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칭 연구 경향에 관한 분석

        도미향,정미현 한국코칭학회 2011 코칭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2000년을 시점으로 2010년까지의 코칭에 관한 국내 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코칭의 연구동향을 정리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코칭에 대한 기본 적인 이해를 돕고, 국내에서 보다 활발한 코칭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최근에 활 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형태별 연구 경향으로 학위논문이, 특히, 박사논문이 크게 증가 하고 있었다. 셋째, 대상별 연구경향에서 문헌연구는 10(24.39%)편, 조직 구성원 대상 연구는 12(29.28%)편, 조직의 리더인 관리자나 책임자 대상 연구는 13(31.70%)편, 기업 및 기관 등의 조직관련 연구는 6(14.63%)편로 나타났다. 넷째, 주제별 연구 경향은 코칭행동이 91(45.73%) 편, 코칭지식이 27(13.57%)편, 코칭유형이 26(13.06%)편, 코칭프로그램이 26(13.06%)편, 조직 관련이 19(9.55%)편, 코칭심리가 10(5.02%)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속변인별 연구경향은 종속 변인이 있는 경우가 129(57.79%)편, 종속변인이 없는 경우는 84(42.21%)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코칭 연구가 아동, 가족, 심리 등 다양한 분야로 활발히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던 기존의 코칭연구가 최근 ADHD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거의 전무했던 박사논문 또한 더 활발히 연구되고 배출되고 있어 코칭연구의 질적 향상이 기대된다. 이를 근거로 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코칭의 현장적용 및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ffer a base for study of coaching. Data was collected by master's thesis, doctorial thesis, scientific essa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6 articles at 1995∼1999, 48 articles at 2000∼2004, and 135 thesis 2005∼2010. It means, the study of coaching was researched, recently. Second, there were articles at 124(62.32%) master's thesis and doctorial thesis. Third, the tendency of subject of literature on coaching was 10(24.39%), workers was 12(29.28%), leader of organization was 13(31.70%), about organization was 6(14.63%). Forth, The theme was coaching ability of leader, coaching factor, coaching acts were 41.46%, coaching leadership like a improvement of leadership, leadership education were 36.58%, program research was 9.76%. Fifth, there was 67.39% on dependancy factor, it was 31.61% on no dependancy factor.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 is offer a base for field of coaching research.

      • KCI등재

        조직의 성과달성을 위한 리더십코칭 연구 경향

        도미향,정미현 한국코칭학회 2010 코칭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리더십코칭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직의 리더십코칭을 주제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들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연도별․연구형태별․연구주제별․종속 변인별 연구 경향으로 살펴보았다. 연도별 연구 결과 총 41편 중 2005년도 이후의 논문이 34편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둘째, 연구형태별 연구경향은 학위논문이 27편으로 65.85%로서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대상별 연구경향으로 문헌연구가 24.39%,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29.28%, 조직의 리더와 책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31.70%였다. 넷째, 연구주제별 연구경향은 관리자의 코칭능력․코칭요인․리더로서의 코칭행동․조직에서의 코칭인식 등이 41.46%, 리더십향상․리더십교육 등의 코칭리더십이 36.58%,조직관련 연구가 12.29%, 프로그램관련 연구가 9.76%였다. 다섯째, 종속변인별 연구경향은 종속변인이 있는 경우가 31편으로서 67.39%, 없는 경우가 31.61%였다. 세부적 변인별로는 조직몰입․조직유효성․집단응집력․직무성과․직무만족도․리더십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의 리더십코칭 연구들을 연구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함으로서 조직의 리더십코칭에 관한 이해를 돕고 조직의 리더십코칭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ffer a base for study of leadership coaching. Data wasncollected by master's thesis, doctorial thesis, scientific essay. The results of this articlen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34 thesis after the 2005, It means, the study of leadershipncoaching was researched, mainly. Second, the tendency of form class was thesis for andegree. Third, the tendency of subject of literature on leadership coaching was 24.39%,nworkers was 29.28%, and leader of organization was 31.70%. Fourth, The theme wasncoaching ability of leader, coaching factor, coaching acts were 41.46%, coaching leadershipnlike a improvement of leadership, leadership education were 36.58%, program research wasn9.76%. Fifth, there was 67.39% on dependancy factor, it was 31.61% on no dependancynfactor.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 is offer a base for field of leadership coaching.

