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OV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조사ㆍ검측 시스템

        박경원(Kyung-Won Park),도정훈(Jung-Hoon Do),심원일(Won-Il Shim),안승환(Seung-Hwan Ahn),유정석(Jeong-Seok Yu)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우리나라는 1979년 전남 해남 인근에 설치된 장산-자라 간 약 1.7㎞ 배전급 해저케이블을 시작으로 현재는 제주-진도 간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102㎞를 국내 기술진에 의해 건설 중에 있다. 제주-해남 간 설치 운전 중인 HVDC 해저케이블 경우 제주지역 전력의 50%를 담당하고 있는 설비로 문제발생 시 신속히 고장점 탐지 및 복구가 이루어져야 하나 2000년의 경우 국외 시공사에 의존함으로써 7개월의 복구기간이 소요되었으며, 2006년 경우 국내 시공사의 선박을 활용하여 3개월 만에 복구하였으나 고장점 탐지를 위한 장비가 확보되지 않아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잠수사 목측에 의한 육안조사, 소형 ROV 및 유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해저케이블 이상 유무 등을 파악하거나 고가의 특수선을 국외에서 임대하여 해저케이블 조사ㆍ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해저케이블 사고사례 분석으로부터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해저케이블 조사ㆍ검측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DOV(Divers Operated Vehicle)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해역환경 특성에 적합한 신뢰성과 경제성을 갖는 해저케이블 조사ㆍ검측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상완골 대결절 골절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예비 보고-

        지종훈,김영율,박상은,라기항,도정훈,김원유,Ji, Jong-Hoon,Kim, Young-Yul,Park, Sang-Eun,Ra, Ki-Hang,Do, Jeong-Hun,Kim, Weon-Y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1

        목적: 관절경하에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못을 동반 사용하여 상완골 대결절 골절편을 고정하며 동시에 동반된 병변을 치료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전위 골절, 복잡 골절, 회전 근개 파열, 견관절 구축이 나 관절 순 손상을 동반한 미세 전위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 중에서 관절경하에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못을 동반 사용하여 정복 및 고정을 시행한 총 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6개월 이상 추시된 환자의 최종 운동 각도 및 ASES 및 UCLA score를 이용하여 술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평근 ASES 및 UCLA score는 술후 최종 추시 시 93.6점과 31.5점로 향상되었으며 술후 최종 추시시 평균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 154.3도, 측방거상 145.8도, 외회전 32.6도, 내회전 제 1 요추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전위된 골절이거나, 골절편이 작거나 여러개일 경우, 또는 회전근 개 파열, 견관절 구축이나 반카르트 병변등의 동반질환들이 있는 경우에는 관절경하에서 동반 병변 치료와 함께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 못을 동반 사용하여 대결절 골절을 고정하는 방법은 유용한 치료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 of arthroscopic treatments by using suture anchors or suture anchors combined with cannulated screw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4 to March 2006 we have used suture anchor or suture anchors combined with cannulated screw for 6 cases of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which include displaced fractures, comminuted fractures and minimally displaced fractures with comcomittent lesions such as rotator cuff tears, stiffness and labral lesion.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s by using the range of mo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shoulder rating scale (UCLA) and the ASES shoulder index score (ASES) in the average 6 months follow up. Results: At the last follow up, average range of motion was improved to 154.3 degree, 145.8 degree, 32.6 degree and L1 vertebrae in each forward 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Clinically the UCLA rating scales improved to 31.5 and the ASES shoulder index score (ASES) improved to 93.6 in the last follow up. Conclusion: Arthroscopic treatments by using suture anchor or suture anchors combined with cannulated screw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 is an alternative treatment of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

