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축산 오 . 폐수 처리효율 및 처리비용의 최적화 기술

        라창식,신종서,오진석,여인서,홍병주 ( C . S . Ra,J . S . Shin,J . S . Oh,I . S . Yuh,B . J . Hong ) 한국축산학회 1998 한국축산학회지 Vol.40 No.6

        N/A This research evaluated the usefulness of real-time control technology in the Treatment of piggery wastewater. Newly invented real-time control technology using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was successfully applied to a new type of anim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with various treatment phases for organic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s. The new unit treatment process composed of two reactors, named tw?-stage sequencing batch reactor. was operated under two different treatment strategies. In the first strategy, the treatment system was operated under real-time control using ORP as a control sensor. However, a conventional fixed-time operation relied on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and solid retention time (SRT) was conducted in the second strategy. None of them used a supplemental carbon source to achieve proper phosphorus removal and denitrification. The usefulness of real-time treatment technolog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effluent quality and pollutants removal efficiencies.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of TOCs. NH₄,-N. TKN. Ortho-P, total-P, total solids (`IS). total volatile solids (TVS), suspended solids (SS) and volatile suspended solids (VSS) were 98, 100. 98, 97, 98. 78. 90. 97 and 97% in the real-time control and 90. 74. 88. 84. 83, 75, 74, 93 and 92% in the fixed-time operation, respectively. The obtained effluent quality was relatively constant in the real-time control. despite the serious variation of influent strength. However. the effluent quality in the fixed-time operation was variable. depending on the influent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the nitrogen and organic matter levels in die final et)luent were functions of influent quality in the fixed-time operation. Comparisons of the real-time control technology with the fixed-time strategy revealed that the former had significant advantages over the latter as follows : Optimization of treatment capacity was achieved by the application of real-time process control technology. High treatment performance and a constant effluent quality were obtained. despite variations in influent composition. The most distinctive advantage of real-time control technology was its self-adjusting ability to optimize biological pollutant removal and energy consumption by terminating aeration when nutrient removal was complete. With real-time control strategy using ORP, a treatment process for swine manure was effectively operated without the addition of an external carbon source such as methanol or acetate, to enhance denitrification and proper phosphorus removal.

      • KCI등재

        브로일러 사료에 $Bio-Silverlite^{(R)}$의 첨가가 사양성적, 장기중량, 소장 Villus 및 장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창혁,임경천,황재효,라창식,박재인,Kim C.H.,Lim K.C.,Hwang J.H.,Ra C.S.,Pak J.I.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1

        본 연구는 브로일러 사료에 일라이트와 은을 이온 결합시킨 $bio-silverlite^{(R)}$의 첨가가 육계의 육성 성적, 장기 변화 및 장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negative control과 항생제 첨가구에 속하는 positive control, 사료에 0.5(S 0.5%) 및 1.5%(S 1.5%)를 첨가구인 4처리구 5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총 200수로 시험하였다. 증체량은 항생제 첨가구, S 0.5%구 및 S 1.5%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사료 효율은 $bio-silverlite^{(R)}$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우수하게 나타났다(p<0.05). 소장 길이는 +C구가 -C나 $bio-silverlite^{(R)}$ 처리구(S 0.5% 구와 S 1.5% 구)에 비하여 높았으나(p<0.05), 소장 무게는 $bio-silverlite^{(R)}$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근위 중량은 $bio-silverlite^{(R)}$ 첨가구가 -C구와+C구에 비하여 낮았으며(p<0.05), 맹장 무게는 $bio-silverlite^{(R)}$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Villi의 길이는 S 1.5%구가 3주와 6주 후에도 -C구 및 +C구에 비하여 길었다. TBC와 CBC는 주령 및 사료 첨가제의 첨가 형태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AB는 negative 대조구인 -C 구에 비하여 +C 구 및 S 0.5% 및 S 1.5%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effect of $bio-silverlite^{(R)}$ on growth performance, organ phenomenon and cecum microflora in broiler chicks. The $bio-silverlite^{(R)}$ was made by an ion exchange between illite and $silver(Ag^+)$. There were four treatment groups: negative control group(non-treatment), antibiotic supplement group (positive control), 0.5% $bio-silverlite^{(R)}$ supplment group and 1.5%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otal 200 birds was assigned for this five replication tests, allocating 10 birds into each treatment.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on isocalories and isonitrogen for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antibiotic supplementation (+C) and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s(S 0.5% and 51.5%) than the negative control group(-C), and feed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enhanced with increase of the level of $bio-silverlite^{(R)}$ supplement. The length of small intestine was longer in +C than in -C and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s (P<0.05), and the weight of small intestine was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bio-silverlite^{(R)}$ supplement. Crop weight was low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han in -C and +C groups (P<0.05), and the cecum weight was heavi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ation group. Intestinal villi height was longer in 51.5% group at 3 weeks and 6 weeks of age than in -C and +C groups. With the respect of the forma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TBC and CBC was not affected by age and feed additive. However, the number of LAB was slightly high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han in -C and +C groups.

