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자료조직 연구의 지적 토대에 관한 고찰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근대 도서관사에 있어 자료조직에 대한 지적 토대가 어떻게 형성$\cdot$발전되어 왔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는 그동안 우리 고유의 지식문화와 정보행태를 대변하는 '토착적' 가치를 지닌 자료조직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해 왔는지를 역사적 관점에서 엄격하게 성찰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난 반세기동안 도서관계 혹은 문헌정보학계에서 생산된 자료조직 연구물들을 수집하여 이들이 어떠한 토대와 근거를 바탕으로 생산되었으며. 어떠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정성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comprehensive inquiry about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cataloging research in Korea. Emphasis was on analyzing how both Pertinent and indigenous the Korean cataloging theory and practice have been developed to the Korean bibliographic environments. To the end, this study collected and examined exhaustively the research articles produced from the early 1950's to the Present In Korea. These articles are divided and reviewed into four periods: the period of (1) beginning research activities, (2) compiling the Korean cataloging tools, (3) applying cataloging automation, (4) introducing metadata. The focus was on investigating their intrinsic values and philosophies about information organization.

      • KCI등재

        국제 목록 동향을 반영한 『KORMARC-전거통제용』 개정 방안에 관한 연구

        노지현,이미화,Rho, Jee-Hyun,Lee, Mihwa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1

        정보의 체계적인 조직과 연계를 통해 검색의 정확률과 재현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거레코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특히, 저작의 집중과 탐색을 위한 기반으로서 전거레코드는 도서관 뿐 아니라 박물관, 기록관, 미술관 등 그 적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우리 도서관계에서는 지난 1999년에 KORMARC- 전거통제용을 제정한 이래, 국제적인 목록 환경과 국내 도서관계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개정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 도서관계에서 전거레코드를 구축하고 있는 도서관은 손에 꼽을 정도로 소수에 불과하며, 이러한 전거레코드의 부재는 검색의 효율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거제어와 관련한 국제적인 목록 동향과 이러한 동향을 대폭 수용하여 개정한 MARC21을 상세히 분석한 다음, 우리 도서관계에 적용할 KORMARC - 전거통제용의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개정(안)의 도출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국내 도서관 및 VIAF의 전거레코드 분석, 도서관 실무진과의 집단면접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uthority records in OPAC to improve the precision and the recall by organizing and connecting information systematically. Especially, the authority records are widely used in the museums, archives, art galleries, etc as well as in the libraries for work collocation and search. But KORMARC-Authority Format (KSX6006-4) could not have been revised and managed consistently reflecting international cataloging trends and revision needs of Korea libraries since it was published in 1999. Resultingly, there are only few libraries that would have constructed the authority records in OPAC in Korea, and OPAC without authority records could deteriorate the search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revision of KORMARC-Authority Format by investigating authority related international trends such as ICP, FRAD, RDA, VIAF and analyzing new MARC21-Authority Format applying these authority related trends. The research methods were used such as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of 5 domestic libraries' authority records and VIAF records, and the group interview with librarians.

      • KCI등재

        한국 도서관계의 다문화 서비스 방향 모색 -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참고하여 -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at reflects the uniqu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Korean libraries have accomplished very prompt adaptations and unquestioning acceptance of the western model, although Korean conditions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wester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intends to critically analyze the multucultural library services, based on a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American libraries' experience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proper answer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Korean library situation. The data for discussion were collected by literature survey, direct observation of American public libraries, and interviews or e-mails with American librarians. 다문화 시대에 도서관의 역할과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고, 우리 사회에서 추구하는 다문화의 가치를 도서관의 관점에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도서관계의 다문화 논의는 우리와는 문화적 토양이 상이한 서구국가의 경험과 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실행 방안 또한 이들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례를 외형적으로 모방하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역사적이고 사회문화적인 배경 속에서 이주민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가 어떻게 발전하여 왔는지 그 실체를 정확하게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의 상황에서 수용해야 할 것과 향후 비판적 검토가 필요한 것을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 도서관(뉴욕 퀸즈도서관, LA공공도서관, 시애틀공공도서관)에서의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장서에 대한 목록 구축의 경험과 교훈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No.4

