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인지적 특성과 교육투자수익률: 분위별 회귀분석 방법 중심으로

        노우리,김홍균 한국응용경제학회 2019 응용경제 Vol.21 No.1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non-cognitive skills on labor income and the return to education. This paper considered non-cognitive skills a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Internal control. The major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for wage workers,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and Internal control are effective traits on their wage. For self-employed workers, Openness to experience and Internal control are positively effective. But the degree of these effects is different on each quantile. Second, the estimates of return to education reduce when including non-cognitive skills in the Mincer earnings fun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임금함수에 비인지적 특성 변수를 추가하여 비인지적 특성의 근로소득 효과와 교육투자수익률의 과대추정 정도를 파악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근로자의 경우 근로소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비인지적 특성은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내적통제성으로 나타났다. 비임금근로자의 경우 개방성, 내적통제성이 임금에 양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인지적 특성의 근로소득 효과는 근로소득 분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셋째, 임금함수에 비인지적 특성이 포함됨에 따라 교육투자수익률은 감소하였다. 넷째, 교육투자수익률의 과대추정효과는 인지적 특성 변수가 누락되었을 때보다 비인지적 특성 변수가 누락되었을 때 더 크게 나타난다.

      • 파올로 포르토게시의 자연과 건축요소에 관한 연구

        노우리(Noh, Woo-Ri),임종엽(Lim, Jong-Yup)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alism independently achieved through his work through the building hall of Paolo Portoghesi. It is to see how this is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form through the prototypes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that can be observed in nature. And to consider the meaning of architecture he pursues. I would lik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my own architectural museum published by Paolo Portoghesi. The meaning of architecture to Paolo Portoghesi Publishing is to understand nature and connect with our life, and to restore the humanity to architecture and art in response to the exclusion of extreme ornamentality of modernism and the pursuit of excessive functionalism is the ultimate goal of post-modernism it is value.

      • KCI우수등재
      • 2022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이승현,김은정,배호중,이민호,권소영,노우리,이지은,김근태,김유빈,최광성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2 No.-

        ○여성관리자패널조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임. 첫째, 민간기업 내 여성관리자들의 경력 성장 과정을 추적하여 이들이 관리자로 성장하게 되는 주요 성장요인과 실패요인, 그리고 사회?환경적 제약 등을 조사하고 관련 통계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며, 둘째,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를 포함한 우리 사회 전반의 성차별적 요인을 극복하고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 셋째, 사회변화와 관련한 다양한 여성 노동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것임. -본 조사는 2007년 민간기업 내 여성관리자들의 경력형성 과정의 문제점과 사회적 장벽을 확인하고자 기획되었음. -조사내용은 여성관리자의 승진, 채용, 배치, 인사고과, 교육훈련 등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경력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와 결혼, 임신, 출산, 육아와 함께 일?가정 양립과 갈등에 대한 상황임. ○본 조사는 지금까지 기업 내 유리천장의 문제, 여성의 경력단절과 관련한 기업과 사회의 역할, 일?가정 양립 및 여성 대표성 등 우리 사회의 현실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진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으며,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자리매김함. ○본 조사가 2007년부터 여성관리자를 추적조사하여 10년 이상의 기간이 흐르면서 초기 여성관리자패널조사의 기획 및 운영과 관련하여 많은 변화가 요구됨. 따라서 2019년 2기 조사를 기획하여, 2020년부터 2기 조사로 새로운 모습의 조사를 수행함. -2기 조사를 통해 노동시장 변화, 관리자의 정체성 변화, 새로운 산업 등장 등 시대적 변화를 충분히 반영한 조사결과를 산출하고자 함. ○앞으로도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의 경력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추적하여 노동시장에서 한국 여성들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진단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자료로 역할을 다할 것임.

      • 근로자녀장려세제와 최저임금제도가 여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방안 연구

        우리,정성미,노우리,김현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3 No.-

        O 근로장려세제는 60세 이상 여성 가구주의 근로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 최저임금과 근로장려세제 동시 적용을 받는 가구는 노동시간과 가구소득이 모두 증가하였습니다. O 최저임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되면서 저임금 노동자의 소득수준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최저임금 미만의 시간당 임금을 받는 근로자 또한 2021년 기준 13%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성이 많이 종사하는 업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O 저임금저소득 노동자에 집중하여 제도의 수혜 규모를 확대하는 것을 제안하고, 최저임금 미만 비율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최저임금 준수에 대한 장려 및 감독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 숙련변화에 따른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정성미,오은진,노우리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우리나라 여성 노동시장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성별 임금격차는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며 수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2012년 이후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해 2016년 이후 성별 임금격차가 가파르게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30%에 달하는 높은 수준임.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고학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동안 숙련의 대리변수로 사용했던 학력수준으로 성별 임금격차를 설명하기 어려워짐. 또한 남성 중심의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산업사회에서 요구되었던 숙련과 여성이 다수 분포하고 있는 서비스 기반 사회에서 요구하는 숙련은 다를 것임. 더구나 최근들어 기계발달로 전통적 숙련이 이미 기계나 컴퓨터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이 요구하는 숙련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에 분석하던 방식으로 여성노동시장을 해석하여 성별 임금격차를 살펴보기에 어려움이 따름.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일자리 특성 및 임금과 연관이 높은 숙련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숙련에 따른 일자리 변화와 임금과의 관계 그리고 성별 임금격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이를 위하여 직무기반으로 작업(task)에 필요한 숙련의 내용 및 수준을 이용하여 공통요인으로 묶이는 숙련에 따라 일자리 변화와 이에 동반되는 성별 임금격차의 원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장기적인 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것임.