      • 돼지분뇨 특성에 따른 기계교반 퇴비화시설의 적정용적 산정 연구

        곽정훈,최동윤,박치호,정광화,김재환,유용희,윤창규,라창식,Kwag, J.H.,Choi, D.Y.,Park, C.H.,Jeong, K.H.,Kim, J.H.,Yoo, Y.H.,Youn, C.K.,R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08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4 No.2

        돼지분뇨 특성에 따른 기계교반 퇴비화시설의 적정용적 산정을 위하여 돈분 및 톱밥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투입량과 발효온도, 유기물 분해율 및 수분감소율 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본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조내 온도는 발효조내 혼합물 투입 후 4일 이상 경과해야 발효온도가 $70^{\circ}C$ 이상 유지되었으며, 발효조내 투입되는 혼합물(돈분+톱밥)의 수분함량은 평균 72.9%로 추천치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나, 적정수분함량 조정은 발효조 27m 지점 즉, 투입후 $5{\sim}6$일후에나 적정 수분 함량이 되었다. 2. 투입되는 열량가는 현물상태에서 평균 1,127.3kca/kg이고 질소, 인산 가리성분은 각각 1.0%, 1.1, 및 0.38%로 조사되었으며 OM/N은 26.3로 조사되었으며 완제품의 수분 함량은 평균 65.3%였으나 겨울철과 나머지 계절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3. 퇴비화과정 중의 유기물 분해율은 평균 3.53%였으며, 계절별로는 봄철이 3.88%로 가장 높았고, 가을과 여름은 각각 3.47, 3.52%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3.23%로 봄철에 비하여 약 16.8% 정도 분해율이 낮아 퇴비화기간 동안의 수분감소 량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4. 퇴비화시설의 용적 산정에 사용할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앞서 수행한 시험결과에 의거하여 돼지의 성장단계별 분뇨발생량, 계절별 수분증발량, 유기물 감소율, 용적 중 감소율, 톱밥수분량 및 계절별 수분발생량을 산출하였다. 양돈농가에서 돼지의 사육규모가 2000두를 기준으로 하여 용적을 산정시 슬러리 돈사의 경우 적정 퇴비화 용적은 여름철 $281m^3$, 겨울철 $260m^3$으로 약 7.5%($21m^3$) 차이가 났으며, 돈분뇨 및 세정수 등을 포함한 농가의 경우에는 여름철 $412m^3$, 겨울철 $359m^3$로 계절간에는 약 12.9%($53m^3$)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5. 따라서 양돈농가에서의 기계교반 퇴비화 시설을 이용하여 돈분뇨를 퇴비화 하는 경우 계절별 수거되는 돈분의 수분 함량과 유기물 분해율 및 수분증발가능량 등을 고려하여 퇴비화 용량을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vaporation rate of moisture per surface area and degradation rate of organic matter in full scale escalator reversing composting facility were analyzed to develope a computer program for the computation of an optimum volume of composting facility according to handling methods of swine farm, moisture levels of manure, degradation rate of organics and evaporation rate of moisture during composting. The obtained results can be followed as bellow; The temperature in full scale escalator reversing composting facility during composting reached $70^{\circ}C$ in 4 days and maintained until 11 days. Reduction rate of moisture and density was average 1.20% and 29.7%, respectively. Annual degradation rate of organic matter was 3.53%, showing lowest rate in winter as 3.23%. These seasonal degradation rate could be a factor to be considered for proper management and installation of composting facility. When computed with the amount of feces, urine, slurry and manure plus wastewater produced, the optimum volumes of composting facility for slurry and manure plus wastewater including each 95% moisture was $229m^3$ and $277m^3$, respectively, showing 21% ($48m^3$) difference.

