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과관리 유형과 경영성과

        류랑도(Lang Do Ryu)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09 경영관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성과관리에 관한 이론적, 실증적 결과들을 검토하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국내 기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성과관리 현황의 특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성과관리 유형을 제안하고 각 성과관리 유형과 기업 경영성과와의 관련성 및 조직특성의 영향을 설명함으로써 효과적인 성과관리 방안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성과관리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성과지표의 종합성과 성과관리시스템과 인사제도간의 연계성을 두 축으로 하여 성과관리 유형을 종합적 성과관리, 전략적 성과관리, 전통적 목표관리, 형식적 목표관리의 형태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직특성 변수들 중에서 산업특성, 규모, 성과관리 도입기간, 기업전략유형에 따라서 성과관리 유형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검토한 결과 성과관리 유형은 조직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직들이 형식적 목표관리 또는 전통적 목표관리 유형을 넘어서 궁극적으로는 종합적 성과관리를 적용해야 하지만 각 조직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성과관리를 전개해야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성과관리 유형을 세분화한 경우에는 경영성과와의 관계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업의 특성에 따른 성과관리 유형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도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됨으로써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기업들이 경영현장에서 조직적 특성을 고려하여 성과관리 유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실행방안이 될 것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mainly suggest the Type of performance management and the effect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companies in Korea. 215 subjects responded to this survey questionnaires and filtered 78 questionnaires. So we used 137 questionnaires. Three major hypotheses are generated as follow: first, four types of performance management(Total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Historic objective management and Cursory objective management) are different between the type of performance management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dustry, size, the time of performance management and strategy); secondly, four type of performance management are different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ale and operating profit); and thirdly, the interac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typ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industry, the time of performance management) are effec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directly examined these issues. Overall, results revealed that the first hypothesis was adopte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re effect the type of performance management. Then,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cond hypothesis was partially adop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third hypothesis was partially adopted.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four type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Korean firm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re effect the type of performance management. And finally, industry and the time of performance management are moderate performance management typ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organizations should pay attention to improving performance through the organizational characters and chose a appropriate type of performance management. Further discuss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