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이전 한국 개신교 여성에 관한 연구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7

        한국 개신교 역사 속 여성에 대한 연구는 뒤늦게 시작되었다. 기독교 여성에 관한 의미 있는 연구물이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부터였고, 연구가 활발하게 된 것은 2천년대에 접어들어서였다. 이것은 두 가지 상황이 맞물리며 일어난 현상으로 보인다. 먼저, 1990년대 중반부터 기독교 학문의 제반 분야 및 한국사 등 인근 학문 영역에서 여성 연구자들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이 시기부터 여성주의적(feminist) 관점이 각 연구 영역에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그 동안 연구는 세 집단, 즉 여성선교사, 기독교계 신여성, 그리고 전도부인에 집중되었다. 여성선교사는 한국 기독교 여성사의 출발점이고, 신여성은 한국 기독교의 여성 엘리트층이며, 전도부인은 민중적 개척자들이었다. 대표적인 여성선교사와 기독교계 신여성이 다수 연구되었으며, 전도부인과 관련된 연구도 점점 확대되었다. 기독교 호교론적 입장이나 민족주의적 입장에서 개인이나 단체의 업적을 부각하는 연구도 여전히 있지만, 여성주의,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문화사, 문학사, 사회사, 미시사 등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도 다수 등장했다. 이런 흐름을 주도한 것은 여성 연구자들이었다. Studies of women in Korean Protestantism began only recently. It was in the 1990s that early researches began to be published, and it was in the 2000s that people saw a proliferation of those studies. This phenomenon seems to come from two interconnected situations. First, the number of female researchers of Korean Christianity and related fields including Korean history has drastically been increased since the mid-1990s. Second, feminist perspectives began to be actively appli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ree groups, namely, women missionaries, Protestant New Women, and Bible women. Women missionaries were the beginning point of women’s history in Korean Protestantism, New Women were the female elites, and Bible women were the grass-root pioneer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Initially, researchers has studied leading women missionaries and New Women, but eventually came to investigate Bible women. Some researchers are still trying to illuminate individuals and groups from apologetic or nationalistic purposes. However, many researchers have facilitated such diverse perspectives as feminism, post-colonialism, cultural history, history of literature, social history, and micro history. Women researchers have been leading these studies.

      • KCI등재

        최태용과 무교회주의: 김교신·우치무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2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55

        이 글의 목적은 김교신·우치무라와의 관계를 통해 최태용을 이해하는 데 있다. 그것은 최태용을 통해 김교신과 우치무라, 그리고 무교회주의를 살펴보는 길이기도 하다. 최태용과 김교신은 1920년대 초 일본 유학 중 우치무라 문하에서 만나 교유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최태용은 김교신에 앞서 우치무라의 영향 아래 들어가 그에게 배웠으며, 한국에 돌아와 다양한 방식으로 그 배움을 적용하고 실천했다. 김교신도 그 사실을 인정하고 존중했다. 그러나 두 사람은 신학, 성정(性情), 활동 방식, 그리고 지향점이 매우 달랐다. 우치무라의 무교회주의에서 성서적 진리의 핵심을 보았던 김교신은 성서 공부를 통해 그 진리를 더 파헤치고 삶 속에 조용히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최태용이 그 진리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한편, 최태용은 타락하여 생명력을 잃은 기존 교회를 개혁하고 생명력 있는 신앙을 전파해야 한다는 절박한 사명감을 느꼈다. 그는 무교회주의가 기존 교회의 문제들을 비판하면서 제대로 된 교회를 만들어 내지는 못하는 것에 불만이었다. 그는 김교신이 우치무라 무교회주의의 그런 비역동성을 극복하지 못했다고 보았다.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Choe Tae-yong in light of his relationship with Kim Gyo-sin and Uchimura Kanzo. That will in turn shed light on Kim and Uchimura, as well as on the Non-church Movement in Korea. Choe and Kim met in the Uchimura circle when they were studying in Japan during the early 1920s. Choe Tae-yong came under the influence of Uchimura and learned from him prior to Kim Gyo-sin, and upon returning to Korea he applied and practiced his learning in various ways. Kim acknowledged and respected that fact. However, the two were very different in terms of their theology, temperament, ways of activity, and orientation. Kim saw the heart of biblical truth in Uchimura’s Non-churchism and made it his goal to investigate that truth further through Bible study and quietly apply it to his life. He thought Choe did not fully understand that truth. But Choe had a sense of urgent mission to reform the corrupt and lifeless church and spread the vital faith. He was dissatisfied that Non-church movement did not create a proper church while criticiz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hurch. He saw that Kim could not overcome such non-activism of Uchimura’s Non-churchism.