      • 한국형 실업부조 도입에 따른 여성 고용서비스 발전연구

        오은진,정성미,노우리,길현종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0 No.-

        정부는 2020년 한국형 실업부조(국민취업지원제도)를 도입하여 중층적 고용안전망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국정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근로빈곤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데, 2010년 이후 개선되던 근로빈곤의 문제가 2016년 이후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반복적 빈곤을 경험하는 근로빈곤층에게 기존의 고용보험과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각지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그들을 위한 실업부조를 도입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여성은 특히 빈곤율이 높고 비정규 혹은 자영업에 종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실업부조는 여성 고용서비스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전체 대상자 추계에 집중하고 있어 실업부조 잠재대상 중 여성의 규모는 분석되고 있지 않다. 나아가 실업부조 잠재 대상자인 여성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이 없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여성 고용서비스는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지자체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추진되고 있으며, 실업부조가 도입될 시 기존의 서비스와 그 대상자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여성가족부의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지자체의 여성인력개발센터 등을 이용하는 여성 구직자가 잠재 실업부조 대상자에 얼마나 중첩될 지에 대한 추정이 필요하다. 실업부조를 통해서도 일자리를 얻지 못한 대상자가 다른 고용서비스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기존의 여성 고용서비스 제도 및 사업들은 실업부조 수혜자를 어떤 방식으로 선별하여 수용하고 포괄된 이들에 대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실업부조의 전달체계에서 기존의 여성 고용서비스 전달체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본 연구에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2020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이승현,강민정,홍지현,권소영,노우리,심혜빈,임희정,김근태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가. 학술적 목적 및 필요성 ○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겪는 차별을 파악하고 여성고용률 제고를 넘어 여성관리자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함. - 유사통계들(인적자본패널, 사업체패널, 노동패널)은 전체 근로자나 사업장, 가구를 대상으로 패널을 구축하고 있어 개별 여성관리자의 노동시장 진입에서 이탈까지 추적할 수 없는 구조임. - 본 조사는 기업 내 여성관리자의 입직과 성장과정을 관찰하여 근로실태와 경력개발, 기업 내 근로여건, 조직문화 및 관리직 진출 관행이나 장애요인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외 유일한 조사임. ○본 조사는 2007년 최초 실시되어 지난 12년간 민간기업 내 여성관리자의 인적자본 현황과 근로실태 등을 추적 조사함. - 한국사회의 직장 내 조직문화,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 관행, 일?생활 균형과 관련한 변화를 꾸준히 조사해옴. ○ 본 조사의 주요 이용자는 학계 및 연구기관의 연구자와 정부 부처의 정책입안자들로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유리천장 문제, 여성 경력단절과 관련한 기업과 사회의 역할, 여성관리자의 승진 결정요인 등에 관한 연구에 활용해옴. ○ 지금까지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조사 결과의 공유 및 성과 확산을 위해 7차례의 심포지엄과 2차례의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연간 기초분석 보고서와 본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및 논문을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함. - 학술대회와 심포지엄에서 75편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고, 학술연구재단 등록 논문이 63편으로 연구자료로서 학술적 성과를 거두었음. -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일?생활 균형, 일?가정 전이, 가족친화제도 등이었고, 다음으로 만족도와 몰입(직장만족도, 조직몰입, 삶의 만족도 등), 경력 관련 주제(경력성공, 경력몰입, 경력열망 등) 등의 주제가 다수였음.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전 산업 해당 기업의 여성관리자를 동시 조사하며, 인사담당자를 통해 기업의 일반현황, 인력현황, 인사관리제도, 유연근무제 등 심층 자료를 수집하는 조사로 실무적으로도 가치가 큼. - 지난 12년간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인사관리제도나 관행, 일?생활 균형 제도, 조직 분위기 등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변화가 실질적으로 조직 내 인력구성의 다양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 - ’20년 2기 조사부터는 기업의 일하는 방식이나 조직문화 등의 항목이 추가되어 해당 기업의 조직 진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사 기업과의 비교도 가능함. - 또한 관리자의 성별 비교가 가능하여 집단별 기업지원 제도 및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기업 인적자원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 가능함. -앞으로 기업들이 본 조사에 관심을 갖고 접근할 수 있도록 기업과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심포지엄?포럼 등을 개최하고 기업 특성별로 분석한 조사 결과를 패널 브리프의 형태로 기업에 제공하는 등의 홍보를 수행할 예정임. 또 국외에 유사 조사가 없어 본 조사만의 대체 불가능성과 잠재력이 크므로 국제적인 홍보를 병행하는 것도 검토 가능함. 나. 정책적 목적 및 필요성 ○ 기업 내 여성의 경력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 축적을 목적으로 ‘07년 ‘여성인력패널조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된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노동시장 내 유일한 여성 대상 패널조사임. - 한국 노동시장은 여성 대졸 공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90년대 이후 약 30년간 급격한 젠더 관련 환경 변화를 겪어 왔고, 여성관리자패널 1기 조사는 이러한 변화를 담아낸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축적함. ○ 1기 여성관리자패널조사가 10년이 넘게 이어지면서 퇴직으로 인한 패널탈락이 적지 않은 것이 확인되어 여성들의 경력유지가 얼마나 어려운지 확인해줌. 향후 여성 대표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의 연계와 정책적 활용 수준을 높여야 하는 상황임. -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여성관리자의 기업 내 경력개발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어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책은 고용노동부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여성가족부의 성별균형 포용성장 동반관계(파트너십) 사업, 여성인재 아카데미, 위민 인 이노베이션(이하 WIN) 사업임. 따라서 본 정책들을 위한 조사 데이터의 직접적 연계뿐 아니라 해당 정책 담당 부처에 본 조사의 활용가능성을 적극 홍보해야 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