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노혜림(Hye Rim Noh),이현숙(Hyun Sook Y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뉴스에 대해 LDA 토픽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단어 간의 관계를 통해 평가 자체에 대한 인식과 이해당사자별 인식을 확인하고자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뉴스기사에 포함된 댓글에 대해 주제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분석 결과, (1)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확대에 대한 시·도교육감들의 상반된 반응, (2) 자율평가의 참여 유도로 인한 교육청과 교원단체 간의 갈등, (3)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시행, (4) 학력 신장을 위한 보수성향 교육감의 평가 확대, (5)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대상 확대, (6)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7)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시행과 사교육 총 7개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댓글 분석에서는 자율평가 시행의 필요성 및 이에 대한 우려가 주로 등장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자율평가를 통해 서열화와 사교육이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과 일제고사 형식의 평가는 지양하지만 자율평가 도입을 통한 학력 진단은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바탕으로, 맞춤형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on the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CAEA) proposed to ensure the basic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news articles and online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majo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tations using web-crawling method. The 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while keywor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and comments. Seven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LDA analysis: (1) conflicting responses from superintendents for expansion of the CAEA, (2) conflicts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 organizations over participation in the CAEA, (3)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to ensure that every student meets the basic level of academic standards, (4) expansion of the CAEA for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by conservative superintendents, (5) expansion of CAEA’s target grades, (6) the 2021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result, and (7) implementation of the CAEA and private education. In addition, the need for the national or state-level customized assessment and concerns about polarization in education associated with mandatory administration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comments on news articles. Finall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explored through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ly-sound applications of the CAEA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종단자료 분석을 위한 모형 기반 재귀적 분할 접근방식의 확장

        조영진(Yeong Jin Jo),노혜림(Hye Rim Noh),류지훈(Ji Hoon Ryoo)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1

        종단연구에서 성장모형을 찾는 것은, 변화를 이해하고, 그 변화를 통한 변인들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단계이다. 이러한 모집단의 성장모형은 하나의 성장 궤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종종 두 개 이상의 다양한 궤적들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종단연구를 분석하는 상황에서 구조방정식과 재귀적 분할 접근방식이 결합된 SEMtree의 확장된 형태인 성장혼합나무모형과 분석절차, 그리고 모형의 효용성을 보이고자 한다. 성장혼합나무모형의 효용성을 보이기 위해 국내 자료 중 자료의 규모가 크면서, 측정된 배경변인이 많은 KELS 2013 자료의 5시점(초5 ~ 중3)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에서 국어 성취도 점수, 성별, 가정 월 소득,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 학업 스트레스 5개 변수를 활용하여 성장혼합나무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빠른 성장집단과 느린 성장집단으로 성장모형의 잠재집단이 파악되었고, 재귀적 분할 접근방식을 적용한 결과 성별과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 정도에 따라 5개의 노드로 분할되어 총 10개의 성장모형이 확인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의 이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로 활용되었던 기존 성장혼합모형과 달리, 종단자료 내 학생의 성장형태와 공변수를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성장혼합나무모형의 효용성과 재귀적 분할 접근방식의 확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longitudinal studies, it is primary step to identify growth patterns to understand the chang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 and the other variables. Such a population growth pattern would be represented by a growth pattern but it is also common to be represented by several different patterns. This study aims to show the efficiency in identifying the growth patterns via a recursive partitioning approach by applying growth mixture tree model into longitudinal data.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data were used with five time points from 5th grade to 8th grade. Korean achievement score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tudent gender, family income, self-conception on learning, and academic stress were used as covariate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two growth patterns, fast growth and slow growth patterns. Recursive partitioning approach also indicates five final nodes, which makes total of 10 growth patterns in the data. The results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those of growth curve model and informed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patterns and variables considered. It was discussed how efficient the growth mixture tree model is and how the recursive partitioning approach can further ext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