      • KCI등재

        [특집 - 한국 개신교 보수세력과 친미ㆍ극우정치] 2천 년대 한국 개신교 보수주의자들의 친미ㆍ반공주의 이해

        류대영(Ryu Dae-young) 비판사회학회 2004 경제와 사회 Vol.- No.62

        김대중 정부 말기부터 이념적 극우 집단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견해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들의 주장은 친미ㆍ반공주의라고 요약할 수 있다. 이들은 남북화해와 미국에 대한 재평가 작업으로 대표되는 탈냉전적인 변화에 위기감을 느끼는 사람들이다. 주목되는 점은 보수적인 개신교회의 일부가 이와 같은 극우파의 정치적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논문은 정치적 극우파와 협력하고 있는 이들 "복음주의 우파'가 누구인지, 그들이 왜 그렇게 협력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복음주의라고 통칭되는 기독교 보수주의는 근본주의부터 복음주의 좌파에 이르는 넓은 신학적, 이념적 스펙트럼을 지닌 다양하고 복잡한 집단이다. "복음주의 우파"는 그 속에서도 특별히 보수적인 신학과 이념을 소유하고 있는 집단이다.<br/> 초기 한국 교회는 지적이고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지닌, 당대의 진보적인 요소였다. 이런 교회의 성격에 큰 변화가 온 계기는 선교사들이 주도했던 1907년의 대부흥이었다.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이 본격화 되는 정신적 공황 상태에서 겪게 된 대부흥은 한국 개신교회를 탈역사적, 내세지향적 종교로 변화시켰다. 1920년대에 국내로 들어온 사회주의 사상은 진보적 성격을 상실하고 내세지향적으로 변한 기독교를 비판했다. 교회는 마르크스주의에 적대적인 선교사와 일본의 영향아래 매우 반공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해방 이후 이념에 따라 분단된 상황에서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사회주의와의 공존이 불가능 하다고 느껴 북을 버리고 남쪽에 교회를 만들었다. 그런 후 한국 기독교는 6ㆍ25 전쟁을 거치면서 친미 반공주의를 극단적으로 강화시켰다.<br/> 친미 반공주의는 한국 교회 전체가 공유하는 특징이다. 그러나 최근 이념적 보수파의 정치적 행동에 동참하는 사람들은 독특한 신학적 견해를 지닌 사람들이다. 이들은 전천년설적인 종말론, 그리고 미국과 공산주의가 거기에서 차지하는 상반된 역할을 믿는다. 또한 그들은 모든 현상을 마니교적 이원론에 의거하여 파악한다. 이들 복음주의 우파의 행동은 공세라기보다는 변화하는 세상에서 느끼는 위기감을 표현한 방어적 행위라고 보아야 한다. 정치에 무관심하고 위정자에 순종적인 경향이 있는 이들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이 정부를 비난하고 나선 것은 어떤 "힘의 공백"을 감지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사회는 그 동안 냉전 구조에서기득권을 누려온 세력과 그것을 극복하고 개혁하려는 세력이 어느 쪽도 결정적인 우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복음주의 우파의 정치적 행동은 이런 힘의 공백이 어떤 식으로 해결될지에 달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Ideological extreme rightists have been clamoring their political opinions Since the latter part of Kim Dae Jung administration Heart of their voice was pro-Americanism and anti-Communism They must have felt uncomfortable and threatened by recent, post-cold war developments exemplified by South-North dialogues and the historical reevaluation of the United States Of note is that some conservative Christians rook active roles in this rightist movement This article trys to identify who this "evangelical right" is and why it cooperates with the political right Christian conservatism, commonly Identified with "evangelicalism," embraces a wide variety of theological convictions ranging from Fundamentalism to the "evangelical left" What this article calls the "evangelical right" is a particularly conservative segment of evangelicalism<br/> Early Korean churches clearly showed an intellectual and nationalist tendency, and were a progressive element of the time But the Great Awakening of 1907, led by American missionaries, brought a fundamental change The Great Awakening, kindled when the Koreans went through traumatic experiences of the demise of the nation under Japanese colonialization, transformed Korean Protestantism into a nonhistorical, other-worldly religion socialism (Communism) that was introduced in the 1920s severely criticized Korean Christianity that had lost its progressive characteristics and became other-worldly Christians, under the influence of missionaries' and Japanese anti-Communism, were definitely against Marxism During the ideological crucible after the liberation, most Korean Christians found that Christianity and Marxism could not coexist Then the Korean War greatly intensified the anti-Communist and pro-American sentiment of the Korean Christians<br/> A pro-American, anti-Communist sentiment is shared by the entire Korean church However, those who participate in recent rightist activities have peculiar theological convictions They have premillennial eschatology, and believe in the American and Communist roles in that eschatological scheme They perceive all things from a Manichaeian dualist perspectiv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is evangelical right should be understood as a defensive response rather than an offensive move. Conservative Christians are known for their apolitical, submissive attitude The reason that the evangelical right came to the front of recent rightist upsurge is that its leaders found a "power vacuum" In Korean society. At present a power vacuum is created by the tug-of-war between the cold-war-period hegemonic groups and the new, reform-oriented camps The evangelical right's future political activities appear to be dependent upon the result of this power struggle.

