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성 교육을 위한 김승옥 소설 읽기 - 「역사」(1964)․「서울 1964년 겨울」(1965)을 중심으로

        류동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4 국어교육연구 Vol.- No.84

        1960년대 김승옥의 소설은 고립된 개인의 자의식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날 카롭게 그려내고 있다. 김승옥 소설의 개인은 고립된 상태에 있으면서 타인과 만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시민’에 도달하지 못하는 존재이다. 이 논문은 김승옥 소설의 개인이 지닌 성격에 주목하여 김승옥의 소설을 시민성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성 함양을 위한 소설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1960년대의 ‘시민-소시민 논쟁’을 검토하고 이 논쟁이 지닌 시민성 교육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시민-소시민 논쟁’에서 ‘시민성’은 구성적인 개념이었다. 이 논쟁은 1960년대 문학에서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적 위치에 놓았는데 이에 따르면 김승옥의 소설은 고립된 개인을 시민적 한계로 그렸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김승옥의 소설 「역사」와 「서울 1964년 겨울」을 시민성 교육의 관점에서 읽고자 하였다. 이 두 작품은 1960년대가 만들어내는 사회적 차이로 인해 겪게 되는 자아의 곤경과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분투를 그리고 있다. 「역사」는 1960년대의 사회․문화적 위계 속에서 수치심과 자기혐오에 빠진 주인공을 설정하여 이 비도덕적 감정으로 인해 시민성을 향한 도정에 실패하는 모습을 그린다. 한편 「서울 1964년 겨울」을 시민적 연대에 실패함으로써 애도를 회피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그린다. 이 글은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역사」와 「서울 1964년 겨울」을 독해함으로써 이 실패의 지점에서 독자가 시민성을 향한 도정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Kim Seung-ok’s novels from the 1960s sharply depic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the self-consciousness of isolated individuals. The individual in Kim Seung-ok’s novel can be said to be a being with a desire to become a ‘citizen’ in that he or she seeks to escape isolation. This paper examines Kim Seung-ok’s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rmation of citizenship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 of Kim Seung-ok’s novels, and based on this, proposes the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As pluralism is strengthened, discussions on citizenship are also changing their emphasis. In a pluralistic situation, the role of a citizen is defined as organizing plurality, that is, differences, and when applied to education,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defined as cultivating the internal capacity to deal with difference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ad Kim Seung-ok’s novels 「The Strong Man」 and 「Seoul Winter, 1964」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These two works depict the ego’s predicament caused by the social differences created in the 1960s and the struggle to resolve it. This paper reads 「The Strong Man」 as imagining a pluralistic order beyond shame, and 「Seoul Winter 1964」 as showing an attempt to realize mourning beyond hatred. This reading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 KCI등재

        김동리의『해방』에 나타난 친일의 표상

        류동규 국어교육학회 2012 국어교육연구 Vol.51 No.-

        The memory of pro-Japan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since liberation. Liberation of Kim Dong-ri sets the pro-Japanese and those around them as characters, and tries to alleviate the pain of reminding their memories by representing them through a variety of narrative strategies. Until now contingency and vulgarity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faults of Liberation. These elements, however, function as narrative strategies to relieve the memory of Japan supporters and reorganize the representation of the nation. The narrative strategies employed in the work are listed below. First, it suggests the activities of Sim Jae-young, a pro-Japan citizen, by means of stereotypes. Next, a representation of the nation is given not by ideology, but by sexuality. The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as spokesperson are exposed through their attitude towards sexuality. Finally, it subverts the equation that Japan supporters are the antination by transforming it into the idea that the anti-communist sentiment is the nation.

