다. ‘민중적 영웅’에 대한 비판적·창의적인 성취기준과 학습 목표에 적절하지 않아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았다. 영웅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지 않는 교육 제재로 활용되어 온 한계점이 문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작품을 이해해야 하는 설화 문학 작품의 특성과 입으로 구비전승되는 구술성을 지니는 설화는 새롭게 개정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함양을 위해 교육 제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와 비슷한 구조를 지니지만, 장애라는 한계를 극복하는 긍정적인 결말로 이야기되는 <반쪽이> 설화와의 비교를 통해 고난과 시련을 극복하는 방법, 차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을 함양하는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입으로 전승되는 설화가 가지는 ‘낭독’의 특징은 설화 작품의 팟캐스트 창작 활동을 통해 ‘디지털ㆍ미디어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제재로 활용되어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works are includ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Myths, legends, and folktales are used as educational sanctions in middle school official language textbooks. Looking at the folktales contained in middle school official language textbook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aw a quantitative expansion in which the number of folktales doubled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 folktales are limitedly used as reference materials or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are limited in the reading area.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an aspect that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folktales’ literary works to cultivat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to enjoy culture’ requir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chool education field approaches folktales literary works as a non-literary charac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ewly seek a way to educate folktal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tales’ literary works that can cultivate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newly revised 2022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s tory of < Baby Longevity Uturi >, which was most often included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has heroic abilities, but is widely known as a story that leads to a tragic death by failing to demonstrate one’s abilities. The story of < Baby Longevity Uturi > has been widely handed down throughout the country and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literary work, so it was included in all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to third grades of middle school, bu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nly one was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It may not be included in the textbook because it is not appropriate for critical and creativ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goals for “people heroes,” but the limitation that has been used as a material for folktales that does not support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heroes is a problem. Therefore, folktales that require understanding of works based on variou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oral traditions can be used as folktales to cultivate the competence of the newly revised 2022 curriculum.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 Baby Longevity Uturi > folktales, but through comparison with the < Pajjoki > folktales, which are told as a positive end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disability, how to overcome hardships and trials, a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scrimination can lay the foundation for cultivat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of folktales that are handed down through the mout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educational value by being used as an educational sanction to cultivate “digital and media competencies” through podcast creation activities of folkt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