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케어매니지먼트 연구동향과 정신보건영역에의 시사점

        두진영 지역사회정신보건학회 2009 지역사회정신보건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es about care management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a doctoral dissertation and journals published from 1995 to 2008. A total of 60 articles were analyzed with according to periodic by standard with afterwords confirmed a same research tr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period (1995∼1999), the major part of the research was to inform the necessity and the reasonability of introduction of car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doc-ument research and case research and there was a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care management that fits senior citizens and the handicaps. Second, in the development period (2000∼2004), there was an effective research conducted, applying care management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the introduction period to the various sites where social welfare was realized along with researches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and programs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people. Third, To fixation period (2005∼2008) there is an aged persons' long-term medical treatment insurance system so the research regarding the policy related to it's conveyance structure and system itself were increased rapidly so that it has attempted the making of an assessment tool. It was an gradual expansion period of the objects which is applied to the care-management into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etc., but the patients of mental disorder area were showing a decreasing trend. Also observed the result educational system characteristic of care management research and the duty and a major field of study of researcher and in order to see investigated to observe the research trend which follows in data analytical method tried. Result of the research which sees in end with character presented the current point of mental health from conclusion and discu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케어매니지먼트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 정신보건영역에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진흥재단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케어매니지먼트 관련논문 50편과 박사학위논문 10편을 포함하여 총 60편을 선정하여 시대별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동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도입기(1995년∼1999년)에는 케어매니지먼트를 국내에 알리는 차원에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케어매니지먼트의 도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알리는 연구가 주를 이루면서 노인과 장애인 대상의 맞는 케어매니지먼트 모형개발이 있었다. 둘째, 발전기(2000년∼2004년)에는 정신장애인에 따른 모형개발연구와 프로그램개발연구와 더불어 도입기에 소개된 케어매니지먼트를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적용한 효과성 연구가 있었다. 셋째, 정착기(2005년∼2008년)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있어 전달체계와 관련된 정책과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면서 한국적 실정에 맞는 사정도구개발을 시도하였으며 케어매니지먼트를 적용한 연구대상이 지역사회복지관 등으로 점차 확장되는 시기였지만 정신장애인영역에서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케어매니지먼트 연구의 협업성과 학제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의 직책과 전공분야를 고찰하였고 자료분석 방법에 따른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 영역의 시사점을 결론 및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정서행동문제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두진영 (Du, Jin-Young) 지역사회정신보건학회 2008 지역사회정신보건 Vol.14 No.-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외래진료를 이용하는 정서행동문제 청소년들의 자기표현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보건 임상실천의 효과성을 입증한 연구이다. 개입대상은 정서행동문제 청소년 6명이었으며, 연구설계는 단일체계설계로 20일간의 기초선 단계(A)와 50일 동안 주1회씩 총8회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B)으로 구성된 AB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청소년의 가장 큰 어려움인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을 표적문제로 규정하여 사전-사후 검사와 개입에 따른 연구대상의 변화를 관찰자 척도로 확인하였고, 6명의 서로 다른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가족의 욕구에 따른 개별적인 치료목적을 세우고 이를 평가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가족들의 도움을 받아 연구대상자의 개별화된 문제행동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사전사후검사와 관찰자의 시각적 분석과 통계적 분석이 사용되었다. 통계적 분석은 SING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율/빈도 분석과 효과크기를 통해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6명 모두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이 향상되었고, 의사소통훈련 개입에 따른 반응턱도에서 2-4배 향상되는 시각적 효과가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의 개별화된 평가에 따른 비율/빈도 분석과 효과크기에서 31~50% 이상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긍정적인 행동이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된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 임상현장에서 신속한 개입 때문에 비교집단을 모집하기 어려운 한계로 인해 임상실천의 효과성 검증을 포기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실험집단만으로도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을 할 수 있기를 제언한다. 또한 정서행동문제 청소년들에게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이 향상된 결과 이는 학습과 훈련으로 의사소통능력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것으로 향후 임상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성 향상에 맞춘 개입이 필요함을 설명한다.