      • KCI등재

        20세기 미국 종교지형과 기독교 역사학의 변화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4 No.-

        20세기 초 미국 기독교 역사학은 1920년대까지 미국 역사학계를 지배한 “과학적 역사학”과 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1930년대 이후 과학적 역사학의 경험주의적 전제들이 붕괴되면서 미국 기독교 역사학은 그 존재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시작했다. 1930년에 처음으로 현대적 의미의 미국 종교사/기독교사 통사가 출간 된 이후 약 한 세대 동안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양의 연구가 축적되었다. 1960 년대에 나온 통사들은 이런 집단적 연구의 결과물이었다. 1972년에 출간된 시드니 알스트롬의 통사는 그때까지 미국 기독교 역사에 대한 모든 연구를 총집결한 기념비적 저술이었다. 그러나 알스트롬의 통사까지의 미국 기독교 역사는 여전히 기독교를 미국의 종교와 동일시하고, 기독교 내에서도 개신교, 특히 주류 개신교를 중심으로 미국 기독교 역사를 이해하고 있었다. 1980년대 이후 미국의 종교지형은 급격하게 변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종교의 다원성과 여성주의의 등장이었다. 비기독교 전통의 나라들로부터 꾸준히 이민이 들어오고, 동양의 종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와 같은 비기독교 종교들이 급격하게 세력을 확장했다. 이와 아울러, 여성주의가 대두함에 따라 초대 기독교 시절부터 기독교의 실질적 주력이었던 여성의 독특한 목소리와 역사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일었다. 미국 종교사/기독교사 내에서 여성을 찾는 움직임은 1981년부터 5년에 걸쳐 발간된 “미국에서의 여성과 종교”라는 선구자적 저술을 통해 현실화되었다. 21세기 들어서도 20세기를 걸쳐 진행되던 종교적 변화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미국 기독교 역사학은 이와 같이 변화하는 종교지형에 처한 기독교의 모습을 관찰하기 위해 방법론적 혁신을 계속하고 있다. 한국 기독교 역사학계는 미국 기독교 역사학의 변화뿐 아니라, 미국 종교지형의 변화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American religion has undergone dramatic changes in the 20th century. As “Protestant America” or “Christian America” came to an end by any measure during the 1960s, pluralism has become the part and parcel of American religion. With the increasing influx of immigrants from the non-Judea-Christian world, the demography of American religion has dramatically changed. For instance, Islam, with its over 6 million adherents, already surpassed the size of the Jewish community as well as such mainstream denominations as the Episcopalian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es. Los Angeles has the most complex and variegated Buddhist community in the world. Besides, due mainly to the marching feminist movement, churches are forced to discover and recognize the place and contributions of women in and to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Historians of American religion and Christianity have tried to reflect the changes in American religion. The primary themes of religious historiography have been changed from Christianity to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and finally to religious pluralism. Women, black religion, native American religion, and eastern religious traditions have become legitimate and important subjects of historical discourses. New historiographic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better articulate the changes in American religion. Christianity remains to be the dominant religion ; it nonetheless has been losing ground and finds itself in an increasingly pluralistic environment. Historians of Korean Christianity may draw insights from changes in American religion and religious historiography. In particular, they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women in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and to the changes in the Korean religious terrain that is becoming more pluralistic than ever before.