      • 양돈농가에서 퇴비화시설별 수분변화량 분석에 관한 연구

        곽정훈,최동윤,박치호,정장화,김재환,유용희,전병수,라창식,Kwag, J.H.,Choi, D.Y.,Park, C.H.,Jeong, J.H.,Kim, J.H.,Yoo, Y.H.,Jeon, B.S.,R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08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4 No.3

        양돈농가에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퇴비화시설에 대한 수분 증발량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사육 두수는 단순 퇴비사 1,433두/호, 기계교반 퇴비화 시설 설치농가는 3,500두/호 이었다. 2. 퇴비화시설의 용적은 단순 퇴비사 $0.33m^3$/두,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는 $0.25m^3$/두로 퇴비화시설 용적이 약 24.2% 정도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조사농가의 수거돈분의 평균 수분 함량은 단순퇴비사 86.8%, 기계교반 85.7%로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의 돈분의 수분 함량이 약 1.3%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1일 투입되는 수분량은 단순 퇴비사 $4.1kg/m^3$/일,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는 $6.5kg/m^3$/일로 기계교반 설치농가에서 약 36.9% 정도 단위면적당 수분량이 높게 투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퇴비화기간동안의 발효온도는 단순퇴비화 시설에서 최고온도가 $45^{\circ}C$ 정도 상승하였으나,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에서의 최고 발효온도는 $70^{\circ}C$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수분 감소량은 퇴비화 시설 $1m^3$당 단순퇴비사 3.7 kg, 기계교반 5.2 kg으로 기계교반 퇴비화 시설이 약 28.8%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퇴비더미내 발효온도 차이에 의한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7. 퇴비화후 비료성분 함량은 질소 함량은 각각 0.84% 및 0.86%로 비슷한 경향으로 조사되었으며, ${P_2}{O_5}$(%) 성분도 0.78% 및 0.74%로 단순퇴비화시설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OM 및 OM/N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8. 따라서 양돈농가에서의 기계교반 및 단순퇴비화 시설을 이용하여 돈분뇨를 퇴비화하는 경우 돈분의 수분함량과 발효온도 및 수분 증발가능량 등을 고려하여 퇴비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amount of water evaporation from composting facilities operated in swine farms are below. The number of swine per a farm was 1433 head/farm for a Simple Composting Facility (SCF) and 3500 head/farm for a Escalator composting facility(ECF) system. The capacities of the SCF and the ECF were $0.33m^3/head$ and $0.25m^3/head$, respectively. The ECF had 24.2% less capacity than the SCF. The average water contents in the swine manure for the CP and the ECF of the surveyed farms were 86.8% and 85.7%, respectively, which revealed the ECF had 1.3% less average water content than the SCF. Daily water inputs into the SCF and the ECF were $4.1kg/m^3/day$ and $6.5kg/m^3/day$, respectively. The ECF had approximately 36.9% higher water input than the SCF. Fermentation temperatures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for the SCF and the ECF were up to $45^{\circ}C$ and $70^{\circ}C$, respectively. The decreases in water contents per each square meter for the SCF and the ECF were 3.7 kg and 5.2 kg, respectively. The ECF lost approximately 28.8% more water content than the ECF, which would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fermentation temperature between two systems. Fertilizer components after composting were examined. Nitrogen contents of the SCF and the ECF were similar (0.84% and 0.86%, respectively) and ${P_2}{O_5}$ contents were 0.78% and 0.74%, respectively, showing the SCF had slightly higher content than the ECF. However, OM and OM/N did no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wo systems. Hence, efforts to increase composting efficiency with considerations of the water content of swine manure,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water evaporation potential should be done when the SCF and the ECF were used in swine farms.

