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와 마음읽기의 관계

        노지민(Jimin Roh),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의 질문유형(사실정보, 추론)에 따른 읽기이해력과 마음읽기능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마음읽기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5세 전에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받은 초등학교 고학년 청각장애 아동 16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건청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읽기이해 과제와 마음읽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이원혼합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집단 간 질문유형에 따른 읽기이해력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는 없었고, 질문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있었다. 사실정보 읽기이해에 비해 추론 읽기이해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질문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마음읽기능력이 건청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건청 아동의 사실정보 읽기이해는 수용어휘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추론 읽기이해는 마음읽기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표현어휘력이 사실정보 및 추론읽기이해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생활연령, 마음읽기능력, 수용 ·표현어휘력 중 건청아동의 사실정보 읽기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수용어휘력이 나타났으며, 추론 읽기이해력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마음읽기능력이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표현어휘력이 사실정보 읽기이해력과 추론 읽기이해력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두 집단 간 읽기이해력과 마음읽기의 관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 중재 시 마음읽기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 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reading comprehension (RC) performance between group by question types (literal vs. inference);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on mind-reading;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best predict RC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I) compared to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NH). Methods: A total of 32 children composed of 16 children with CI aged from 9 to 12 years old and 16 of their NH pe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were tested on RC and mind-reading tas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RC according to question types.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literal RC than in inference RC. The group by question type of RC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Children with CI’s mind-read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H childre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literal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inference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ind-reading ability in NH children. However, CI children’s literal RC and inference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pressive vocabulary.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best predictor of literal RC for NH children was receptive vocabulary and the best predictor of inference RC for NH children was mindreading ability. However, children with CI’s best predictor of literal RC and inference RC were expressive vocabular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I’s RC inefficiently processed compared to NH children. They have difficulty in using top-down process of RC as well as using bottom-up process.

      • KCI등재

        기혼 중년여성이 경험한 신흥종교 입탈퇴 과정의 체험성 연구

        노지민(Jee Min Roh),유영권(Young Gweon You)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중년여성이 경험한 신흥종교의 입탈퇴 과정과 그 체험성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8명의 신흥종교 탈퇴를 경험한 기혼 중년여성을 심층 면접한 후 도출된 하위 주제들을 van Manen(1990)의 체험된 실존 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기혼 중년여성의 신흥종교 경험으로 체험된 신체성에서 4가지, 체험된 관계성에서는 6가지, 모두 10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첫째, 입교 과정에서 신흥종교 단체의 신분을 은폐하려는 포교 전략이 있었고,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종교 자체가 아닌 애착 관계를 선택하면서 신흥종교에 빠졌으며, 셋째, 신흥종교를 탈퇴하는 과정에서는 가족관계가 주요한 맥락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흥종교에 대한 기혼 중년여성의 체험적 인식을 심리적으로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 기독교 상담 및 목회의 실무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entering and exiting new religious groups as experienced by married middle-aged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o this end, sub themes that emerg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arried middle-aged women who had experienced new religious group withdrawal were reorganized through van Manen's(1990) experienced existential domains. In conclusion, firstly, there were proselytizing strategies to conceal the identity of the new religious organization during the initiation process, secondly, the participants entered into the new religious group based on the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religion itself, and thirdly, family relationships were the main contextual factors in the process of leaving the new religion. This study is the first one which analyzes psychologically married-aged women’s experiential perceptions of new religious groups and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for Christian counseling and pastor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