      • KCI등재

        신사참배 관련 소수파 의견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신사참배 문제는 그 동안 민족수난사의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신사참배에 관한 “소수파” 의견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해럴드 헨더슨(Harold H. Henderson)을 중심으로 소수파의 견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구 계성학교 교장이었던 헨더슨은 신사참배를 둘러싼 선교부 내의 갈등이 벌어졌을 때, 일본인들과 타협하면서 학교를 운영해야 한다고 시종일관 주장하며 그것을 실행에 옮겼다. 또한 그는 모든 형태의 신사참배를 금하고 결국 교육사업 철수까지 결정한 한국선교부 집행부를 맹렬하게 비판하며, 끝까지 그들의 지시를 거부하며 계성학교 교장 및 설립자 직을 유지했다. 이에따라 “다수파”를 이끌던 한국선교부 집행부는 선교본부에 요구하여 그로 하여금 교장 및 설립자 직에서 물러나게 만들었다. 신사참배 문제는 한국인들에게는 민족적인 문제이기도 했지만 선교사들에게는 일차적으로 신학적인 문제였다. 따라서 신사참배를 둘러싼 갈등은 “자유주의적 소수파”와 “근본주의적 다수파” 사이의 싸움이었으며, 미국 북장로교에서 벌어진 근본주의-근대주의 논쟁의 연장선에 있었다. 북장로교 한국선교부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보수적 다수파의 지배를 받았고, 그에 따라 신사참배 문제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신사참배를 요구받던 일본 및 일본의 식민지 전체로 볼 때 한국선교부의 다수파는 얼마 되지 않는 소수파에 불과했다. The Shinto Shrine Controversy has been studied mainly as a part of the suffering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and hence the “minority” opinion regarding the controversy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is article will try to examine Harold H. Henderson"s missionary career and reveal some key aspects of the minority opinion. Henderson, a missionar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Board and a long-time principal and founder of Keisung Academy in Daegu, was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He consistently insisted that his mission should compromise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on the shrine attendance issue and continue operating the mission schools; he put his opinion into practice at Keisung Academy. Henderson harshly criticized the mission"s “majority” leaders who decided to prohibit any participation in the shrine ceremonies and tried to close all mission schools; refusing their instructions to resign, he continued to perform the duties of Keisung"s principal and founder. This led the majority leaders to ask the board to order him to resign from the school posts. The Shinto Shrine Controversy was primarily a theological issue for the missionaries, whereas it had a nationalistic dimension for the Koreans. It was basically an extension of the Fundamentalist-Modernist Controversy in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 and became a conflict between a “liberal minority” party and a “fundamentalist majority” party. The conservative majority party took control of the Korea Mission and had the final say on the issue. However, they were a small minority within the larger stage of Japan and its colonies where the shrine attendance was demanded.

      • KCI등재

        매티 노블(Mattie W. Noble)의 일지 * : 한 부인 선교사의 삶과 ‘여성의 영역(Women s Sphere)’

        류대영(Ryu, Dae-Yo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동방학지 Vol.160 No.-

