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수사 면담의 언어학적 접근 - 일본 재심 사건을 중심으로

        도선희(Do Seon Hui),주현희(Ju Hyeon Hee) 한국언어학회 2020 언어 Vol.45 No.4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alse confessions in recent Japanese retrial cases were related to human interviews focusing on Linguistics structure.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the Japanese retrial case, the Asikaga case, in Forensic linguistics. In particular, the suspect of the Asikaga case appears to have considered the specific appropriateness of the investigator"s question. This was claimed by Austin (1962), indicating that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the participants was a ‘Speech Act’. The ‘Speech Act’ appears through repeated and induced questions from the investigator, and the suspect has no choice but to answer such questions. This means that even in the same sentence, the sentence is interpreted differently by considering the context in which it is actually spoken. In this study, the actual case analysis analyzed a series of questions from investigator and interviews with suspect in a series of Forensic linguistic analyses,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This study, with the Forensic Linguistics approach Discourse Analysis, was able to analyse the false confessions as a ‘conformity condition’ referred to by the recognized Austin (1962). This could be described as an ‘locutionary act-illocutionary act-perlocutionary ac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a basic study of Forensic linguistics, which investigates the risk of rapport building as a question of the investigator in an investigative interview that prevents suspects from making false confessions.

      • KCI등재

        사이버 스토킹에 대한 언어 프로파일링 접근

        도선희(Do, Seon Hui),최진혁(Choi, Justin Jin-Hyuk)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3

        사이버 스토킹에 관한 기존의 국내 연구는 주로 법적 규제 측면에 치중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에야 사이버 스토킹에 대한 행위적 분석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사이버 스토킹에 대한 경찰의 대응 방안이나 범죄예방 차원에서도 그 사례 분석 및 행위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필요하고 또 중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실제 국내의 사이버 스토킹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적 담화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기법을 활용하여 텍스트상의 여러 층위를 나누어 사이버 스토킹 가해자의 언어 사용 특징을 분석하였다. 사이버 스토킹을 4가지 매개 범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로 분석해본 바, 다음과 같은 공통된 결과를 발견하게 되었다. 첫째, 발언의 기회를 얻기 위하여 의문문 형식을 활용하거나 모욕 및 비난과 같은 감정적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피해자의 반응을 유도한다. 둘째, 사이버 스토킹 피해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권력 쟁취를 위하여 반응이 없는 피해자에게 당연화(taken-for-granted)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스토킹 가해자는 매체적 특성에 따라 스토킹 전략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사이버 스토킹 가해 유형과 행위 분석 토대 위에 언어적 사용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가해자의 언어행위 특성을 설명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비판적 담화 분석 기법을 적용한 언어 프로파일링 접근을 통해 사이버 스토킹 관련 기준과 가해자의 언어 특질을 분석해낸 탐색적 연구로서 향후 범죄의 수사 및 정책대안 마련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yberstalking, including harassment, has become a major concern for the Internet users, and the society as well. Cyberstalking in general involves the repeated and persistent attempt by the cyberstalker to harass the victim, using the Internet or devices linked to the Internet. Thanks to the ubiquity and anonymity provided by the Internet environment, cyberstalking is taking on new forms with unprecedented scope and presents unique challenges for law enforcement worldwide. Stalking is typically a pattern of behavior over time in which a stalker may cause emotional distress to a victim and/or seeks to control over the victim. With the widespread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in the digital age, the behavior patterns of cyberstalkers are becoming more complex, unpredictable, and difficult to investigate. In particular, there is no universal typology in cyberstalking, and it is quite hard to find a standard predator-prey profile. In this exploratory research, we suggest “Forensic Linguistics” for the tracking of cyberstalkers based upon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approach. Forensic linguistics is a type of science that examine ‘text’ and ‘talk’. It thus is the practice of identify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the cyberstalker—and is the application of linguistic methods, knowledge and insights to the forensic context of language. Forensic linguistics also concerns the analysis of written and spoken language for both legal and investigative purpose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is an inter- or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the study of discourse—text and talk—and society, and it views language as a form of social practice. In this paper, we aim to utilize and demonstrate CDA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examining how societal power relations are established and reinforced through the use of language. In addition, we have identified different forms of cyberstalking and classified types of cyberstalkers. It thus is our ultimate goal to eventually contribute to a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work in which CDA is well integrated with forensic linguistics to better understand traits associated with the cyberstalking predators.