      • KCI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유년기 경험과 감정의 윤리학 -「생명연습」(1962)와 「건」(1962)을 중심으로-

        류동규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5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novels of Kim Seung-ok without exception fail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failure to establish relationships has to do with their emotional life. They do not honestly expose their emotion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y try to hide their feelings in a wicked way. And often, revealing emotions is regarded as ‘corruption’. Those who are forced to hide their emotions are likely to fall into trouble in ethical life. They are not compassionate about the suffering of others and do not even mourn the death of others. The difficulties in the emotional and ethical life experienced by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novels of Kim Seung-ok originate from the ‘object loss’ experienced in childhood. The childhood stories of Saengmyung Yeonseup(생명연습) and Geun (건) can be interpreted as allegories that reveal ambivalence resulting from the object loss during the childhood period. The confrontational set-up between the brother and the sister over the mother’s relationship with man in the childhood story of Saengmyung Yeonseup(생명연습) is none other than the expression of the ambivalence of the mother. The complex feelings felt by the narrator in childhood over the bodies of the North Korean partisans in Geun(건) are also the expression of ambivalence, here resulting from the loss of his own father. The allegory of ambivalence demonstrates that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of Kim Seung-ok have not resolved the crisis of childhood ambivalence. If a child fails to get over the crisis of ambivalence, the pathological shame forms in a child’s consciousness. There is a pathological shame behind the ethical crisis shown in the novels of Kim Seung-ok.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se novels of Kim Seung-ok deny love in a wicked way, which is the result of pathological shame. The novels of Kim Seung-ok carry implications as a response to the crisis of ethics in the 1960s. 김승옥의 소설의 등장인물들은 예외없이 타인과의 관계 맺기에 실패한다. 이러한 관계 맺기의 실패는 등장인물들의 감정적 삶과 관련되어 있다. 이들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지 못한다. 이들은 위악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감추려고 하며, 감정을 드러내는 것은 종종 타락으로 간주된다. 이처럼 감정을 감추어야 하는 자아는 윤리적 삶에서도 곤경에 처하게 된다. 이들은 타인의 고통을 연민하지 못하며, 심지어 타인의 죽음을 애도하지도 못한다. 김승옥 소설의 등장인물들이 겪은 감정 및 윤리적 삶의 어려움은 유년기의 대상 상실의 경험에서 비롯된다. 「생명연습」과 「건」의 유년기 이야기는 유년기의 대상 상실에서 비롯된 애증병존성을 드러내는 우화로 해석할 수 있다. 「생명연습」의 유년기 이야기에서 어머니의 남자관계를 두고 형과 누나가 대립하도록 설정한 것은 어머니에 대한 애증병존성의 표현이다. 또 「건」에서 유년 화자가 빨치산의 시체에게서 느끼는 복잡한 감정 역시 아버지 상실에서 비롯된 애증병존성의 표현이다. 유년기 애증병존성의 우화는 김승옥 소설의 인물들이 애증병존성의 위기를 해소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아이가 애증병존성의 위기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면 병리적 수치심이 자리 잡게 되는데, 김승옥 소설이 제기하는 윤리의 위기의 이면에 병리적 수치심이 놓여 있다. 김승옥의 소설에서 등장인물들은 사랑을 위악적으로 거부하는데 이는 병리적 수치심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이후 김승옥의 소설은 1960년대 윤리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 겸영법 훈련용 schematic eye의 calibration 평가