        매티 윌콕스 노블(Mattie Wilcox Noble, 1872∼1956)은 1892년부터 1934년까지 한국에서 선교사로 일했던 초기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다. 그는 윌리엄 아서 노블(William Arthur Noble, 1866∼1945)과 결혼한 직후 한국으로 와서 서울, 평양, 경기도 일대 에서 선교활동을 하였다. 매티 노블은 42년에 걸친 선교사 생활을 일지로 기록했다. 사적(私的) 기록인 매티 노블 의 일지는 선교본부나 선교부에 보낸 보고서나 편지와 같은 공적인 문서에서 찾기 힘든 대단히 개인적인 감상과 의견을 솔직하게 보여준다. 이 글은 그일지에 드러난 내용 가운데 특히 남성 선교사와 구별되고 독신 여성 선교사 와도 구별되는 부인 선교사의 삶과 생각을 보여주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출산과 자녀양육, 질병과 죽음, 가사, 교제와 손님 치점적으로 다루었다. 선교사로서의 활동보다는 아내, 어머니, 그리고 가정주 부로서 부인 선교사의 삶을 미시적으로 접근했다. 일지가 보여주는 바에 의하면 매티 노블은 당시 영미권 중산층이 공유했던 빅토리아적 가치관에 따라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였다. 빅토리아적 가치 관은 가정과 자녀를 ‘여성의 영역 (Women s Sphere)’으로 정하였으며, 여성을 도덕적, 종교적, 자기희생적인 존재로 여겼다. 또한 부인이 인격적으 로는 남편과 동등하지만, 그 역할은 남편을 돕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매티 노블은 이와 같은 빅토리아적 가치관에 충실하였다. 그는 아이들을 양육하고, 가정을 꾸미며, 남편을 돕는 일을 최우 선적으로 여겼다. 매티 노블의 일지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내용 가운데 하 나는 출산, 질병, 교육 등 자녀들에 관한 내용이다. 비위생적이고 낯선 환경 에서 많은 선교사의 어린 자녀들이 사망했기 때문에 부인 선교사의 일차적 관심은 자녀들을 잘 낳고 건강하게 기르는 일이었다. 또한 매티 노블의 일지는 선교사의 가정이 선교사 및 서구인 공동체의 교제 중심지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가능하면 미국식으로 꾸민 선교사 가정은 한국에서 미국식 음식, 미국식 집안, 미국의 주부와 아이들을 보여주는 거의 유일한 공간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미국식 가정은 한국인들 에게 ‘기독교 가정(Christian home),’ ‘기독교 부인,’ ‘기독교 어머니’의 본보 기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교육기관 으로 인식되었다. Mattie Wilcox Noble (1872∼1956) was a pioneer missionary from America s Methodist Episcopal Church who had worked in Korea from 1892 to 1934. She came to Korea immediately after marrying William Arthur Noble (1866∼1945), and was engaged in missionary activities in Seoul, Pyungyang, and Gyeonggido. Mattie Noble left journals covering forty-two years of her missionary life. Being a private record, her journals reveal very personal feelings and opinions that are hard to find in missionaries official reports and letters to the mission board or the Korea mission.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life and thought of missionary wives that is distinct from male missionaries and single women missionaries. Therefore, it tries to reveal the life of missionary wives primarily as wives and mothers rather than missionaries, by dealing, from a micro-historic point of view, with such topics as childbirth and child-rearing, diseases and deaths, homekeeping, socializing, and entertaining visitors. The Journals show that Mattie Noble understood her role in accordance with the Victorian values shared by the middle-class people of the Anglo-American world at that time. The Victorian values defined that only home and children are the Women s Sphere, and considered women ethical, religious, and self-sacrificial beings. Although the wife was equal to the husband in personal qualities, her role was understood to be his help-mate. Mattie Noble was faithful to these Victorian values. She thought that child-rearing, homekeeping, and helping her husband were the things of the top priority. Some of the most frequent entries of her journals were the stories about her children including their births, illnesses, deaths, and education. She had witnessed many deaths of missionaries and missionary children in the unsanitary, and alien Korean environment. So one of her utmost concerns was to raise the children safely. Mattie Noble s journals also show that the missionary homes were at the center of the missionary and western community. They were made as similar as to the homes in A merica, and were practically the only places in Korea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American houses, foods, wives, and children. Besides, the missionary homes were regarded as an important tool of practical education that could demonstrate the Christian home, the Christian wife, and the Christian mother to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윌리엄 레이놀즈의 남장로교 배경과 성경번역 사업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3 No.-