        이 연구는 최근 다문화도서관이나 도서관에서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아시아공동체 부설 국제어린이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만 여권의 다문화 장서에 대한 목록 구축 경험에 기초하여 향후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적용할수 있는 체험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1) 그동안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관한 국내외 도서관계의 기존 논의를 추적하고, (2)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그리고 민간도서관에서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 장서 목록 구축의 사례와 북미 도서관계의 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본 다음, (3) 실제 목록 구축의 경험을 통해 향후 우리 도서관계에서 다문화 장서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cataloging on multicultural collection in Korean libraries. Especially, this study emphasized to derive a lesson of immeasurable value from the cataloging experience in International Children's Library at Asia School. To the end, (1) comprehensive literature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troduce the discussion on cataloging for multicultural or multilingual collection, (2) the cataloging examples were examined comprehensively (the data needed were collected by public, academic and nonofficial libraries in Korea, as well as several libraries in North America), and finally (3) cataloging policy and practices for multicultural collection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in International Children's Library at Asia School.

      • KCI등재

        '디지털 키즈'를 위한 OPAC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노지현,이은주,Rho, Jee-Hyun,Lee, Eun-Ju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로 간주되는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에게 적합한 OPAC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실험적으로 구현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시스템의 개발에 앞서 시스템의 모형을 간단히 만들어 보는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토타입의 개발 대상은 초등학교 4~5학년생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요구분석에 근거하여 논리적 모델을 설계하고, (2) 논리적 모델에 따라 OPAC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다음, (3)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어, (4) 사용성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디지털 키즈를 위한 OPAC의 개발 전략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implement a OPAC prototype for digital kids. To the end, this study applies prototyping techniques that design, evaluate and improve an early sample model. Includ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esign a conceptual model of new OPACs based on the information need analysis of digital kids, (2) implement a OPAC prototype with WordPress 4.2 version, (3) evaluate the prototype OPAC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kids and children librarians, and finally, (4) suggest the improved model and implementational strategies for kid's OPAC. 6 fourth and fif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5 children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participate in the final evaluation process.

      • KCI등재

        도서관목록에서 폭소노미 적용의 의미와 한계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4

        이 연구는 폭소노미에 대한 우리 도서관계의 보다 근원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그를 통해 우리 도서관의 실정에 보다 적합한 폭소노미에 대한 접근 및 수용 방법을 강구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근거하여, (1) 폭소노미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에 내재된 철학적 의미를 도서관목록의 전통적 의미에 견주면서 살펴보고, 이어 (2) 폭소노미를 바라보는 북미 문헌정보학계의 관점과 도서관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더불어 (3) 폭소노미의 적용 결과를 둘러싼 북미 도서관 현장에서의 유용성 논의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긍극적으로 (4) 폭소노미의 수용에 앞서 우리 도서관계가 고민해야할 과제와 취해야 할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comprehensive inquiry into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Folksonomy, and to explore how to make full use of Folksonomy in library cataloging.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as follows : (1) how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Folksonomy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rinciples of library cataloging, (2) what the viewpoint of LIS scholars toward Folksonomy are, and how North American libraries have customized Folksonomy for their catalogs. In addition, (3) usefulness of Folksonomy in library catalogs is thoroughly discussed. Based on these, (4) the final discussion includes strategies for Korean LIS scholars and library practitioners to consider when applying Folksonomy to Korea library contexts.

      • KCI등재

        도서관목록 이용자의 집단별 특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4

        도서관목록에 있어 '이용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도서관목록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이용자 집단별로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검증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에 대한 이용자 집단별 차이를 이해하고, 나아가 그러한 차이에 근거한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등 네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해 조사한 다음, 각 집단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속성과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5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록과 관련한 행태적 특징을 10개의 지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이용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론에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이용자 집단별로 보다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importance of users on library catalogs can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little is verified about how well the users' needs have been m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user groups on library catalog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To the end,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users into four groups: elementary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Investigated are unique features and differences in searching behavior on library catalogs between the four group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544 users, and analyzed for both frequency test and Chi-square test. The major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groups. Also discussed are several suggestions for more in-depth research.

