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iO<sub>2</sub> 광-촉매 반응에 의한 Cu(II)-EDTA의 산화(I) - TiO<sub>2</sub> 량과 pH의 영향 -

        정흥호,박은희,노재성,성기웅,조영현,Chung, Hung-Ho,Park, Eun-Hee,Rho, Jae-Seong,Sung, Ki-Woung,Cho, Young-Hyun 한국공업화학회 1999 공업화학 Vol.10 No.1

        수중 금속이온 착화용 공업세정제를 비롯하여 산업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는 수처리시 금속이온들을 제거할 경우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므로, EDTA를 우선적으로 분해하여 착화결합을 끊어야 금속이온들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TiO_2$ (Degussa P-25)를 사용하여 1.79 mM의 초기 Cu(II)-EDTA 수용액 농도와 $20^{\circ}C$의 호기성 분위기 하에서, 촉매의 양과 초기의 수용액 pH가 Cu(II)-EDTA 착물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TiO_2$량이 2.0 g/L일 경우에 EDTA, Cu와 TOC 감소율이 최대로 나타났고, DETA의 촉매표면 흡착은 $TiO_2$ 표면전하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광-촉매 반응에 의한 EDTA의 분해는 광-조사전의 촉매표면 흡착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였다.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a chelating agent is most wide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especially for cleaning of metals in water, frequently prohibits metal removal from water in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It could be easier to remove aqueous metal ions by the breakdown of DETA complexed bond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vailability of $TiO_2$ photo-catalysis for the aqueous phase oxidation of Cu(II)-EDTA, under an aerobic condition at $20^{\circ}C$ with $TiO_2$ (Degussa P-25) and 1.79mM of Cu(II)-EDTA. When $TiO_2$ loading was 2.0 g/L, the photo-catalytic oxidation of Cu(II)-EDTA was maximal. The tendency of EDTA adsorption onto the catalyst surface was affected by $TiO_2$ surface charge, and the oxidation rate of Cu(II)-EDTA by photo-catalysis was shown to be dependent upon the tendency of EDTA adsorption before photo-irradiation.

      • SCOPUSKCI등재

        Polar Oil 계 Emulsion 의 상거동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은희,정흥호,김종규,김형일,노재성 ( Eun Hee Park,Hung Ho Chung,Jong Gyu Kim,Hyung Il Kim,Jae Seong Rho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3

        Cetyl alcohol과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oleate를 혼합한 유화제와 양친매성 resin을 용매에 용해시킨 분산상에 분산매인 물을 첨가하여 O/W 에멀젼을 제조하여 HLM(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과 온도변화에 따른 상변화를 관찰 하였다. 양친매성 resin을 함유한 에멀젼은 이를 함유하지 않는 에멀젼보다 온도변화에 따른 상안정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친매성 resin이 에멀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양친매성 resin에 함유되어 있는 작용기중 하나의 작용기를 갖는 resin을 model compound로 하여 HLB값과 온도변화에 따른 에멀전 상거동을 관찰한 결과, Poly(acrylic acid)<poly(acryl amide)<poly(ethyl methacrylate) 순으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W emulsions were prepared by adding water to the solution containing amphiphilic resin and the mixed emulsifier of cetyl alcohol and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oleate. Phase behavoir of these emulsions was studied at various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values and temperatures. The polar oil emulsion containing the amphiphilic resin showed improved phase stability at various temperatures. Model compounds which contain one of the functional groups in the amphiphilic resin were used in the polar oil phase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the functional group and the emulsifier on the phase stability of emulsion. These model compound emulsions showed the phase stability order of poly(acrylic acid) < poly(acryl amide) < poly(ethyl methacrylate).

      • SCOPUSKCI등재
      • 규산 나트륨으로부터 THF에 의해 추출된 규산을 이용한 Mullite 전구체 제조시 촉매에 대한 영향

        정흥호,박은희,김도수,정호승,노재성 공주대학교 자원재활용신소재지역협력센터 2000 2차년도 센터 사업 성과집 Vol.2000 No.1

        Sol-Gel법으로 Aluminum isopropoxide[Al(i-OC3H7)3]와 규산나트륨로 부터 THF로 추출한 규산을 사용하여 mullite 겔 분말 제조시 산염기촉매의 영향에 관하여 XRD, TGA. SEM, 및 BET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산성촉매로는 염산 (HCl)과 질산(HNO3)을, 염기성촉매로는 암모니아 (NH4OH)를 사용하였다. 촉매에 따른 중량 감소는 HCI=32.6% > HNO3=25.43% > Non=24.0% > NH4OH=22.5% 순서로 나타났다. 입자의 형태는 산성촉매인 경우 구형의 입자를, 염기능촉매의 경우는 구형이 아닌 입자형태를 나타내었다. 1400℃에서 하소한 분말은 촉매의 종류에 관계없이 0.05∼0.1㎛ 크기의 매우 미세한 입자들의 응집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촉매의 종류에 관계없이 온도가 증가할수록 흡착할 수 있는 세공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고, 염기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의 mullite 비표면적 변화가 거의 없는 내열성을 가지고 있었다. Effect of catalysts, which was catalyzed by acid(HCl and HNO3) and base(NH4OH), on characteristics of the mullite powders prepared by sol-gel method was investigatad by XRD, TGA, SEM and BET. As a result, weight loss as a function of catalysts was in order of HCI=32.6% > HNO3=25.43% > Non=24.0% > NH4OH=22.5%. The mullite powder dried at 100℃ appeared spherical shape in acid catalyst and different shape in base catalysts but sintering powder at 1400℃ appeared very fine particle of 0.05~0.1 ㎛ ragardless of catalysts. In all case, the pore quantity, which was capable to adsorption,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base catalyst, no change of special surface area in mullite appe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