      • 퇴비화 시설용 천연 악취저감제로의 잣송이 부산물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천현식,곽정훈,가천흥,박재인,김창혁,라창식,Chun, H.S.,Kwag, J.YH.,Ga, C.H.,Park, J.I.,Kim, C.H.,R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잣송이 부산물을 이용하여 인체와 가축에는 무해한 천연 잣송이 부산물 악취저감제를 제조하고 돈분뇨 퇴비화과정에 적용하여 악취 저감효과와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잣송이 부산물 악취저감제는 분쇄된 잣송이 부산물, 3종의 미생물(Lactobacillus spp., Alcaligenes spp., Pasteurella spp.) 그리고 무기영양소가 첨가된 당밀수를 혼합하여 수분함량을 55%로 조정한 후 $30^{\circ}C$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제조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대조구인 톱밥처리구(T1),톱밥과 3종의 미생물을 혼합한 처리구(T2), 톱밥과 제조된 악취저감제(NDA) 처리구(T3)로 하여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 내에서 퇴비화를 진행하면서 실험한 결과 퇴비화 기간 동안 모든 실험구는 최고온도 $55^{\circ}C$ 이상까지 상승하며 병원성 유해미생물들이 사멸되는 퇴비화 적정온도 조건에 부합하였다. 또한 퇴비화 전, 후의 이화학적 성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처리구간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제조된 악취저감제를 20%이상 사용시 유기물 분해율이 적어져 퇴비화 과정에서 충분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악취저감제 사용 시 퇴비화 과정 중 암모니아 가스 발생에 따른 질소소실이 상대적으로 적어 최종 퇴비물질의 질소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퇴비화 기간 중 암모니아($NH_3$)가스 발생양상을 분석한 결과 황화수소($H_2S$)와 머캅탄($CH_3SH$) 등의 황화합물 가스와는 달리 퇴비화 전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퇴비화 반응조에서 발생한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비교할 때 31일 동안 포집된 암모니아의 농도는 T1, T2, T3 각각 12,660 mg/L, 11,598 mg/L, 7,367 mg/L로 잣송이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악취저감제를 첨가한 T3에서 암모니아가스의 발생이 확실하게 저감됨을 알 수 있었다.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머캅탄($CH_3SH$)과 황화수소($H_25$)의 일일발생량과 축적량을 측정한 시험에서 제조된 악취저감제를 첨가한 T3에서는 황화수소 가스와 머캅탄 가스가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뤄 잣송이 부산물과 미생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악취저감제의 적량 이용은 퇴비화 과정과 퇴비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 natural deodorizing agent (NDA) was made using pine cone byproduct, and its effects on malodor emission and composting were analyzed in this study. NDA was manufactured by mixing pine cone byproduct with three species of microorganisms and water containing mineral nutrients and molasses, and then by incubating for 48 hours at $30^{\circ}C$. Lab scale experiments were done with three treatment groups, T1 (control, sawdust treatment), T2 (microorganisms and sawdust treatment group), and T3 (NDA and sawdust treatment group). During composting, temperatures reached over $55^{\circ}C$, a minimum temperature for the inactiva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ompost among treatments.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over usage of NDA could obstruct temperature increase, since the biodegradation rate of organic matter of NDA was relatively low, Nitrogen loss due to ammonia gas emission, which normally happens during composting, was reduced by using NDA, and hence the nitrogen level of final compost was higher in T3 than in others. During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ammonia gas emission was entirely lasted through compositing duration, but the $CH_3SH$ and $H_2S$ gases were produced only at early stage of composting. The ammonia concentration trapped in $H_2SO_4$ solution during 31 days of composting in T1, T2 and T3 was 12,660mg/L, 11,598mg/L and 7,367mg/L, respectively, showing distinguishable reduction of ammonia gas emission in T3. The emissions of $CH_3SH$ and $H_2S$ gases were also remarkably reduced in T3. Based on these obtained results, usage of the deodorizing agent made with pine cone byproduct could reduce the emission of malodor during composting, without any deterioration of compost quality.

