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토어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로서 심볼의 입체화 표현에 따른 매장이미지 및 소비자 태도 효과

        김은정,라꼬바 옥사나,김호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3

        미디어가 발달함에 따라 기업들이 브랜드를 부각하기 위한 수단으로 심볼을 입체화하는 경향이 트렌드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볼의 평면적 표현과 입체적 표현의 차이가 소비자들에게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 브랜드의 같은 형태의 매장 중, 2D 심볼사인이 설치된 매장과 3D 심볼사인이 설치된 매장에서, 심볼 디자인의 입체화에 따른 효과를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D 심볼사인이 사인의 주요 역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에서 추구하는 아이덴티티, 매장이미지,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까지 모두 높게 평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 볼 때, 매장에서의 심볼의 입체화 도입은 긍정적인 고려 대상이며, 더 나아가 소비자 접점에서 노출되는 미디어에 대한 브랜드 심볼의 입체화 도입 또한 긍정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3D 심볼을 개발하는 브랜드들이 늘어나는 만큼 그 정량적인 효과의 측정을 통해 적용 및 확산에 대한 실무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As media continues to develop, corporations tend to use 3D signage as a way of highlighting their br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3D versus 2D influences the consumer differently. For this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btained from surveys given to consumers upon visiting the store. The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same store types within the same brand with the only differentiating factor being the 2D or 3D signag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signage main characteristics 3D signage scored higher in every category over 2D. Also, 3D signage scored higher in evaluations based on Brand Identity, Store Imag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upgrading current 2D signage to 3D is a very valuable tool for forming brand identity in media where consumers meet the brand. Through the qualitative measurement of brands, currently tending to develop and use 3D signag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materials for 3D signage application and extension for the store identity optimization.

      • KCI등재

        브랜드 공간 아이덴티티의 글로컬라이제이션에 관한 연구 - 개념적 프레임워크 개발 및 프랑스 화장품 브랜드의 매장 실증 중심으로 -

        백지희,정-라꼬바 옥사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4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체감할 수 있는 브랜드 공간 디자인에 서 글로벌과 로컬화의 방향성은 매우 중요한 디자인의 출발점 인데도 불구하고 검증된 기준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공간 글 로컬라이제이션을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일관되게 유지 하면서 어떠한 형태의 브랜드 공간이라도 각 지역의 소비자 특성에 적응시키는 개념적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리테일 디자인 과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 글로벌라이제이션과 로컬라이제이 션을 논하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 브랜딩과 지역적 특 징 적용을 통합한 실무에 적용이 가능한 3단계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프레임워크를 검증을 위해 6개월간 서울 스타필 드 코엑스몰에 위치한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의 매장 디자인 프로젝트를 실시하며 장기적인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 적으로 공간 글로컬라이제이션 프레임워크는 첫 단계로 글로 벌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정의에서 출발한 후, 두 번째 단계로 는 지역 소비자 행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접점 경험을 디자인하고 매장에 적용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 마지막 단계로, 현지 소비자들의 평가를 통해 디자인을 검증하 고최적화할것을제안한다. 글로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유 지하면서 현지 소비자 행동을 고려하는 본 프레임워크는 리 테일 디자인을 개발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디자이너와 브랜드 관리자를 위한 실무에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 방법론이다. 이는 소규모 조직에서부터 대규모 조직까지 모든 리테일 산업에 적 용이 가능하다. 특히 코로나 사태 이후 더욱 급속하게 판매중 심에서 브랜드 경험중심으로 변해가고 있는 리데일 매장의 기 능과 목적을 로컬 소비자 행동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프레임 워크를 동해 고유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리테일 디자인 전략을 모색해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 한다. The issue of whether to adopt globalization or localizati on in international marketing activities has been actively debated by scholars and business experts in the last decad 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tend the discussio n opened by such studies into retail branding. After the re view of previous seminal studies on concepts such as glob alization, localization, and glocalization, 6-month action re search on L’occitane brand store design located in Starfiel d COEX Mall (Seoul) was applied. We have proposed the three-phase Branded Space Identity Glocalization frame work as an approach that provides a conceptual guide for the adaptation of any type of brand space to the local cons umer’s characteristics in each region while maintaining a consistent brand identity. A case study of a French cosme tic retailer expanding to the local Korean market illustrate 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oposed framework. Thi s study is an important step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branded space localization. In particular, it provides a pract ical tool for brand managers and designers that enables th em to develop retail formats according to local consumer preferences and behavioral patterns, which could become one of the major tasks after the end of the current COVID -19 pandemic outbre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