        류동규,마기중,이혜정 대한시과학회 2007 대한시과학회지 Vol.9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alibration state of schematic eye and the accuracy of calibra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levels of the examiner. Seven schematic training eyes with same model were set the zero mark on the graduated scale‘ and then + 2.00 diopter trial lens was added to the schematic training eye. Neutralizing distance was measured at 180 degree meridian by one proficient retinoscopist and students of optometry who are not highly skilled yet. Differences in refraction with automated refractor and refraction with retinoscope by retinoscopist and students at zero mark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3 of 7 schematic eyes(P < 0.05). The differences in refraction with automated refractor at zero mark were -0.41:t0.07 D, -0.28:t0.08 D, and -0.45:t0.07 D, the differences in refraction with retinoscope by retinoscopist at zero mark were -0.49:t0.10 D, -0.41:t0.06 D, and -0.49:t0.13 D, and the differences in refraction with retinoscope by students at zero mark were -0.17:t0.14D, -0.15 土0.06 D. -0.22:t0.27 D(P < 0.05). In some schematic eyes, neutralizing point was not correct. Correct and excise calibration before training of refraction by schematic eye is important. lt might be helpful training calibration of schematic eye for the students. 검영법 훈련용 모형안(schematic eye) 의 calibration 상태를 평가하고 검샤에 따른 정확 도를 비교 분석하여 검영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검영법 훈련용 모형안(HEINE BETA 200 Para Stop US PAT. 5859 687) 7 개를 선정하여 눈금을 영점에 맞추고 자동굴절검사기로 영점의 굴절상태를 측정하고, 검사거리 (50 cm) 보정 용 +2,00 D 시험렌즈를 모형안에 가입시킨 상태에서 전문 retinoscopist와 검영법을 처음 배 우는 안경광학과 2학년 재학생들이 각각 중화거리를 측정한 후 눈금설정 상태를 평가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굴절력과 검영법을 이용하여 전문 retinoscopist와 학생틀이 측 정한 굴절력은 7 개의 모형안 중 3 개(모형안 3 번, 4 번 및 5 번)에서 모두 차이가 았었다(P < 0,05) : 자동굴절검사기 측정값은 각각 -0,4l:t 0.07 D, -0.28 :t 0.08 D, -0.45 :t 0.07 D, 전 문 retinoscopist 가 측정한 굴절력은 각각 0 , 49 土0.10 D, -0. 4l:t 0. 06 D, -0.49 :t 0‘ 13 D, 그리고 학생들이 측정한 굴절력은 각각 0.17 :t 0,14D, -0, 15 :t 0,06D, -0.22 :t 0,27D(P < o 05) 측정 결과‘ 모형안의 일부에서 영점 눈금이 정확하지 않았고, 자동굴절검사가와 전문 retinoscopist 의 측정값은 유용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점영법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에게 calibration 과정을 훈련시키는 것이 실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탈민족’의 관점에서 본 낙서족

        류동규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6

        ]Son Chang-seob's novel describes self-overcoming the crisis and making process of the self identity. Especially, 『Naksojok』 is based on the writer's experience in colonial residence and this makes nationality the primary factor of self identity in this novel.In 『Naksojok』, it is expressed as an accidental thing that a person accept his nationality. In this point, 『Naksojok』 is "post-nationalism". Do-hyun is son of an independence fighter. Because of this, Do-hyun is under observation of Japanese police but he never reaches to the position of symbolic father. On the other hand, Do-hyun wants to be comforted from Sang-hui. Do-hyun regards Sang-hui as a noble character, namely a mothernal person. Do-hyun desires Sang-hui but this desire is expressed reversed.In Slavoj Zizek's discourse, Do-hyun's self-identity forming process like this is explained to interaction between symbolic identification and imaginary identification. And this process always leaves the remains. This is shown clearly through the particular narrator in Son Chang-seop novels only. 'Scrawling' shows this kind of remains plainly. 'Scrawling' shows the fact that the symbolic commission of "independence fighter's son" is accidental ultimately and so the subject is not able to accomplish this symbolic commission perfectly. This is a result of the Other's interpellation which is failed, and shows split in national discourse.

      • KCI등재후보

        전후 월남작가의 자아정체성 기원

        류동규 한국비평문학회 2006 批評文學 Vol.- No.24

        The Origin of Self-identity in Writers coming South over the Border in the Post-war Period A war leaves different experiences and memories to a person as he went through. A Korean War is something to be continued with the 1940's experience to writers coming south over the border in the post-war period. It was not only a crisis of self-identity but a chance to new generation. Sun Woo Hui's novel <Flame> and <Flag bearer without flag> show post-war period writer's experience dynamically who is coming south over the border by contemplative loner's adventure narrative form. The contemplative loner denies system around him, and discords with the outside world. But, at the same time, he doesn't know the real trouble because he denies the outer world and wants to be a ruler in his absolute space. The contemplative loner's adventure is developed with family romance such like independence from father and new generation's struggle for power and love. This kind of narrative's development is showing the post-war writer coming south over the border, Sun Woo Hui's self-identity crisis and his overcoming process. The contemplative loner get rid out of enemy and is to be a ruler in the narcissistic space in the final, and the venture comes to an end.