      • KCI등재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청소년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의 효과성 평가

        황순길,두진영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how appropriate ways to assess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using ABC Design and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target client of this study is patient having Internet Addiction problem eighteen teenagers. The ABC design includes a 3weeks of the baseline phase, (A) and 2weeks of the intervention phase, (B) with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for Internet Addicted, and 2mouths of the following services, (C). The target problem is the increase time of the internet using problem eighteen teenagers mostly complain. We compared the results of pre-test, post-test, and 2 months following test in which the adolescents. In resulted in the positive changes among the belief of internet using, K-scale, G-scale, depression, wellness, and the self-controlability scale. Visu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taken for analyzing of results. Visual analysis demonstrate Line graph, correlation line by SINGWIN Program and evaluates the tendency of measurable values. First, autocorrelation analyzes if each values does not have reciprocal effects and work independently in baseline phase and intervention phas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y of the changes between the baseline phase and following services phase is assessed by Proportion/Frequency. Additionally, in this analysis, there in the d-index for assessing the effect size. Both analyses have efficient results and shows that the social workers' interventions bring a positive reduction, 76%. Finally, we propose those suggestions in order to accelerate the using of this study. First, we need the future studies to consider the trend of occurring in a younger age and the different social environmental traits and develop the programs separated by the age and the participants. Second, we suggest to establish the permanent residential system and raise the fund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the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본 연구는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청소년들의 인터넷사용시간 조절 및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 문제 해소를 위해 생태체계적인 접근의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보건 임상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개입대상은 고위험군 인터넷중독 청소년 18명이었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체계설계로 3주간의 기초선 단계(A)와 12일간의 인터넷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 개입단계(B), 그리고 2개월간의 프로그램 사후단계(C)로 구성된 ABC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청소년의 심리내적 어려움인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변인을 표적문제로 규정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개입에 따른 연구대상의 변화를 가족들과 멘토의 도움을 받아 연구대상 청소년의 인터넷사용시간을 측정하였다. 인터넷(게임) 중독관련 변인은 사전-사후-추후검사의 일요인 반복측정설계를 SPSS 1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관찰자의 통계적 분석은 SING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율/빈도 분석과 t-test, 효과크기를 통해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18명 중 추후 연락되지 않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인터넷(게임) 중독관련 변인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터넷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개별화된 평가에서 18명의 청소년들은 1일 평균 220분을 사용하였지만, 개입이후 사후단계에서 17명의 청소년들은 1일 평균 99분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인터넷(게임)사용시간이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청소년들에게 실시한 11박 12일간의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은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변인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생태체계적 접근을 활용한 단기간의 기숙형 치료개입이 인터넷사용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 KCI등재

        중학생 인터넷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이영선,이수진,두진영,김동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velop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internet addiction has emerged as one of significant social issues, a practical and realistic prevention program from Internet addiction was needed to educate teenagers the feasible damages resulting from internet overuse, as well as sensible using behaviors of the Internet. The present program had two features. First, the program contents were elaborated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middle-school students, teachers, and counseling practitioners about the needs and the major contents of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Second, the present program considered the middle-school stud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environm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two sessions lasts one hundred minutes, and most contents were delivered though activities that a group of students participated in and video clips show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damages of internet addiction in real world. Whe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cores of irrational beliefs about Internet use were decreased after the program had been administered. In qualitative analyses,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awareness of the severity of internet addiction, of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leisure activities besides Internet use, and they were willing to regulate their internet using behaviors. The current research expanded a understanding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examined effectiveness of the short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school students in school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further considerations were discussed. 최근 청소년들의 인터넷중독 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터넷중독 예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 한 학교현장의 요구에 맞추어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방교육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문헌조사와 전문가, 교사, 청소년 대상의 요구조사를 통해 프로그 램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중학생에게 적합한 활동으로 내용을 구현하였다. 또한 다양한 구성요소 중에서 청 소년들이 인터넷중독의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는 영상자료와 실제 생활에서 인터넷이 아닌 대안활동을 찾는 방법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의S 중학교에서 2학년 학 생 4학급 총118명을 대상으로 시범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사전검사를 통제하고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그램 내용 및 과정에 대한 평가에서 참여 학생들의 인터넷중독 문제에 대한 심각성과 대안활동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의 인터넷 사용습관을 개선하려는 의지가 확인되었고,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급에서 활용가능한 단회기의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인터넷중독 문제에 대 한 올바른 인식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청소년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의 효과성 평가