      • 수직 종형퇴비화시설에서의 산란계분 퇴비화 특성 조사 연구

        곽정훈,김재환,조승희,정광화,최동윤,정의수,정만순,강희설,라창식,Kwag, J.H.,Kim, J.H.,Cho, S.H.,Jeong, K.H.,Choi, D.Y.,Jeong, Y.S.,Jeong, M.S.,Kang, H.S.,R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3

        산란계농가에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수직종형 퇴비화시설에 대한 수분증발량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직종형 퇴비화 시설 설치농가 2호를 선정하여 사육규모 등 일반현황과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농가의 평균 산란계 사육수수 각각 39,971수 및 116,650수 였으며, 조사계절별로 사육수수의 변동은 2% 이내로 일정한 사육수수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조사농가의 계절별 평균 발효조내 온도는 조사농가 모두 발효조내 온도가 발효초기에는 각각 $60^{\circ}C$, $54^{\circ}C$로 농가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퇴비화과정중에는 평균 발효온도가 $60^{\circ}C$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계절별로는 동절기에 발효조내 발효온도가 조사 농가 모두 타계절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농가별로 계분의 수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A농장의 경우 전반기 평균 74.9%, 후반기 73.8%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조사농가 B의 경우에는 전 후반기 평균 수분함량은 각각 66.8%, 64.3%로 A 농장에 비해서 수분함량이 10.8%~12.8%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농가별 수분 감소량은 A농장의 경우 평균 수분 감소량이 20.6%로 조사되었으며, B농장은 34.0%로 B농장이 A 농장에 비하여 약 13.4% 정도 수분증발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비료성분 함량중 질소성분의 경우 A농가에서는 질소성분이 0.8%로 높은 반면에 B농가에서는 0.52%로 약 35% 정도 질소성분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따른 OM/N비도 조사 A, B농가 각각 36.8, 84.4의 농가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Using a vertical composting system in layer farms, the composting process was characterized in terms of temperature variation, change of moisture contents, fertilizer ingredient and so on. In this study, two types of layer farms were examined. The layer manure was produced as 3,300 and 116,650 kg/day for Farm A and Farm B, respectively. Also, their average moisture contents were 74.4% (Farm A) and 65.6 % (Farm B). The inside temperature of composting in Farm A was varied in the range of 50 to $70^{\circ}C$, and moisture content of it decreased from 59.5% to 20.6% at the edge of vertical composting system. While in Farm B, composting temperature was fluctuated between 50 and $65^{\circ}C$ and moisture content declined from 34.0% to 13.4% at the end of vertical composting system. The fertilizer ingredients such as T-N, $P_2O_5$ and $K_2O$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asonal effect. Their values were changed in the range of 0.90% to 0.47% for T-N, 0.16% to 0.42% for $P_2O_5$, and 0.22% to 0.28 for $K_2O$, respectively. Also, OM/N ratio was varied from 36.8 to 84.4.

      • 돈분이용 퇴비화과정에서의 공기공급량별 퇴비화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곽정훈,김재환,정광화,조승희,안희권,최동윤,정만순,이상철,강희설,라창식,Kwag, J.H.,Kim, J.H.,Jeong, K.H.,Cho, S.H.,Ahn, H.K.,Choi, D.Y.,Jeong, M.S.,Lee, S.C.,Kang, H.S.,R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2

