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위 상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삼각근 분할 도달법과 삼각 대흉간 도달법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 비교

        김승희(Seung-Hee Kim),단진명(Jinmyoung Dan),김병국(Byoung-Kook Kim),이윤석(Yun-Seok Lee),김형종(Hyoeng-Jung Kim),류근정(Keun-Jeong Ryu),이진현(Jin-Hyun Lee),김재화(Jae-Hwa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6 No.1

        목적: 삼각근 분할 도달법 또는 삼각 대흉간 도달법을 이용하여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 술을 실시한 근위상완골 골절의 환자에서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위 상완골 불안정성 골절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골절의 정복 및 고정술을 실시한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38.2주의 추시를 하였으며 각 군에서 수술 후 상완골의 경간각의 변화를 방사선학적 결과로 측정하고, 기능적 결과로 KSS 및 Constant score 차이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도달법에 따른 방사선학적 결과에서 상완골 경간각의 차이는 삼각근 분할 도달법에서 평균 12.04도와 삼각 대흉간 도달법에서 평균 10.20도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능적 결과에서KSS의 차이와 Constant score의 차이는 삼각근 분할 도달법이 22.74점 및 13.78점으로 삼각 대흉간 도달 법의 31.13점과 19.41점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불안정한 근위 상완골 골절의 치료에서 삼각근 분할 도달법을 통한 골절의 정복과 잠김 압박 금속판을 사용한 고정술이 기능적인 결과의 회복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 comparison of the radiographic and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two different surgical approaches- Deltoid splitting and Delto-pectoral interval-on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s treated by locking compressive plate (LCP), is done.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records and pr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75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fixations with locking compressive plates from May 2005 to December 2011.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rgical methods. Differences in the neck-shaft angle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final follow-up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Differences in constant score and Korean shoulder score (KSS) between affected arms and contralateral arms at final follow-up were also compared. Results: The differences in the neck-shaft angle betwee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at final follow-up was 12.04 degrees on average in Deltoid splitting approach and 10.20 degrees in Delto-pectoral interval approach,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tant score/KSS between the affected arm and the contralateral arm were 13.78/22.74 points in deltoid-splitting approach on average and 19.41/31.13 points in Delto-pectoral interval approach, showing that deltoid-splitting approach is significantly superior. Conclusion: Deltoid-splitting approach showed better functional outcomes in the fracture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LCP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s.

      • KCI등재

        AO Hook Plate와 TightRope를 이용하여 치료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결과 비교

        김용근 ( Yong Gun Kim ),이호재 ( Ho Jae Lee ),김동원 ( Dong Won Kim ),단진명 ( Jinmyoung Dan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1

        목적: HP와 TR을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의 탈구의 치료에서 각 군의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5월부터 2012년 5월까지 HP와 TR을 이용하여 수술한, 최소 1년 이상 추시한 51예의 Rockwood type III-V 손상 환자에서 의무 기록을 후항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방법에 따라 두 군(HP=32; TR=19)으로 나누었고 최종 오구 쇄골 거리 차이를 측정하고, Constant score, UCLA score와 KSS를 측정하였다. 결과: 임상적인 결과로 HP군은 Constant score 78.5점, UCLA score 29.2점, KSS는 79.2점이었고, TR군은 81.4점, 29.9점, 80.7점이었다. 건측과 비교한 오구 쇄골 간격의 증가는 HP군 44.7%, TR군 76.5%로 통계적 우위는 없었다. HP군에서 견관절 운동 회복이 늦었으나 최종 추시에서 견관절운동 범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HP와 TR을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의 탈구의 치료는 두 군 모두에서 우수한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얻을수 있는 술식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compare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s with respect to acromioclavicular (AC) joint dislocation depending on the surgical method: Hook plate (HP) versus TightRope (T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9 and May 2012, 51 patients with Rockwood type III-V lesions received clinical and radiographic follow-up.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rgical methods (HP: n=32; TR: n=19). Radiological follow-up included comparative coracoclavicular distance (CCD) measurements as a percentage of the uninjured shoulder. For clinical follow-up, a standardized functional shoulder assessment with the Constant scor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 and Korea shoulder score (KSS) were carried out. Results: Comparing the functional result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stant score: HP, 78.5; TP, 81.4; UCLA score: HP, 29.2; TP, 29.9; KSS: HP, 79.2; TP, 80.7). Time to restoration of the range of motion (ROM) above shoulder level was longer in the HP group than in the TR group. However, the ROM at 1 year postoperation and final follow-up revealed similar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The AC joints were well reduced in both groups, the CCD increased to 44.7% in the HP group and to 76.5% in the TR group at the final follow-up; however, no one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others. Furthermore, there were 8 cases (25.0%) and 5 cases (26.3%) of AC joint arthritis in the HP group and TR group, respectively. However, the observed AC joint arthritis has a poor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symptom and radiological results in both groups. Conclusion: Both HP and TR fixation could be a recommendable treatment option in acute unstable AC joint dislocation. Both groups showed excellent radiologic and functional results at the final visit.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except for the time to restoration of ROM above shoulder level.

      • KCI등재

        비타민 D 결핍이 동반된 다발성 연속적 골단판 손상

        김병국(Byoung-Kook Kim),김용근(Yong-Gun Kim),이호재(Ho-Jae Lee),최대성(Dae-Sung Choi),단진명(Jinmyoung D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6

        최근 신체의 다양한 조직과 세포에서 면역과 증식, 분화를 조절하는 기능이 알려진 비타민 D는 정형외과 영역에서는 칼슘과 인 대사에 관여하여 뼈 발육과 성장, 건강한 골격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특히 청소년기 비타민 D의 부족은 뼈의 무기질화에 영향을 주어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하여 골절의 위험의 증가와 골절 치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저자들은 여러 부위의 성장판에 연쇄적인 골절이 발생한 13세 소아 환자에서 비타민 D 결핍이 다발 부위의 연쇄적 골절의 가능한 원인으로 확인하였다. 비타민 D 결핍이 골절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므로 비타민 D의 투여가 부상에서 성공적으로 회복하고 추가적인 골절을 방지하는 데 중요함을 보고한다. Vitamin D plays a major role in bone metabolism, and its deficiency has an impact on fracture risk and healing. Low vitamin D levels are a cause of poor bone mineralization and have been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physeal injury in children. This paper presents a case of a 13-year-old boy with a vitamin D deficiency, who sustained multiple sequential epiphyseal injuries at various areas. This report suggests that vitamin D deficiency is not only a significant cause of the clinical disease itself, but also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uccessful recovery of inj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