        황순길(Soon Gill Hwang),두진영(Jin Young Du)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연구는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청소년들의 인터넷사용시간 조절 및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 문제 해소를 위해 생태체계적인 접근의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보건 임상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개입대상은 고위험군 인터넷중독 청소년 18명이었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체계설계로 3주간의 기초선 단계(A)와 12일간의 인터넷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 개입단계(B), 그리고 2개월간의 프로그램 사후단계(C)로 구성된 ABC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청소년의 심리내적 어려움인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변인을 표적문제로 규정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개입에 따른 연구대상의 변화를 가족들과 멘토의 도움을 받아 연구대상 청소년의 인터넷사용시간을 측정하였다. 인터넷(게임) 중독관련 변인은 사전-사후-추후검사의 일요인 반복측정설계를 SPSS 1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관찰자의 통계적 분석은 SING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율/빈도 분석과 t-test, 효과크기를 통해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18명 중 추후 연락되지 않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인터넷(게임) 중독관련 변인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터넷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개별화된 평가에서 18명의 청소년들은 1일 평균 220분을 사용하였지만, 개입이후 사후단계에서 17명의 청소년들은 1일 평균 99분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인터넷(게임)사용시간이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청소년들에게 실시한 11박 12일간의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은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변인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생태체계적 접근을 활용한 단기간의 기숙형 치료개입이 인터넷사용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how appropriate ways to assess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using ABC Design and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target client of this study is patient having Internet Addiction problem eighteen teenagers. The ABC design includes a 3weeks of the baseline phase, (A) and 2weeks of the intervention phase, (B) with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for Internet Addicted, and 2mouths of the following services, (C). The target problem is the increase time of the internet using problem eighteen teenagers mostly complain. We compared the results of pre-test, post-test, and 2 months following test in which the adolescents. In resulted in the positive changes among the belief of internet using, K-scale, G-scale, depression, wellness, and the self-controlability scale. Visu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taken for analyzing of results. Visual analysis demonstrate Line graph, correlation line by SINGWIN Program and evaluates the tendency of measurable values. First, autocorrelation analyzes if each values does not have reciprocal effects and work independently in baseline phase and intervention phas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y of the changes between the baseline phase and following services phase is assessed by Proportion/Frequency. Additionally, in this analysis, there in the d-index for assessing the effect size. Both analyses have efficient results and shows that the social workers` interventions bring a positive reduction, 76%. Finally, we propose those suggestions in order to accelerate the using of this study. First, we need the future studies to consider the trend of occurring in a younger age and the different social environmental traits and develop the programs separated by the age and the participants. Second, we suggest to establish the permanent residential system and raise the fund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the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 KCI등재

        서울시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운영체계 개선방안 연구 : 대상자 의뢰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표 (Yong-Pyo Lee),정현주 (Hyun-Ju Chung),두진영 (Jin-Young Du)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서울도시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의 민간위탁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를 이해관계자의 권력관계에 초점을 두어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서울시 3개 자치구의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관련 조직 간의 정신장애인 의뢰경로에 대한 네트워크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분석내용을 토대로 관련전문가 6명과의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첫째, 정신보건센터와 정신의료기관간 퇴원자 관리 네트워크의 부재, 둘째, 정신보건센터 네트워크활동의 자치구내 행정조직 및 정신의료기관에의 편중성, 셋째, 정신보건센터의 서비스 조정 역할의 미약 등과 같은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심층면접에서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적인 요인이 정신의료기관의 자본축적기제에 의한 것임을 밝혔다. 연구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정신보건정책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정신보건센터 위탁정책의 폐지, 둘째, 정신장애인의 지역 사회 지지체계의 확충, 셋째, 사업재정으로 바우처 방식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