      • KCI등재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리더십 코칭 접근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08 코칭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현대 가족의 건강한 가족생활을 위한 가족 내·외적 자원의 지지와 활용이 가능하도록 돕고, 가족의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가족의 가치를 창출하고, 가족이 리더로서의 역량을 발휘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리더십 코칭의 이론적 틀을 구축하고, 그 적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족리더십 코칭을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서 가족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법으로서 코칭 접근의 가능성, 리더십 및 가족리더십 코칭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가족리더십 코칭의 실제적 접근에서는 가족리더십 코칭의 모델, 셀프리더십 코칭(7가지 습관), 4가지 리더의 역할(4RL)에 따른 가족통합성장 코칭, 가족리더십 코칭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상을 통해 가족의 역량을 지지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질문을 통해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가는 코칭 대화식 기법과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강력한 질문의 일부를 도출해 내었으며, 앞으로 가족코칭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upport utilizing internal and external assist within the family to adjustnfamily changes, to create family value, to establish Leadership Coaching’s theoretical framenas a way to demonstrate family as a leader, and to try to find the applicable plan for thennourishment of the contemporary family life.nThrough this study, as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Family Leadership Coaching and asna technique to fortify family’s competence, possibility of coaching techniques and the framenof conceptual Family Leadership Coaching are presented. For the practical approach of FamilynLeadership Coaching, it exhibits models of Family Leadership Coaching, Self-LeadershipnCoaching(7habits), family combining development coaching that accompanying four role as anleader(4RL), and questions for the Family Leadership Coaching.n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deduced coaching techniques that makes one to find ownnsolutions to problems through questions and partly the questions on the fortification of thenfamily for one way to support family’s competence, and last, it also shows foundationnmaterials for the future references to be utilized.

      • KCI등재

        영유아기 부모코칭역량 척도 개발 연구

        도미향,김근주,이경주 한국코칭학회 2019 코칭연구 Vol.12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nents of parent coaching capacity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establishing a coaching capacity scal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provides basic data for validation verification. 180 questions were derived from expert’s surveys with prior research and parent coaching experience, and 65 ques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wo validations of content feasi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x sub-constitutive factors: social competence, communication capacity, listening-oriented capacity, self-growth capacity, growth promotion capacity, and relationship formation capacity, 32 questions.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validating the coaching capacity scal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us, it is meaningful to check the coaching capacity of parents and to provide parent role support and a parent education data base.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구성하여 타당화 검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고찰 및 부모코칭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180문항을 구성하였고,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65문항을 영유아기부모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역량, 의사표현 역량, 의사존중 역량, 자기성장 역량, 성장촉진 역량, 관계형성 역량의 6개 하위 구성요인, 32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 타당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이는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들의 부모코칭역량을 측정하여 코칭역량의 효과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부모들의 코칭역량을 점검하여 부모역할지원과 부모교육 자료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 개발

        도미향,한민아,류은수 한국코칭학회 2023 코칭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leadership coaching for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leadership coaching scale for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develop scale items based on this.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to formulate the components and preliminary questions of the leadership coaching scale for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FGI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childca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aching to determine the leadership of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concept of coaching was defined, and components were derived to form preliminary questions. As preliminary questions, the first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10 experts in childca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aching, and 164 questions in 7 areas were formed. Items were derived. In order to confirm the scale factors and item composition of the derived 100 item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202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Jeolla, and other regions. 46 items were extra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extracted questions to examine model fit, an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secur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ponents of the leadership coaching scale for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mind, ethical practice, modeling, direction suggestion, relationship, planning and execution, feedback of 7 factors, and 46 question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의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를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 10인에게 1차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7개 영역, 164문항을 구성한 후, 보육, 유아교육, 코칭 전문가 5인에 의한 2차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100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100문항의 척도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및 그 외 지역 유아교육기관 원장 202명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의 4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의 구성요인은 마인드, 윤리적 실천, 모델링, 방향제시, 관계, 계획과 실행, 피드백 7개요인, 46문항으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코칭 척도를 확정하였다.

      • KCI등재

        가족미술치료의 이론과 그 연구경향

        도미향,최외선,전정민 한국가족복지학회 1997 한국가족복지학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Family Art Therapy and to find tendency of researches in the Family Art Therapy. There have been a few articles about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Family Art Therapy since the 1990's in korea. But it isn't enough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Family Art Therapy comprehensively. In this aspect, we can find the goal of this study. As the result, Family Art Therapy is powerfully effective to diagnosis, to intervene and improve the family and children's problem, disorder, maladaptive behavior.