        윌리엄 데이비스 레이놀즈 2세는 1892년부터 1937년까지 35년 동안 한국에서 활동했던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였다. 버지니아의 노폭 출신인 그는 부유하고 독실한 남장로교 집안에서 자랐고, 당시에 남부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 각종 언어에 재능과 관심이 많았던 레이놀즈는 고전어 학자가 되기 위해 존스 홉킨스 대학 박사과정에 입학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그는 목사-선교사가 되기 위해 유니언 신학교로 진학했으며, 남장로교의 보수적 전통주의를 배웠다. 남장로교를 개척한 “7인의 개척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한국에 온 레이놀즈는 호남지역의 남장로교 선교지를 개척했고, 평양신학교 교수로 오랫동안 가르쳤으며, 신구약 성경의 한글 번역에 참여했다. 이 가운데서도 성경번역은 그의 언어적 재능과 학자적 자세가 가장 잘 발휘된 분야였다. 한국어 실력에서 견줄 사람이 없다는 평을 들었던 레이놀즈는 1895년 한국에 온지 3년 만에 조선상임성서실행위원회로 산하 공인번역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이후 그는 은퇴하고 미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신구약 성경의 번역과 개정작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1906년에 발간된 한국교회 최초의 공인역 성경인 『신약젼셔』를 번역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사람은 언더우드와 게일 외에 레이놀즈였다. 1899년부터 시작되어 1911년에 출간된 『구약젼셔』는 사실상 레이놀즈의 개인역이나 마찬가지였다. 이후 레이놀즈는 피터즈, 이원모와 함께 『구약젼셔』의 개정을 주도하여 1937년에 완료했다. 이런 점에서 레이놀즈는 한국교회의 거대한 유산인 1938년도 공인 성경전서인 『성경 개역』이 출간되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한 사람이었다. William Davis Reynolds, Jr. was an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y, who came to Korea in 1892 and continued to work until 1937. He was born and raised in a wealthy, pious Southern Presbyterian family in Norfolk, Virginia, and received the best education available in the South at that time. Both gifted and interested in languages, Reynolds first hoped to become a scholar in classical languages, and entered the Ph.D. program at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Eventually, however, he studied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to become a minister-missionary, where he learned conservative traditionalism of Southern Presbyterianism. Arrived in Korea among the “seven pioneer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he established church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taught at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 Pyeongyang for a long time, and participated in translating the Bible into Korean. Reynolds's linguistic abilities and scholarly attitude were best fit in bible translation. Deemed unmatched in Korean language competency, he joined the Permanent Executive Bible Committee of Korea in 1895, only 3 years after his arrival. Thereafter, he continued to lead various bible translations and revisions until his retirement. Together with Horace Underwood and James Gale, he greatly contributed to the New Testament, the first authorized New Testament in the Korean language. The Korean Old Testament published in 1906 was practically his personal translation. Then he led the revision of the Old Testament with Alexander Pieters and Yi Won Mo, which was completed in 1937. In this regards, Reynolds was the greatest contributor to the revised, authorized Korean Bible of 1938, the great legacy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베트남 전쟁에 대한 한국 개신교의 태도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1 No.-

        Modern history of Christianity witnessed increasing uneasiness with the traditional just war doctrine. Nonetheless, until quite recent year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ppeared to know nothing other than the just war theory. Korean churches were, from the time of the Korea War to the present days, among the first and foremost advocates and supporters of war. The Vietnam War was unpopular among conscientious people around the world. Many doubted the legitimacy of American intervention in Vietnam and the reasonableness of the way Americans waged the war. However, Korean Protestant churches not only supported the American intervention but also justified the Korean military involvement in the conflict. There were two ideological assumptions behind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ttitude toward war, that is,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ism. The churches’approach to the Vietnam War demonstrated how the two ideological concepts made them support the Korean involvement in it. For them the Vietnam War was fundamentally a part of global struggle against the encroachment of “evil” Communism and hence South Korea must help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in defending “free” South Vietnam. In supporting the Korean involvement, churches even canonized it as a “holy” war or a crusade against evil. Pro-American and anti-Communist world-view blinded the Korean churches to the complex post-colonial dimensions of the Vietnam War. However, some churches, from the 1970s, began to overcome the cold war mentality and to reevaluate America’s role in Korean history. The divided opinions on the War in Iraq showed that many Christians do not embrace traditional views of Communism and the United States any longer.