      • 파력 발전 장치 계통연계를 위한 해저케이블 보호설비에 대한 연구

        황석범(Suk-Bum Hwang),안승환(Seung-Hwan Ahn),박경원(Kyung-Won Park),도정훈(Jeong-Hoon Do),유황진(Hwang-Jin Ryu)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본 연구는 제주 서측 차귀도 주변해역에 설치 예정인 파력발전 장치 계통연계를 위한 보호설비의 선정을 위하여 MBES(multi beam echo sounder), SBES(sigle beam echo sounder) 및 잠수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대상해역의 해저케이블에 대한 위해요소 분석을 통하여 적절한 보호설비를 제안하였다. MBES, SBES 및 잠수조사 결과, 대상해역 주변은 암반이 우세하게 분포하였으며 파력발전 장치 설치예정 주변역은 일부 사질 구간이 존재하였다. 또한 대상해역의 유의 파고 분포(Hs)는 파력 발전 장치 주변역에서 7.0 m 파고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파향 분포는 파력발전 장치 및 수심의 영향으로 인하여 굴절 및 회절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해저케이블 보호설비의 선정은 대상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및 위해요소를 정확히 판단하여 선정되어야 하며, 본 연구해역은 돌을 쌓거나 되메우는 형태의 보호설비가 적합하다. To suggest of the submarine cable protection facility for the wave power generation plant around Chagwi-do in western sea of Jeju, we have investigated marine survey such as MBES (multi beam echo sounder), SBES (sigle beam echo sounder) and dive. We have proposed proper protection facilities through to analysis damage factors of the submarine cable. As a result of the marine survey, bedrocks are spread out both the study area and vicinity of the wave power generation plant. However, distribution of sand has revealed the area of some part on seabed Also, distribution of significant wave height (Hs) in study area has occurred 7,0 m and distribution of wave direction has come out the refraction and diffraction effect on the wave power generation plant and water depth. Consequently, the submarine cable protection facility should have selected to consider marine characteristics and damage factors. It is adequate that protection facilities of rock dumping and backfilling in this study.

      • 파력발전 장치 계통연계를 위한 해저케이블 보호설비에 대한 연구

        황석범(Suk-Bum Hwang),안승환(Seung-Hwan Ahn),박경원(Kyung-Won Park),도정훈(Jeong-Hoon Do),유황진(Hwang-Jin Ryu) 대한조선학회 2012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5

        본 연구는 제주 서측 차귀도 주변해역에 설치 예정인 파력발전 장치 계통연계를 위한 보호설비의 선정을 위하여 MBES(multi beam echo sounder), SBES(sigle beam echo sounder) 및 잠수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대상해역의 해저케이블에 대한 위해요소 분석을 통하여 적절한 보호설비를 제안하였다. MBES, SBES 및 잠수조사 결과, 대상해역 주변은 암반이 우세하게 분포하였으며 파력발전 장치 설치예정 주변역은 일부 사질 구간이 존재하였다. 또한 대상해역의 유의 파고 분포(Hs)는 파력발전 장치 주변역에서 7.0 m 파고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파향 분포는 파력발전 장치 및 수심의 영향으로 인하여 굴절 및 회절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해저케이블 보호설비의 선정은 대상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및 위해요소를 정확히 판단하여 선정되어야 하며, 본 연구해역은 돌을 쌓거나 되메우는 형태의 보호설비가 적합하다. To suggest of the submarine cable protection facility for the wave power generation plant around Chagwi-do in western sea of Jeju, we have investigated marine survey such as MBES(multi beam echo sounder), SBES(sigle beam echo sounder) and dive. We have proposed proper protection facilities through to analysis damage factors of the submarine cable. As a result of the marine survey, bedrocks are spread out both the study area and vicinity of the wave power generation plant. However, distribution of sand has revealed the area of some part on seabed. Also, distribution of significant wave height (Hs) in study area has occurred 7.0 m and distribution of wave direction has come out the refraction and diffraction effect on the wave power generation plant and water depth. Consequently, the submarine cable protection facility should have selected to consider marine characteristics and damage factors. It is adequate that protection facilities of rock dumping and backfilling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