      • KCI등재후보

        경기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확대 및 활성화 방안

        도미향,임화정,민경아 한국부모교육학회 2023 부모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특화 보육사업인 0세아전용 어린이집 사업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어린이집 발전 방향을 연구하는 데 있다. 경기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은 맞벌이 가정이 어린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도록 2008년 전국 최초로 선보인 0∼1세 전문 보육시설이다. 경기도 특화 보육사업을 확대하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원장 4명, 교사 3명으로 구성하여 자료를 탐색하였다. 자료 탐색과정에서 의미있는 단위로 교사대 아동 비율, 영아전문교육과정 요구, 유보통합에 따른 고민, 원장의 교사 겸직 상황, 보육 환경 개선 요구가 나타났다. 개선 요구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향후 발전방향의 정책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0세아 교사의 전문성 강화교육을 위한 영아전문교육과정 의무화와 심화교육과정에 관한 지원이 대안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원장의 교사 겸직에 관한 논의로 2015년 이후 재검토 필요성이 언급되고, 지침 명시와 지도 감독 등이 잘 지켜지고 효율적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해봐야하는 필요성에 대해 제안되었다. 셋째, 보육 환경의 개선으로 전문적인 영아보육을 위한 환경개선의 필요성과 조리사의 전문성 확보, 영아 교재, 교구 놀잇감 준비의 어려움 해소 방안도출에 대해 제안되었다. 넷째, 0세아전용 어린이집에 대한 적극적 홍보로 출생신고 단계에서 맞춤형 돌봄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경기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이 확대되고 활성화되어 성장할 수 있는 논의의 시작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daycare centers as a way to expand and revitalize the 0 to 1-year-old childcare center project, which is a specialized childcare project in Gyeonggi-do. The 0-year-old childcare center in Gyeonggi-do is the first childcare facility for 0 to 1-year-olds in the country in 2008 so that dual-income families can trust and entrust their childr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study ways to expand and revitalize the specialized childcare projects in Gyeonggi-do, an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four directors and three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for 0 to 1-year-olds in Gyeonggi-do.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data,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the demand for specialized infant curriculum, the concerns over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director's concurrent position as teachers, and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childcare environment were found. Based on the demand for improvement, the policy proposals for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daycare center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for the mandatory infant professional curriculum and in-depth curriculum for the professional reinforcement education of 0 to 1-year-old teachers was derived as an alternative. Second, the need for a review since 2015 was mentioned as a discussion on the director's concurrent position as a teacher, and the need to seriously consider whether the clarification of guidelines and supervision are well followed and effective was proposed. Third, we propos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professional infant care by improving the childcare environment, secure the expertise of cooks, and devise measures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preparing infant textbooks and parish play. Fourth, we proposed to provide services for customized care at the birth registration stage through active promotion of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aged 0 years. Based on this, we hope that the daycare center for children aged 0 to 1in Gyeonggi-do will be expanded and revitalized to start discussions to develop.

      • KCI등재후보

        평택시 아동 돌봄 및 보호·안전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도미향,윤지영,배영지,이종임 한국부모교육학회 2022 부모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경기도 평택시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중장기 발전 방향 중 아동 돌봄 및 보호‧안전 현황과 발전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주민의 욕구를 진단하고 지역사회보장 조사를 실시하여, 지역 간 사회보장 수준의 비교 분석을 위한 자료를 확보하였고, 격차 해소 및 균형 발전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지역사회보장조사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사회보장 영역 중에서 아동 돌봄과 보호·안전 부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돌봄에 대한 지역사회보장계획사업은 경제활동으로 인한 부모의 양육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대상자별 욕구에 맞는 지역 밀착형 통합 돌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며 부모의 양육비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돌봄 서비스를 지원하는 종합 돌봄 센터를 설치하는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보호 및 안전에 대한 지역사회보장계획사업은 안전한 스쿨존 환경을 조성하여 아동이 안전한 평택을 만들고, 시민들의 안전한 보행 환경조성을 위해 교통안전시설 설치에 대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평택의 아동 돌봄이 사각지대 없이 다양한 지원정책 마련이 필요하고, 보호 및 안전에서도 시민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발전과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