        스크레퍼 이용 수거된 돈분을 호기성 조건으로 퇴비화 하는 과정에서 공기공급량을 50, 100, 150, 200$\ell/m^3$/min.으로 각각 다르게 하여 퇴비화 하는데 있어서 공기공급량을 다르게 하여 퇴비화기간동안의 퇴비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퇴비화원료로 사용된 돈분의 수분함량은 85%였으며 수분 조절재로 사용한 톱밥의 수분함량은 35%를 혼합하여 수분 68%로 조정한 후 퇴비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2. 돈분의 호기성 퇴비화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퇴비화기간동안의 발효온도를 조사한 결과 T-1 처리구에서 발효온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T-1 처리구에서는 정상적인 호기성 발효가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에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최고온도 도달시간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짧다는 것은 계분의 신속한 퇴비화 및 높은 수분 증발량이 조사되었다. 3. 처리구별 수분 함량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발효 초기의 경우에 공기 공급량을 T-1 처리구에서 1주일이 경과한 후 7.6%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T-2,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각각 13.2%, 16.8% 및 16.9%로 높은 수분 감소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3 및 T-4 처리구와 나머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4. 처리구간별 배출되는 가스성분 중에서 산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퇴비화 3일차까지 9 ppm으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어 모든 처리구가 정상적인 호기성 퇴비화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 퇴비화 시험 1주일 후의 중량 감소율은 T-1 처리구에서 7.6%로 가장 낮았으며, T-3 및 T-4구에서는 16.8% 및 16.9%로 비슷한 경향이 조사되었다. 6. 퇴비화기간의 경과에 따른 비료성분 및 유기물 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차 발효 후 비료성분 함량은 처리구별로는 T-4 처리구에서 질소성분이 타 처리구에 비하여 낮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퇴비화 과정에서의 수분 함량 변화에 따라 비료성분의 함량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따라서 돈분을 호기성 방법으로 퇴비화 할 경우 적정 공기공급량은 퇴비더미 $1m^3$당 최소 $1m^3$당 150$\ell$/min 이상을 공급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졌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n the composting characteristics variation accoding to air supply capacity in Pig manure. The composting of pig manure is economical and efficiently process. The fermented compost was added in pig manure mixed with sawdust was composting reators. Air supply capacity levels of fermented compost on the pig manure mixed with sawdust were regulated at 50, 100, 150 and 200$\ell/m^3$/min. respectively. The obtained results can be followed as bellow; The temperature variations of experimental composting piles during composting for the different of T-1 reach $40^{\circ}C$ in 2 days, T-2, T-3 and T-4 reach $60^{\circ}C$ in 2 days and T-3, T-4 maintained until 8 days. The decreases in water contents per each square meter for the different of T-1 (50 l/$m^3$/min), T-2(100 l/$m^3$/min), T-3(150 l/$m^3$/min) and T-4(200 l/$m^3$/min.), The decreases ratio in water contents was T-1, T-2, T-3 and T-4 were 15.4%, 28.8%, 33.4% and 35.2%. The decreases ratio in weight was T-1, T-2, T-3 and T-4 were 7.6%, 15.6%, 16.8% and 16.9% respectively. The variations of oxygen concentration from composting period in case of oxygen discharge concentration T-1, T-2, T-3 and T-4 were 9 ppm. respectively. Fertilizer components after composting were examined. Nitrogen contents of the T-1, T-2, T-3 and T-4 were 0.45%, 0.44%, 0.42% and 0.44%, and P2O5 contents were T-1, T-2, T-3 and T-4 were 0.37%, 0.41%, 0.42% and 0.44%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mpost curing air supply of air volumes at least 150$\ell$/min/min. or more to supply the aerobic composting pig manure normally are judged to be possible.

      • 공기공급량에 따른 산란계분의 퇴비화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곽정훈,조승희,정광화,김재환,최동윤,정의수,정만순,강희설,라창식,Kwag, J.H.,Cho, S.H.,Jeong, K.H.,Kim, J.H.,Choi, D.Y.,Jeong, Y.S.,Jeong, M.S.,Kang, H.S.,R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2

