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타 학문 분야 간의 문헌 인용 행태 분석 - 기록관리학 분야 학술지를 중심으로 -

        노현아,장우권,No, Hyeon-A,Chang, Woo-Kw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4

        이 연구는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이 학술 연구과정에서 인용한 타 학문 분야 문헌을 바탕으로 이 분야와 타 학문분야간의 학술적 상호관계와 주제 의존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기록학회의 '기록학연구'와 한국기록관리학회의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대상으로 창간호부터 2011년까지 발행된 학술지에 실린 383편과 이 연구논문이 인용한 6,811편을 조사 분석하였다. 전체 인용 문헌 중 타 학문 분야 문헌 2,224편을 빈도 및 백분율에 대한 통계치를 사용하여 주제별, 인용시기별, 인용 연령별, 문헌유형별로 분석하고, 항목별 비교분석을 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bliography in other academic areas cited by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researchers, identify academic correlations between other academic areas and their independency, and present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this area. Also, this study conducts the following analyses. This study analysed statistical value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of 2,224 of 6,811 bibliographies cited by 383 articles which were issued until 2011 according to themes, periods of citation, age of citers and types of bibliography, targeting 'Archival Science Studies' by Korea Society of Archival Studies and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by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 KCI등재

        IT 유창성의 관점에서 대학 교양과정의 정보교육 내용 분석

        노현아,김자미,이원규 한국정보교육학회 201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6 No.1

        정보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정보기술의 습득은 전문지식인을 양성하는 대학에서도 필수적이다. 따라서 각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효율적인 정보교육을 위해 IT 유창성을 기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미국 과학원 NRC99에서 정의하고 있는 IT 유창성의 관점에서 국내 대학들의 다양한 정보 교양교육과정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2010년 9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대학정보공시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개 대학 중 84개교가 교양필수 과정으로 정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 중 29개 대학에 대해 구체적인 교육과정 내용 분석 결과, IT 유창성 영역 중 현대기술 영역에서는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교육에 집중되어 있었다. 기초개념 영역은 일부 다루어지고 있었으나, 지적능력에서 요구되는 학습내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그 동안 초중등 교육에서만 집중되었던 정보교육을 고등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학습내용과 현황을 분석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It is required that university students acquire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to adapt to th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it is inevitable for universities to provide students with an effective curriculum to improve IT flu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informatics learning programs in universities in Korea in terms of IT fluency which is defined by National Academy of Science NRC99.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the Academy Information Center announced, the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2010 to June 201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84 of 201 universities provide the informatics education as a mandatory course. 29 of them mainly provide the programs about word processors, spreadsheet, and presentation that are regarded as contemporary skills. These programs cover the fundamental concept, but the contents which require intellectual capabilities are rarely addressed. Moreover, the informatics education has mainly focu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this sense, it is valid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urrent states of the informatics learning programs required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 ‘상업 정보계열’ 전문교과에서 내용교수지식을 통한 언플러그드 활동 적용

        노현아,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창의교육연구소 2011 정보창의교육논문지 Vol.5 No.1

        7차 교육과정 개정(2007)은 ‘상업계열’ 전문교과에서 ‘상업 정보계열’ 전문교과로 명칭을 변 경하고 과목의 종 류를 정보와 관련된 과목의 명칭과 내용으로 개정하였다. 개정된 과목들은 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지식을 내포하고 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내용교수지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 정보계열’ 전문교과에 서 정보와 관련된 과목에 대한 언플러그드 활동을 필수 과목인 ‘컴퓨터 일반’ 과목에 적용 하고자 한다. 이를 통 해 ‘상업 정보계열’ 전문교과 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을 제안하여 전문성 제고에 도움이 되 고자 한다.

      • KCI등재

        In Vivo Expression of EphrinA5-Fc in Mice Results in Cephalic Neural Crest Agenesis and Craniofacial Abnormalities

        노현아,박은정,박수철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4 Molecules and cells Vol.37 No.1

        Eph receptors and their ligands ephrins have been implicated in guiding the directed migration of neural crest cells (NCC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Wnt1-Cre-mediated expression of ephrinA5-Fc along the dorsal midline of the dien- and mesencephalon resulted in severe craniofacial malformation of mouse embryo. Interestingly, expression of cephalic NCC marker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onasal process and branchial arches 1 and 2, which are target areas for the migratory cephalic NCCs originating in the dien- and mesencephalon. In addition, these craniofacial tissues were much smaller in mutant embryos expressing ephrinA5-Fc. Importantly, EphA7-positive cephalic NCCs were absent along the dorsal dien- and mesencephalon of mutant embryos expressing ephrinA5-Fc, suggesting that the generation of cephalic NCCs is disrupted due to ephrinA5-Fc expression. NCC explant experiments suggested that ephrinA5-Fc perturbed survival of cephalic NCC precursors in the dorsal midline tissue rather than affecting their migratory capacity, which was consistent with our previous report that expression of ephrinA5-Fc in the dorsal midline is responsible for severe neuroepithelial cell apoptotic death.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expression of ephrinA5-Fc decreases a population of cephalic NCC precursors in the dorsal midline of the dien- and mesencephalon, thereby disrupting craniofacial development in the mouse embryos.

      • KCI등재

        교육대학교 신입생 대상 ICT 리터러시 능력 측정 분석

        노현아,정인기,이원규 한국정보교육학회 201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7 No.3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변화 속에서 디지털 교육 환경의 구축이 가속화됨에 따라 교육대학교에서의 올바른 정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교 신입생의 정보교육에 대한 수준을 실질적으로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능력, 분석적 추론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역량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ICT 리터러시이다. 본 연구에서는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검사 문항을 기존 연구에서 정의한 개념을 바탕으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로 교육대학교 신입생 360명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한 후 교육대학교 신입생의 전체적인 ICT 리터러시 능력 수준과 성별, 내용영역, 능력요소별, 고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이수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ICT 리터러시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교에서 신입생의 정보교육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다가오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필수적으로 지녀야 할 능력을 지니기 위해 교육되어야 할 정보교육 방향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deployment of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accelerating in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 tool is required to practically measure and evaluate the level of information education (IE) for freshmen in the University in order to propose an appropriate direction of IE in a teachers college. According to such current trends, ICT literacy is a tool to assess a specific level of capabilities such as a variety of real-world problem-solving skill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alytic reaso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has developed a test tool to measure ICT literacy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test questions defin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It was used to measure ICT literacy competence of 360 university freshmen of education and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among them depending on overall ICT literacy levels and genders, content areas, competence factors, and completion of IE course in high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IE for freshme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basic data of the direction for IE course that university students need to essentially acquire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