      • KCI등재

        나혜석 시, 반복과 감탄의 언어학적 접근

        도선희 ( Seonhui D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나혜석 시 작품 여섯 편과 산문에 수록된 시 작품들을 언어학적 접근으로 살펴보았다. 본고는 이중언어 사용자였던 나혜석이 작품 안에서 시어의 반복을 통해 일본어 토(吐)의 사용과 같은 일종의 ‘대용(代用) 표현’으로 생략된 주제를 강조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감탄사‘아아’의 사용을 통해 화자의 감정을 고조시키는 동시에 수신자인 독자가 전언을 해독하고 작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였다는 점을 분석할 수 있었다. 나혜석 시 작품을 언어학적 접근을 통해 살펴본 결과, 나혜석 시에 나타난 시어의 반복 기법과 감탄사 사용의 효과는 음악성 획득과 시 전체를 하나의 의미로 묶는 조응으로써의 결속(結束)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기존에 ‘여성적 글쓰기’의 한 전형에서 논의된 시적 언어 사용과 관련된 것을 실제 언어학적 접근을 통해 나혜석 작품을 해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Na Hye-suk’s six poems and poetry works in prose with a linguistic approach.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Na Hye-suk implied the topic’s ‘omission’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poetic words in work, and this is the ‘substitute expression’ and emphasized the omitted subject. Second, the use of exclamation in the work was linked to the previous sentence and functioned to interpret its meaning depending on the context. Third, through the use of the exclamation ‘아아’, the reader, the recipient, acted as an element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ork to decipher the mess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s of Na Hye-seok’s poetry through a linguistic approach, the repetition of the poems shown in Na Hye-seok’s poems showed that the effect of exclamation can be interpreted linguistically by ‘Women’s writing’ of Hélène Cixous.

      • KCI등재

        Perianal Adenocarcinoma in Dog

        Hai-Jie Yang(양해걸),Sun Hee Do(도선희),Dong-Wei Yuan(위엔동웨이),Il-Hwa Hong(홍일화),Mi-Ran Ki(기미란),Jin-Kyu Park(박진규),Moon-Jung Goo(구문정),Hye-Rim Lee(이혜림),Ok-Kyung Hwang(황옥경),Jung-Youn Han(한정연),Kyung-Sook Hong(홍경숙)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2

        12.6살 된 수컷 Shitzu의 항문주위에 형성된 결절 조직의 생검을 실시하였다. 육안적 소견상 결절은 갈색과 검은색을 나타냈으며 절단면은 흰색의 균질한 물질로 가득 차 있었으며 일부에서는 괴사소견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광학적 현미경 상에서 종양세포들은 농축된 핵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원시 종양세포들이 인접 조직을 침습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면역조직 화학적 염색상에서 농축된 종양세포, 주변조직에 침습한 종양세포와 기저세포는 EGFR, HER-2/neu, MMP-9, PKC α 등에 양성반응이 나타난 것을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개에서의 양성 항문주위선종은 다른 종양보다 4.5배 이상 발생된다는 보고(특히 수캐)가 있으나 조직병리학적 소견과 면역화학적 염색소견상 전형적인 항문주위선 샘암종은 보기 드물게 나타나므로 향후의 종양진단과 종양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 12.6-year-old, male Shitzu was diagnosed with perianal adenocarcinoma. The presented mass was brown to black, 4×3×3 cm in size, and yellowish on cut section. Microscopic findings revealed that the mass composed of variable sized clusters of hepatoid cells with inconspicuous distinct. The tumor cells were polyhedral and pyknotic and exhibited high mitotic activity. Tumor cells intermingled with basaloid cells and primitive cells invaded the adjacent normal tissues. Basaloid cells exhibited positive immunoreactivity fo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HER-2/neu), matrix metallopnateinase 9 (MMP-9), and perianal adenocarcinoma, protein kinase C alpha (PKC α). Generally, tumors of the perianal gland are common and benign 4.5 times more often than carcinoma in the dog, particularly in males. In the present report, we examined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rare perianal adenocarcinoma in association with proteins involved tumor metastasis and adenocarcinoma development.

      • KCI등재

        Bovine Tuberculosis of Korean Native Cattle in an Abattoir

        Seong-Jun Jang(장성준),Sun-Hee Do(도선희),Mi-Ran Ki(기미란),Il-Hwa Hong(홍일화),Jin-Kyu Park(박진규),Ae Ri Ji(지애리),Kyu-Shik Jeong(정규식)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2