        산란계분을 퇴비화 하는데 있어서 공기공급량을 다르게 하여 퇴비화기간동안의 퇴비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퇴비화기간동안의 발효온도를 조사한 결과 T-1 처리구에서 발효온도가 다른처리구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T-1 처리구에서는 정상적인 호기성 발효가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에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최고온도 도달시간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짧다는 것은 계분의 신속한 퇴비화 빛 높은 수분증발량이 조사되었다. 2. 공기공급량에 따른 퇴비화 과정에서의 처리구별 수분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발효 초기의 경우에 공기 공급량을 T-1 처리구에서 1주일이 경과한 후 8.9%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T-2,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각각 15.4%, 18.0% 및 18.6%로 높은 수분감소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처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3. 계분의 퇴비화 과정에서의 공기공급량에 따른 산소소모량을 조사한 결과 T-3 및 T-4구에서 퇴비화시험 2일째 9 ppm으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으나 T-1 및 T-2 처리구에서는 12 ppm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로 조사되었다. 4. 처리구별 퇴비더미내의 중량변화는 시험 1주일 후의 중량감소율은 T-1 처리구에서 5.5%로 가장 낮았으며, T-3 및 T-4구에서는 12.0% 및 12.3%로 비슷한 경향을 조사되었으며 이러현 경향은 퇴비화 2주일이 경과한 후에도 같은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5 퇴비화기간의 경과에 따른 비료성분 및 유기물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 차 발효후 비료성분 함량은 처리구별로는 T-4 처리구에서 질소성분이 타 처리구에 비하여 낮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퇴비화 과정에서의 수분함량 변화에 따라 비료성분의 함량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반면에 OM/N도 투입시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지지 않았으나 1차 퇴비화 후에는 42.0, T-2 44.2, T-3 47.1 및 T-4 55.8로 공기 공급량이 높아짐에 따라 OM/N의 비가 점차 높아지는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7. 따라서 산란계분의 퇴비화시 공기공급량을 최소 퇴비화물질 $1m^3$당 $150\;{\ell}/min$ 이상 공급하는 것이 계분이 정상적으로 호기성 퇴비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진다. The composting of layer manure is economical and efficiently process. In this study, the variation of composting characteristics in layer manure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air supply capacity. The fermented compost was added in layer manure and mixed with sawdust inside composting reactors. The level of air supply capacity was varied in the range of $50{\sim}200\;{\ell}/m^3/min$. During composting the temperature variations of composting piles was different the temperatures of composting piles for T-1 ($50\;{\ell}/m^3/min$) and T-2 ($100\;{\ell}/m^3/min$) were reached at $40^{\circ}C$ and $50^{\circ}C$ within 2 days, respectively. For T-3 ($150\;{\ell}/m^3/min$) and T-4 ($200\;{\ell}/m^3/min$), their temperatures was $60^{\circ}C$ within same days and maintained during 8 days. Water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the air supply capacity; 8.9%, 15.4%, 18.0% and 18.6% for T-1, T-2, T-3 and T-4. The weight ratios of T-1, T-2, T-3 and T-4 were reduced to 12.8%, 15.6%, 18.1% and 17.9%, respectively. The decreasing volumetric ratios of T-1, T-2, T-3 and T-4 were 18.0%, 21.0%, 22.3% and 22.0%. The oxygen discharge concentrations during composting were 12 ppm for T-1, T-2 and 9 ppm for T-3 and T-4. After composting, fertilizer components such as total nitrogen (TN) and phosphorous pentoxide ($P_2O_5$) were examined at each air supply capacity. Nitrogen contents of the T-1, T-2, T-3 and T-4 were 0.75%, 0.74%, 0.72% and 0.64%. Also, The contents of $P_2O_5$ were 0.35%, 0.40%, 0.38% and 0.42% for T-1, T-2, T-3 and T-4.

      • KCI우수등재

        표고버섯 폐기목 균을 이용한 호기성 처리가 볏짚의 반추위내 분해 특성에 미치는 영향

        임광철,라창식,길준민,김병완,권응기,신종서,홍병주 ( G . Z . Lin,C . S . Ra,J . M . Kil,B . W . Kim,U . G . Kweon,J . S . Shin,B . J . Hong ) 한국축산학회 1998 한국축산학회지 Vol.40 No.4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 value of rice straw fermented with yeasts and waste sawdust after shiitake culture(WSSC). Nutrients disappearance and degadability rates of the rice straw were analyzed. Three different types of feeds were formulated. 1) Rice straw was mixed with WSSC, cam and molasses at the ratio of 1 :0.067 :0.18:0.02. This formula was used for control. 2) The mixture of rice straw, cam and molasses was anaerobically fermented at 30℃ for 6 days, and then WSSC was added (anaerobic treatment). 3) After WSSC addition into the pre-fermented mixtyre, two weeks of aerobic treatment period were provided (aerobic treatment). Korean rattles (Hanwoo) were used for in situ experimen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cellulose, and crude protein(CP) in the aerobic treatment increased, while hemicellulose content clearly decreas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chemical compositions of anaerobically treated diet were similar to those of control. 2. Lower dry matter(DM) disappearance in the rumen was occurred in the anaerobic treatment. The DM disappearance rates at 6 and 12 hours after feeding in the aerobic treatment were lower than those in control, but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4 hours after feeding. 3. The NDF disappearance rate was the lowest in the anaerobic treatment, and NDF disappearance rate in the aerobic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4 hours after feeding. 4.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ADF disappearance rate ip the anaerobic treatment was similar, but ADF disappearance rate in the aerobic treatment was greater. 5. Degradation rate of DM, NDF, and ADF in the rumen increased in the aerobic treatment, compared to the anaerobic treatment and control. Effective degradability of ADF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aerobic treatment than that in the control by obtaining 9.4, 6.3, and 4.8% at K (passage rate) of 0.02, 0.05, and 0.08,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