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발생한 특발성망막앞막의 자연 분리 1예

        노주희,김현아,박태관,온영훈.Ju Hee Noh. MD. Hyun A Kim. MD. Tae Kwan Park. MD. PhD. Young Hoon Ohn.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3

        Purpose: To report a case of spontaneous separation of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in an elderly patient. Case summary: A 61-year-old male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He was diagnosed with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ERM) in the right eye and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 in both eyes. The patient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and ERM removal in the right eye. At postoperative 1 year, his vision in the right eye had improved, but idiopathic ERM developed in the left eye and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decreased. Three years later, the ERM in the left eye resolved spontaneously and his vision increased. Conclusions: Herein we present a rare case of spontaneous separation of idiopathic ERM associated with a pre-existing PVD in an elderly patient and reviewed the available literatures regarding the possible mechanisms for the spontaneous separation of ERM in the presence of a pre-existing PVD.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3):459-464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생활습관과 생식건강과의 관계

        노주희,김희선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9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5 No.4

        Purpose: University students happen to be in a transitional period at the beginning of one's adult life and thereby establish the basis for their health care. The negative lifestyles followed by students during this period can also affect their reproductive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ifestyle, reproductive health, gender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lifestyle and reproductive health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We use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A total of 300 subjects were enrolled.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between October 11 and 25, 2017 and ana�lyzed using SPSS 25.0. Subjects agreed to undergo a face-to-face interview, including administration of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II (HPLP-II)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1.4 years. HPLP-II and reproductive health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enders. The scores of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in femal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males. The scores of safe sex and sexual responsibility in fe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and the score of genital health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females than males. High HPLP-II score was observed to be in correlation with high reproductive health attitudes and behaviors. Conclusion: The result revealed differences in lifestyle and reproductive health between both the genders. For improvement of reproductive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provision of lifestyle intervention including healthy nutritional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is imperative.

      • KCI등재

        여대생의 생활습관과 우울, 불안 및 생식건강과의 관계

        노주희,유성희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8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4 No.1

        Purpose: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lifestyle, psychological distress, and reproductive health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We use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A total of 275 subjects were enrolled. Subjects agreed to undergo a face-to-face interview, including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determin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II (HPLP-II),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 for depression and anxiety (DASS-D, DASS-A),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menstruation irregularity, dysmenorrhea, and gynecologic symptoms). Results: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21.2 years. Those with low HPLP-II score showed significantly high menstruation irregularity. Those with high depression and anxiety had significantly high reproductive symptoms. In addition, high HPLP-II score was correlated with low depression, anxiety, and high reproductive health. Conclusion: The life styl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reproductive health. To improve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productive health, life style interventions including healthy nutritional habit,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management are important.

      • KCI등재

        부인암 여성과 배우자를 위한 PLISSIT 모델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노주희 한국간호과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3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he Permission, Limited Information, Specific Suggestions, IntensiveTherapy (PLISSIT) model sexual health enhancement program on, and development in, sexual function, sexual distress,marital intima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nd their husbands. Methods: The comprehensiveprogram (4 session, 90 minutes per sess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PLISSIT model. Participants were 43couples, 21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o attended the 4-week program, and 22 to the control group. Sexual function,sexual distress, marital intimacy, subjective happiness of the women, marital intimacy, subjective happiness of husbandswere determined by a questionnaire that was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control groupreceived the intervention post experiment. Chi-square 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program. Results: Post intervent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sexual function, sexual distress,and marital intimacy in the women and for subjective happiness in the husbands.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sexual health enhancement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exual function, lowering sexual distress, increasing marital intimacy,and subjective happiness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nd their husbands.

      • KCI등재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이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노주희,김민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 활동이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7명으로 실험집단 1은 19명, 실험집단 2는 18명으로 구성되었다.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그림책 16권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 1 유아들에게는 초등학교 관 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으로 게임 및 역할극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 2에게는 초등학교 관 련 그림책 읽기만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을 실시한 실험집 단 1과 그림책 읽기만을 실시한 실험집단 2의 사후 효능감 점수 모두 사전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에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1의 사후 자기 효능감 점수가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만을 실시한 실험집단 2의 사후 자기 효능감 점수 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초 등학교 적응 관련 자기 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이며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을 실시를 통해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모바일 간편 결제 사용자를 위한 UX 인지적 어포던스 관점의 선호도 연구 -국내 3대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주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1

        With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martphones since the 2000s, we are living in various conveniences in relation to smartphones. With just one smartphone, there are many things you can do, such as games, online shopping, watching TV, and making calls. The ‘mobile simple payment service’ plays the biggest role. The mobile simple payment service is a service that simplifies the step through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password, unlike the method of paying through a complicated step through the existing public certificate, and has been rapidly expanding since 2015. As a result, from some point onward, we did not have cash and wallets when we went out, and smartphone applications took over. In this way, mobile simple payment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are performed in various environments, leaving online and offline.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a professional research company, when looking at the usability evaluation by age using mobile devices, it could be seen that the phenomenon of a sharp decline in the 40s. The numb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0s and 30s, but it decreased by more than 5% as the 40s ente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analyze problems to positively influence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mobile simple payment system in the future. 2000년대 이후부터 스마트폰의 급격한 기술 발달로 현재 우리는 스마트폰과 관계하여 여러 가지 편리함 속에서 살고 있다. 스마트폰 하나만 있어도 게임, 온라인 쇼핑, TV 시청, 통화 등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그 중심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이다.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는 기존의 공인인증서를 통해 복잡한 단계를 거쳐 결제되던 방법과 달리 그 단계를 바이오 인증 및 비밀번호를 통해 간소화시킨 서비스로 2015년도 이후부터 가파르게 확대 서비스되고 있다. 그로 인해 어느 순간부터 우리는 외출 시 현금을 보유하지 않음과 동시에 지갑을 소지하지 않게 되었고, 그 자리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차지하였다. 이렇듯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는 온·오프라인을 떠나 다양한 환경에서 결제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문 리서치 회사의 통계에 의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연령별 사용성 평가를 보면 40대에 급감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수치가 20대와 30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40대에 접어들면서 5% 이상 낮아졌으며, 이러한 부분을 특이 사항으로 인지하여 UX 어포던스 네 가지 관점 중의 인지적 어포던스를 중심으로 모바일 GUI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성을 규명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앞으로의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 KCI등재

        배달앱 3D 계층구조와 시지각 인지 연구 -중장년층 사용자의 GUI 선호도 중심으로-

        노주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3

        전문 조사 기관의 통계에 의하면 코로나 이전 2019년도에 비해 배달앱 사용자가 2022년 현재 3배 이상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40세 이상의 배달앱 연령대 사용자는 13% 이상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 생물학적인 차이로 인해 결제 버튼을 누르기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되고,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관계로 생각보다 오래 배달앱에 머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일반 통계와는 다르게 배달앱 사용자 중 40대 이상은 만 18세에서 만 39세 이하의 연령층보다 장바구니에서 결제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빠르게 실행된다는 통계가 있다. 이런 점이 나이에 따른 공간지각 능력과는 다른 통계로서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행동이 이루어지는 행위지각은 공간지각과 관계가 있으며, 공간지각은 시지각과 상당한 밀접한 관계가 있다. 40대 이상의 이용자가 빠른 결제를 한다는 지점에서 행위지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공간지각, 그리고 공간지각과 가장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시지각을 중심으로 모바일 GUI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공간지각을 바탕으로 국내 3대 배달앱의 3차원 계층구조를 분석해보고, 각각의 배달앱의 나이별 공간지각에 연결된 모바일 앱 GUI 시지각 부분의 선호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연구에 영향을 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