        소 결핵은 만성적으로 서서히 진행 되어 쇠약해 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후 검시 후에 확인 된다. 소결핵의 감염이 대부분 폐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심한 경우에는 기침, 비루 및 호흡 곤란을 유발 한다. 본 고에서는 도축장에서 나온 사체의 심장, 간, 신장, 폐, 복수, 임파선 및 내장에서 얻은 시료를 분석한 것이다. 사체의 부검 검시도중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결핵 병변이 관찰 되었다. 백색 크림 색깔의 결핵은 화농성으로 임파선, 폐 및 장간막을 포함하여 흉막강에 퍼져 있었다. 폐와 임파선의 그램 염색과 Ziehl-Neelsen’s acid-fast 염색 결과 강한 조직화학적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Acid-fast에 염색된 유기체들이 현미경 검경에서 발견 되었다. 본 고에서는 의심원인체로 사료되는 Mycobacterium bovis의 조직학적 발견을 근거로 이에 의한 소결핵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보고하는 바이다. Bovine tuberculosis is generally detected postmortem because it is a chronic debilitating disease. Since tuberculosis is mainly found in the lungs, clinical signs including coughing, nasal discharge, and difficulty breathing can occur in severe instances. In the present study,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heart, liver, kidney, lung, pleural cavities, lymph nodes and intestines of carcasses found in an abattoir. According to post-mortem examination and inspection of carcasses, tuberculosis lesions were varied in appearance and size. Tubercles of a white cream color were disseminated throughout the pleural cavity including the lymph nodes, lungs and mesentery containing pus. Gram and Ziehl-Neelsen’s acid-fast staining for the lung and lymph nodes revealed a highly positive histochemical reaction. The acid-fast organisms were observed histologically in the lesions under a microscope. This report demonstrated the histopathology of bovine tuberculosis based o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Mycobacterium bovis, which is a suspected causative agent.

      • KCI등재

        Sudden Death Caused by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D Enterotoxemia in Feedlot Cattle

        Seong-Jun Jang(장성준),Sun-Hee Do(도선희),Mi-Ran Ki(기미란),Il-Hwa Hong(홍일화),Jin-Kyu Park(박진규),Yu-Jeong Cho(조유정),Ae Ri Ji,Se-Il Park,Sang-Joon Park(박상준),Tae-Hwan Kim(김태환),Dong-Mi Kwak(곽동미),Kyu-Shik Jeong(정규식)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5

        비육우의 공장, 회장 및 결장의 특징적 괴사 출혈성 장염 증상은 폐사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젖먹이 송아지들이 폐사 증후군에 가장 영향을 받는데, 포유시 송아지에게 과식을 시키거나, 비위생적 초유 급유, 체온 하강 및 스트레스는 장독혈증 발생의 원인들이다. 2006년 7월 중 경북 영천 지역에서 축우의 폐사가 발생하였다. 식욕부진, 의기소침, 간헐적인 설사 및 경미한 호흡 곤란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임상 증상은 없었으나, 조직학적 소견에 의하면, 심장, 신장, 간, 비장 및 임파선을 포함한 각종 기관에서 globular leukocytes의 침윤뿐 아니라 핵내 봉입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비장과 림프조직에서는 림프 괴사와 림프구 괴사로 인한 ‘starry sky appearance’를 나타내었다. 소장 점막 하에서는 다량의 globular leukocytes와 호산 구의 침윤과 함께 호 염기성 세포 집단이 관찰되었다. 봉입체가 있는 소장 조직의 단면은 그램 염색에 대해 조직 화학적으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비축우의 폐사 원인은 조직학적 및 조직화학적 분석 결과를 근거로 Clostridium perfringens D 형균에 의한 장독혈증으로 진단되었다. Sudden deaths have occurred in feedlot cattle with marked necro-hemorrhagic enteritis of the jejunum, ileum and colon. Suckling beef calves are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Over-consumption of large amounts of milk, inadequate colostrum intake, chilling and stress are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enterotoxemia. Enterotoxemia caused by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D mostly occurs following a sudden change of diet, particularly to feeds made richer in order to grow the cattle to market weight in feedlots. During July 2006, sudden deaths of cattle occurred in the Youngcheon regional area of Gyeongbuk provi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clinical signs except anorexia, depression, intermittent diarrhea and mild respiratory failure. Histological findings revealed a prominent intranuclear inclusion as well as infiltration of the globular leukocytes in various organs including the heart, kidneys, liver, spleen and lymph nodes. Spleen and lymphatic tissues showed lymphatic necrosis and a starry sky appearance. In the submucosa of the small intestines, basophilic aggregation was detected with massive infiltration of the globular leukocytes and eosinophils. Gram staining for the tissue sections containing inclusions of the small intestines revealed a positive histochemical reaction.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D-induced enterotoxemia is determined to be the cause of sudden death of feedlot cattle.

      • 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Bovine Brucellosis in Korean Native Cattle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and Proteomics