      • KCI등재

        타자 이해를 위한 ‘공감의 플롯’ 읽기

        류동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1

        Recently, cultural diversity and heterogeneity have been increasing in our society as various social boundaries such as jendars, races and generations have been established. As a result,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thers have been newly raised i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The 2015 literature curriculum specified ‘understanding others’ and set up the sections of ‘understanding others’ in literature textbooks. The editor of the literature textbooks include a number of works with ‘plots of empathy’ in the ‘understanding others’ section. ‘Plots of empathy’ consists of a proces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first feels alienated from others, but finds common ground in others after some sort of incident and becomes empathetic to them.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plots of empathy' contained in the literary textbook 'understanding others' section. These works are intended to be read compassionately to the reader by standardizing and presenting ‘plots of empathy’. However, while reading these works, it is difficult for readers to properly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and reach a desirable ‘understanding others’. Next, this paper identified the process of empathy and understanding others as the cycle between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And following this circularity model, we tried a new interpretation of plots of empathy. Through this interpretation, the ‘understanding others’ revealed within the fictional world of text can be converted into the realm of the reader's life. 최근 우리 사회는 젠더, 인종, 세대 등 여러 사회적 경계들이 설정되면서 문화적 다양성 및 이질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학교육에서도 타자 이해와 관련된 윤리 문제가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2015년에 고시된 문학 교육과정은 ‘타자 이해’를 명시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도 타자 이해와 관련된 단원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 변화에 부응하여 문학교육의 공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문학 교과서의 타자 이해 단원은 ‘공감의 플롯’으로 범주화할 만한 작품을 다수 수록하고 있다. ‘공감의 플롯’이란 주요 인물이 처음에는 타인에게서 이질감을 느끼다가 어떤 사건을 계기로 타인에게서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면서 그를 공감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이다. 공감의 플롯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주요 등장인물이 계급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타인에게 이질감을 느끼고, (2) 그를 타자화하지만, (3) 어떤 사건을 계기로 이런 이질감이 근거 없는 것이었음이 드러나게 되고, (4) 타인에게 공감과 연민을 느끼게 된다. 이 논문은 막스 셸러의 공감 개념을 적용하여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공감의 플롯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역동적이고 순환적인 타자 이해의 읽기 모형을 제안하였다. 우선 이 논문은 문학 교과서 타자 이해 관련 단원에 수록된 작품 중 공감의 플롯으로 구성된 작품인,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명랑한 밤길」, 「씬짜오, 씬짜오」을 분석하였다. 문학 교과서는 이들 작품을 공감의 플롯으로 정형화하여 제시하고, 독자의 공감적 읽기를 규범적으로 의도하고 있어, 독자의 바람직한 공감 및 적절한 타자 이해를 이끌어내기 어렵다. 다음으로 이러한 비판을 바탕으로 공감적 읽기 및 타자 이해의 과정을 낯섦과 익숙함 사이의 순환 과정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순환 모형에 따라 문학 교과서가 수록한 공감의 플롯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이 논문이 시도한 텍스트 읽기는 텍스트와 독자 사이의 순환을 이끌어냄으로써 텍스트의 허구 세계 내에 드러난 타자 이해의 양상을 독자의 삶의 영역으로 전환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강신재 소설에 나타난 전후 여성의 자아정체성 - '임진강의 민들레'(1962), '파도'(1963)를 중심으로 -

        류동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07 국어교육연구 Vol.0 No.41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postwar women's self-identity formative method on Mr. Kang Sin-jae's novel <Dandelion of the Imjin River> and <Waves>. With collapse of the traditional order from the Korean war, women had to constitute new self-identity. Mr. Kang Sin-jae's novel performed this work with two different methods. <Dandelion of the Imjin River> compose the humanity with uniting the romantic love and ideology. <Dandelion of the Imjin River>'s heroine E-wha is negative to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but doesn't doubt at all to the romantic love and anti-communism ideology. In conclusion, women's self-identity adheres to patriarchal order named national society.<Waves> seeks femininity throughout the situation and self interpenetration. <Waves>'s heroine Yung-sil perceives her position from the situation or pushing her into the other's situation. Such formative method of a self-identity, is a different method compared to the modern subject which constitutes a self-identical self through a strict isolation for the subject and object, and this becomes one characteristic of the formative method in the postwar femini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