      • KCI등재

        편목업무 아웃소싱의 성과에 대한 논의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gain and loss of cataloging outsourcing in Korea public libraries. To this end,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investigated: (1) How much has cataloging outsourcing enhanced the efficiency of cataloging operations? (2) What is an influence of cataloging outsourcing on the quality of catalogs? and finally, (3) Is there any evidence to strengthen core library service by outsourcing cataloging? The data need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with 3 public libraries which have experienced outsourcing. To make a comparative study, a survey with 3 public libraries against outsourcing are also included. 이 연구는 편목업무 아웃소싱의 득과 실을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통해 직접 검증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필자가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편목업무에 아웃소싱을 도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이 증대되었는가? 둘째, 편목업무의 아웃소싱이 목록의 품질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가? 셋째, 편목업무의 아웃소싱은 이용자서비스 업무를 강화하는데 과연 도움이 되었는가? 이 연구에서는 편목업무의 아웃소싱을 시행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되, 상대적 비교를 위해 편목업무의 아웃소싱을 시행하지 않고 있는 공공도서관 중에서 비슷한 예산과 인력, 장서규모를 가진 도서관의 사례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표본으로 선정한 도서관은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에 해당하는 공공도서관 각각 3곳씩 총 6곳이었다.

      • KCI등재

        개인명 전거제어 및 전거형 접근점 작성을 위한 한국목록규칙 개정 방안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KCR4와 그 후속 논의에서조차 배제되어 왔던 접근점, 그 중에서도 '개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의 전거레코드 및 전거형 접근점의 작성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FRBR와 FRAD 개념모델, FRBR 실행 시나리오, ICP 등을 토대로 하여 개인명 전거레코드 및 전거형 접근점의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2) RDA와 일본목록규칙 개정(안)에 수록된 개인의 속성과 접근점에 관한 규정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이어, (3) 미의회도서관(LC)과 일본국립국회도서관(NDL)에서 구축한 개인명 전거레코드 및 전거형 접근점의 사례를 분석하고, (4) 관련 규정의 부재 속에서 그간 국내 도서관들이 나름의 방식에 따라 구축해 온 개인명 전거레코드의 사례를 참조하면서 향후 KCR 개정에 반영할 개인명 전거레코드 및 전거형 접근점의 작성 방안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suggestion on the Korean cataloging rules (KCR) for personal name access points. KCR4 revised in 2003 has been criticized in the absence of related rules. To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s (1) the objectives and functions of personal name access points in the changing bibliographic universe, (2) the detailed rules for persons in RDA and new NCR, and (3) the cases of personal name access points in LC(Library of Congress), NDL(National Diet Library in Japan) authority records. (4) Based on theses, suggested are rules and examples for recording attributes and the authorized access points of persons in KCR to be revi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the case study, and the interviews with catalogers.

      • KCI등재

        다국어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 형식에 관한 논의

        노지현,Rho, Jee-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이 연구에서는 거대한 서지구조에서 개체를 식별하고 개체 간의 관계를 연결하는데 있어 핵심적 요소인 전거형 접근점에 대해 우리 도서관계가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해야 하며, 더불어 전거형 접근점은 어떠한 형식이 보다 바람직한지에 대해 폭넓게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KCR 2판 이후로 관련 논의조차 전무하였던 접근점의 개념이 오늘날의 정보환경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2) 국제목록원칙과 최근의 새로운 목록규칙에 반영된 전거형 접근점의 개념과 관련 규정을 분석한 후, (3) 우리의 목록레코드에 반영되어 있는 접근점의 실체를 추적해가면서, (4) KCR 4판의 개정 작업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다국어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의 형식, 그 중에서도 문자 형식에 대해 (1) 원어 형식, (2) 한글 형식, (3) 번자 형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With the rapid progress toward a new cataloging model, the revision of Korean Cataloging Rules (KCR) are under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suggestion on constructing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multilingual works, especially focused on the language and script of authorized access points. To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s (1) the extended functions and meanings of access points on the new model, (2) relat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reflected in International Cataloging Principles and typical cataloging rules,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access points in the current Korean cataloging practices. Finally, (4) desirable languages and scripts of authorized access points representing multilingual work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