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개발

        김영준 ( Youngjun Kim ),도명애 ( Myungae D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개정ㆍ시행되고 있는 「평생교육법」을 기반으로 하여 현행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모색하는 데 있어 대학기반화를 주요 대안으로 반영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를 개발하는 데 있어 실천 기반의 차원에서 크게 ‘조직체계’, ‘교육과정체계’, ‘인력양성체계’의 세가지 요소를 연구 내용으로 반영하였다. 먼저, 조직체계는 대학 자체적 차원에서 고려될 수 있는 거시적 체계와 미시적 체계가 제시되었고, 대학 자체적 차원과의 연계를 기반으로 외부유관기관 간 협업이 반영된 공동형 체계가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체계에서는 대학기반의 취지가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제공하는 이점을 통하여 평생교육과정의 각 영역(예: 직업능력개발교육 등)이 전공 학과로 단위화될 수 있는 가능성과 이를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유형 및 사전적 전제 조건이 제시되었다. 인력양성체계에선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을 위한 대학기반의 취지와 관련하여 장애인 평생교육사가 양성될 수 있는 구조체계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e up with a university-based support system for the settlement and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Lifelong Education Act that has been amended and enforced. Three elements including ‘organization system’, ‘curriculum system’ and ‘human resource training system’ were considered. First, organiz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two systems, namely self-organization and common organization. For curriculum system, major unit types of different lifelong education areas and conditions of application were presented. For human resource training system, a structural system for training of lifelong educator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related to the purpose of university-based system was presented.

      • KCI등재

        노래 및 음식재료판 제작활동을 통한 생활자립훈련이 그룹홈 거주 지적장애인의 요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 ( Youngjun Kim ),도명애 ( Myungae D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노래 및 음식재료판 제작활동을 통한 생활자립훈련이 그룹홈 거주 지적장애인의 요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고등부 과정을 최종 졸업한 이후 그룹홈에 거주한 지 7~8개월째 되는 세 명의 지적장애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환경은 그룹홈 내 주방, 스터디룸, 일반가정의 주방과 같이 세 가지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여러 기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 인 노래 및 음식재료판 제작을 활용한 생활자립훈련은 연구 대상들이 속한 그룹홈 내에서 수시로 활용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생활정보 게시판을 학습 수단으로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독립변인에서 노래 제작과 음식재료판 제작은 상호 연계적인 절차와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목표행동(종속변인)인 요리기술은 연구 대상들이 오징어 볶음의 요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조작적 정의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행동인 요리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들은 중재가 종료된 지 3주 이후의 시점에서 습득한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과거에 거주하였던 일반가정의 주방에서 실시된 일반화 측정에 있어서도 중재 및 유지 효과와 상호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기능적 관계가 시사하는 바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life independence training through making activities of song and ingredient board on cooking skill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group homes. For this purpose, thre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been living in group homes for 7~8 months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course of special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including kitchen and study room in group homes and kitchen at hom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subjects was used among various techniques of single subject study. Life independence training through making activities of song and ingredient board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to create learning method based on smart phones, computers and life information bulletin board frequently used by the subjects in group homes. Also in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making of song and making of ingredient board were applied with mutually connected procedure and method. Cooking skill, the target behavior (dependent variable),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cooking of stir-fried squid by the subj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acquire cooking skill, the target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In addition, the subjects effectively maintained the target behavior acquired until 3 week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effects were similarly shown when generalized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kitchens at home they used to live in the past. Lastly, this study focused its discussion on implications of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