      • KCI등재

        국내 발간 영문 잡지를 통해서 본 서구인의 한국 종교 이해, 1890~1940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6 No.-

        한말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한국에서 발간된 영문 잡지 속에는 한국 종교에 대한 매우 다양하고, 때로는 깊이 있는 관찰과 해석이 발견된다. 한국을 경험한 서구인들 가운데 한국에 관한 글을 남긴 사람들은 한국과 한국적인 것들에 대해 진지한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특히 개신교 선교사들은 한국과 관련된 글을 다른 어느 서구인 집단보다 많이 남겼는데, 종교에 관해서는 더욱 그러했다. 그들은 선교현장에서 한국의 종교를 만났으며,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선교사들 가운데 진보적인 사람들은 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기독교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해한 소위 성취론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오늘의 종교다원주의적 입장과 비교할 때 성취론은 여전히 서구-기독교 중심적이고 사회진화론적인 가치관을 반영했다. 그러나 그것은 당대의 서구인들로 하여금 비기독교 종교전통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연구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기도 했다. 서구인들은 한국의 종교 가운데 샤머니즘, 특히 정령신앙이 가장 오래된 종교전통이며 한국인들의 종교적 심성의 가장 깊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고 보았다. 대부분의 서구인들은 정령신앙을 미신, 혹은 악령신앙으로 생각했으며, 샤머니즘, 풍수지리, 장승 등의 민간신앙도 비과학적이고 전근대적인 신앙행위라고 여겼다. 서구인들의 눈에 비친 불교는 오랜 동안의 탄압으로 인해 활력을 잃은 종교였다. 사찰들은 퇴락했으며 승려들은 교육받지 못하여 무지하고, 종교적 열심도 없었다. 그러나 그들은 불교와 상관이 없는 각종 민간신앙의 요소들이 불교와 결합되어 있는 현상 속에서 불교가 가지고 있는 놀라운 융합력을 보았다. 불교 및 불교와 결합된 각종 민간신앙은 민중과 여성 속에서 여전히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근본적으로 유신론적 종교관을 가지고 있던 서구인들은 유교를 종교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당대의 한국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하여 비판했다. 제사와 관련해서는 한국의 제사가 중국보다는 비종교적이며, 효도의 연장선에 놓여있음을 발견하기도 했다. 서구인들은 동학이 기독교의 영향 아래 발생한 종교라고 보았다. 그들은 동학의 신관에 주목하여, 그것이 “순전히 유일신적”인 종교이며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마음과 양심의 종교라고 호평했다. This article examines westerners'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religion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Westerners who wrote about Korean religion seem to have had genuine interest in it. Their writings cover a large variety of topics and phenomena of Korean religion. Although they inevitably reveal Orientalism and other western-Christian-centered, social Darwinian perspectives, they often demonstrate expert knowledge and deep understanding. Protestant missionaries were among the most sincere and productive observers of Korean religion. The fulfillment theory, which understands non-Christian religion as a preparation for Christianity, gave missionaries a frame of reference to study and understand Korean religion. Missionary writings on Korean religion in missionary journals are often biased by missionary concerns. However, many missionaries also wrote objective and excellent articles on Korean religion in general English journals. Westerners thought Shamanism, and spirit worship in particular, to be the earliest expression and heart of Korean religiosity. Some tried to understand Dangun in connection with Korea's antient Shamanist tradition. Most western writers believed that spirit worship, geomancy, and other folk practices were unscientific and superstitious. Buddhism at that time looked decayed with dilapidated monasteries and mostly uneducated and marginalized monks. Nevertheless, many western observers thought of Buddhism as a great religion. They found that Korean Buddhism adopted many Shamanist elements and had faithful followers especially among women and the masses. Some claimed that Mahayana Buddhism was a result of early Buddhist-Christian encounter. Confucianism was a subject of criticism and contempt. To their eyes, Confucianism was more a philosophy or ethical system that was concerned with this world only. Ancestor worship looked like practically the only religious element of it. Westerners' theistic understanding of religion was well revealed by their positive view of Donghak which they thought reflected Christian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