        Seong-Jun Jang(장성준),Sun-Hee Do(도선희),Mi-Ran Ki(기미란),Il-Hwa Hong(홍일화),Jin-Kyu Park(박진규),Yu-Jeong Cho(조유정),Sang-Joon Park(박상준),Tae-Hwan Kim(김태환),Dong-Mi Kwak(곽동미),Kyu-Shik Jeong(정규식)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브루셀라증 감염 소 혈청으로부터 분리한 항 브루셀라 면역글로블린 항체를 이용하여 조직 면역염색을 통한 브루셀라증 진단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고 병의 발생과 관련한 기능적 진단 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Rose-Bengal test에 대해 양성 반응을 나타내어 브루셀라증으로 진단된 17개의 케이스와 음성 반응을 나타낸 19개의 대조군 케이스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실에서 분리한 항 브루셀라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반응에서 간의 중심 소엽에 위치한 간세포의 세포질, 신장의 사구체 및 관 상피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감염된 소의 간과 비감염 대조군의 간의 2차원 전기 영동법에 의한 단백질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5개의 단백질 스팟과 반대로 대조군에 비해 발현량이 현저히 감소한 5개의 단백질 스팟을 선별 하였다. 이 중 카탈라아제와 3-hydroxyacyl-CoA dehydrogenase의 발현 증가는 브루셀라증에 의한 장독 쇼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증가에 대한 방어적 반응으로 사료 되었다. 결론적으로, 항 브루셀라 면역글로불린 항체는 감염 조직의 감별 진단을 위한 좋은 진단 재료 임과, 더 나아가 단백질체학 분석을 통해 브루셀라증 진단 및 병리 연구를 위한 새로운 마커 단백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tilization of immunohistochemistry using the bovine anti-brucella immunoglobulin G (IgG) antibody in the diagnosis of brucellosis and to develop a functional biomarker relation for the progress of the disease. Anti-brucella IgG antibody was purified from the affected bovine serum using an affinity chromatography. We performed our investigation on 17 cases of brucellosis and 19 control cases with negative Rose-Bengal test results. Our purified anti-brucella IgG antibody showed a positive immunoreactivity in cytoplasmic hepatocytes of the centrilobular region, and glomeruli and tubular epithelium of the kidney. The protein pattern of the affected liver versus control was analyz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showing a different expression pattern of proteins between the two. Five protein spots were up-regulated and another were five down-regulated in the brucellosis liver. Significant upregulaton of catalase and 3-hydroxyacyl-CoA dehydrogenase might be due to a compensatory reaction in response to the endotoxic shock of brucella. In conclusion, the anti-brucella IgG antibody may be a good tool for discriminative diagnosis of the affected tissues and proteomics data suggest new target proteins underlying a possible pathogenic mechanism of brucellosis.

      • KCI등재

        HER-2/neu Protein Expression in Canine Mammary Adenocarcinoma

        Hai-Jie Yang(양해걸),Sun Hee Do(도선희),Dong-Wei Yuan(위엔동웨이),Il-Hwa Hong(홍일화),Mi-Ran Ki(기미란),Jin-Kyu Park(박진규),Moon-Jung Goo(구문정),Hye-Rim Lee(이혜림),Kyung-Sook Hong(홍경숙),Ok-Kyung Hwang(황옥경),Jung-Youn Han(한정연)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

        개에서의 유선 종양진단은 총 49 case 중에서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HER-2/neu, c-erbB-2),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Activated leukocyte cell adhesion molecule (ALCAM) 등 면역조직화학적염색법을 실시하였다. 우선 49 case를 두 그룹으로 즉: 양성종양그룹 (22 case)과 악성종양그룹 (27case)으로 구분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염색법의 분석결과 HER-2/neu의 발현은 양성종양에서는 31.8% (7/22), 악성종양에서는 29.6% (8/27)의 발현율을 보였고, EGFR의 발현은 양성종양에서는 27.3% (6/22), 악성종양에서는 22.2% (6/27)의 발현율을 보였으며, ALCAM의 발현은 양성종양에서는 40.9% (9/22), 악성종양에서는 7.4%(2/27)의 발현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개에서의 유선종양진단의 발현율은 사람에서 보고된 것(25%~30%)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임상진단분야에서 HER-2/neu 항체로 개에서의 유선종양진단에서 유용한 평가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involvement of EGFR, HER-2/neu and ALCAM (CD166) oncogene products in canine mammary neoplastic lesions, sections of archived paraffin-embedded samples of 49 mammary tumors were analyz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antibodies against human EGFR and HER-2/neu and ALCAM. These 49 tumors were divided into 2 groups: 22 benign (19 adenoma, 3 benign mixed tumors) and 27 malignant tumors (2 simple adenocarcinomas, 5 complex adenocarcinomas, 3 solid carcinoma, 5 sclerosing carcinoma, 8 malignant mixed tumors and 4 malignant myoepithelioma). As a result of immunostaining, 31.8% (7/22) of the benign tumors and 29.6% (8/27) of the malignant tumors expressed the HER-2/neu oncogene product, EGFR expression was detected in 27.3% (6/22) of benign tumors and in 22.2% (6/27) of the malignant tumors. ALCAM expression was detected in 40.9% (9/22) of benign tumors and in 7.4% (2/27) of the malignant tum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of the b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umor are associated with canine mammary gland tumors, as also reported for human breast cancer, the possibility of using anti-HER-2/neu antibodies in the treatment of canine mammary tum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