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간지상전(開墾地桑田)에 발생(發生)하는 지조고사현상(枝條枯死現象)의 원인구명시험(原因究明試驗)

        류근섭 ( K. S. Ryu ) 한국잠사학회 1972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4 No.1

        최근 우리나라 각지의 신개간지상전에 원인불명의 지조고사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피해상전을 택하여 토양의 물리성조사와 토양 및 식물체내의 붕소함량을 분석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해증상의 특징은 발아도중 즉 탈포~연구기까지 개엽하다가 갑자기 말라 죽는다. 2. 피해상전은 화강암모재에 사양토(암쇄토)로 되어 있으며 건전상전은 화강암모재에 양토로 되어 있었다. 3. 유효토심은 피해상전이 10∼20cm, 건전상전이 40∼50cm로서 유의 있게 깊었다. 4. 표층토양의 토양반응과 유효붕소함량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5. 표토층의 유기물함량과 유효붕소함량간에는 유의한 회귀관계를 보였으며 고도로 유의한 정상관계 수를 얻었다. 6. 토양 중 유효붕소함량은 피해상전이 0.13∼0.20ppm, 건전상전이 0.39∼0.49ppm으로서 피해상전보다 유의 있게 많았다. 7. 토양 중 아연함량은 피해상전이 0.95∼1.67ppm, 건전상전이 0.78∼1.23ppm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8. 피층 내 붕소함량은 피해상전이 10.63∼12.99ppm, 건전상전이 18.42∼21.02ppm으로 피해상전보다 유의 있게 많았다. 9. 피층 내 아연함량은 전자가 26.0∼33.8ppm, 후자가 25.2∼30.7ppm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Recently, young mulberry trees grown in the reclaimed hill land are frequently attacted by the die-bark and the buds of the trees developed poorly. In order to learn the cause of the injury mentioned above available boron content in the soils and the bark of young shoots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 Available boron content in the soil of the damaged mulberry fold was 0.3-0.20ppm, against 0.39-49ppm in that of healthy mulberry field, and boron in the bark of the damaged trees was 10.63-12.99ppm, and 18.42-21.02ppm in that of the healthy trees. The organic matter content and available boron content in soil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sitive correlation. The moisture content in percent in the soil of the damaged mulberry held was 11.16 and 14.22 in that of healthy mulberry field.

      • 상수지(桑樹枝)의 내한성(耐寒性) 증대(增大)에 미치는 억제제(抑制劑) Maleic Hydrazide의 살포효과(撒布效果)

        류근섭 ( K. S. Ryu ),오준식 ( J. S. Oh ) 한국잠사학회 1971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3 No.2

        추잠기 수확직후 가지의 선단 잔엽에 MH (Maleic hydrazide) 살포가 내한성 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0.25% 이상의 농도로 살포하면 저장전분이 증가되고 이듬해 봄에 가지의 선단고사비율이 낮아졌다. 2. 중부지방에서의 살포적기는 9월 중순 경이다. 3. 우량 뽕나무인 일지뢰, 개량서반, 노상, 수원상 4호는 MH의 살포효과가 인정되었다. 4. 품종간의 내한성 정도는 수원상4호>개량서반>일지뢰>노상 순으로 강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leic hydrazide upon the winter hardness on leaves spraying after harvesting of autumn rearing seaso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Spraying over 0.25% increased starch in all tissues of the twig than that in the not-sprdyed control twig. 2. Spraying time of central district was the middle ten days of september. 3. There were effect on spraying of all the treatment variety Suwon No. 4. 4. Winter hardiness by variety was strong in the order of Suwon No. 4, Gae Ryang Su ban, Il Jire, Ros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