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테말라 한인 상인들의 이주배경과 생활사

        노용석 ( Yongseok Noh ) 한국민족연구원 2014 민족연구 Vol.0 No.58

        This paper is to describe about migration background and life history of Korean merchant who work at Centro Comercial Pueblito in Guatemala. The Korean merchant in Pueblito have come from several countries in Latin America or Korean factory in Guatemala, and most of them engage in wholesale services of clothing. The Korean merchant were to extend to Pueblito from late 1970s, and there are about 300 Korean clothing store around at Pueblito. Guatemala is not final destination for the Korean merchant in terms of migration, and they are just to stay in Guatemala for a moment for a seeking profit. For all those reasons, the Korean merchant in Pueblito have closed lifestyle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 KCI등재

        한국전쟁기 부산 경남지역 민간인피학살자 유해발굴 현황과 향후 전망 분석 : 2021년 진주시 명석면 관지리 유해발굴을 중심으로

        노용석(Noh Yongseok),박상현(Kim Dongsoo),김동수(Park Sang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이 논문은 2021년 실시되었던 진주시 명석면 관지리 72번지 유해매장지 발굴의 의미와 향후 정책수립 방향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유해 발굴의 과정과 결과를 설명하고 있고, 또한 발굴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여러 요소를 기술하고 있다. 진주시 명석면 관지리 유해 발굴은 2021년 5월 5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되었고, 유해에 대한 정밀감식을 통해 19개체의 유해를 발굴하였다. 이 지역에서 희생된 사람들은 1950년 국민보도연맹원 혹은 부산형무소 재소자였으며, 진주로 침공해 오는 북한군을 이롭게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처형되었다. 명석면 관지리 유해 발굴은 부산경남지역에서 실시된 최초의 지방자치단체 주관 유해 발굴이었으며, 이 논문에서는 이 과정의 추진배경과 의의를 분석하고 있다. 논문의 전체적 구성은 2장에서는 경남 진주시에서 발생했던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의 대략적 개요를 설명하면서, 발굴된 유해의 당사자들이 어떤 역사적 경위로 희생되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3장에서는 역사적으로 부산경남지역에서 어떠한 종류의 유해 발굴이 실행되었는가를 4.19혁명이후부터 현대까지 정리하였다. 특히 초기 유해발굴의 성격이 피학살자 가족들의 연고자 시신을 찾기 위한 ‘장의체계’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2000년 이후 유해발굴의 특징은 시민사회 및 학계가 주최가 된 보다 시민사회적 성격이 짙어짐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4장에서는 2021년 명석면 관지리 유해 발굴의 구체적 과정과 결과에 대해 서술하면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유해 발굴의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5장에서는 관지리 유해 발굴의 의의와 더불어 향후 연구과제에서 다루어야 할 위령화해 사업의 여러 문제점을 기술하였다. 특히 관지리 발굴 이후 유해의 처리 문제는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문제의 위령화해 사업이 중앙집중 혹은 지방 분산적 방식 중 어떤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중요한 사례연구가 되기에 이 논문에서 중요성을 피력하고 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excavating the remains of 72 Gwanji-ri, Myeongseok-myeon, Jinju-city in 2021, and various factors for analyzing the social meaning of excavation. The excavation of the remains of Gwanji-ri, Myeongseok-myeon, Jinju-city was carried out from May 5 to 14, 2021, and the remains of 19 individuals were excavated. The victims in this area were members of the National Guidance Alliance(국민보도연맹) or prisoner of the Busan Prison in 1950, and were executed on the grounds that they could benefit the North Korean forces invading Jinju city. The exhumation of Gwanji-ri, Myeongseok-myeon was the first exhumation organized by a local government in Busan-Gyeongnam, and this thesis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this process. As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thesis, in Chapter 2, examines a rough outline of the civilian massacre during the Korean War that occurred in Jinju, Gyeongnam, and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parties to the excavated remains were sacrificed. Chapter 3 summarizes what kinds of remains were excavated historically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from the 4.19 Revolution to the present day. Chapter 4 describes the specific process and results of the exhumation of Gwanji-ri, Myeongseok-myeon in 2021, and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exhumation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And finally, in Chapter 5, describes the significance of the exhumation of Gwanji-ri and various problems of the reconciliation project to be addressed in future research projects.

      • KCI등재

        바스크 민족주의와 빌바오 도시재생의 연관성 분석

        노용석 ( Yongseok Noh ),정해조 ( Haejo Ch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이 논문은 “문화기반” 사례로 잘 알려진 빌바오 도시재생 과정을 바스크 민족주의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빌바오 도시재생 사례에 바스크 민족주의의 상징이 상당히 개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빌바오시를 직접 현지조사하여 도시재생의 핵심기구였던 메트로폴리 30 및 빌바오 시청 관계자들과 함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빌바오 도시재생의 많은 계획과 실행부분들이 바스크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거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함이었고, 특히 빌바오 도시재생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스페인이 지역민족주의를 바라보는 특수성에 기인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의 연구는 최근 카탈루냐 등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강경 분리주의 운동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보다 활발한 논의를 위해서는 스페인 전체 민족주의 경향에 대한 확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paper is analyzing the renewal process of the city of Bilbao, which is well known as “culture-based” urban generation case, from the perspective of Basque nationalism. The research team confirmed that the symbolism of Basque nationalism was involved in the case of the city revitalization of Bilbao. In order to analyze it, we surveyed the city of Bilbao directly with metropoly 30 and Bilbao city hall officials Respectively. The survey found that many of the plans and practices of Bilbao’s urban regeneration were influenced by Basque nationalism and preserved its culture. Especially,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Bilbao’s urban regeneration was due to the particularity of Spain’s view of regional nationalism. The study of this tendency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hard-line separatist movement in Catalunya recently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on the nationalist tendency in Spain for more active discussion.

      • KCI등재

        멕시코-쿠바 에네켄 한인 이주민 후손의 모국 연계성 연구

        노용석(Noh, Yongseok),이정화(Lee, Junghwa)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7 No.-

        1905년 멕시코 유카탄으로 이주한 조선인 1,033명의 인생은 조선후기와 일제강점기 한인 국제이주의 시작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당시 멕시코로 건너갔던 많은 조선인들은 무더운 유카탄 반도의 에네켄 농장에서 노예와 같은 생활을 했으며, 이후 1921년 일부 조선인들은 생계를 위해 쿠바로 거주지를 옮겨야만 했다.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에네켄 이주민의 역사는 1990년대 이후부터 다양한 연구를 통해 알려지게 되었으며, 여기서 에네켄 이주민들이 조선의 독립운동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했다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이것은 에네켄 이주민들이 멕시코와 쿠바로 이주한 이후에도 그들의 문화정체성 과 과거 기억 을 잊지 않기 위해 모국과의 연계 를 꾸준하게 실시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국 내에서 에네켄 이주의 역사를 현재 특이한 케이스로 바라보는 것도 한인 이주민들이 식민지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모국과의 연계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위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현재 에네켄 한인 이주민 후손들의 새롭게 달라진 모국 연계성 경향을 분석하고 있다. 현재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쿠바에는 상당수의 에네켄 한인 이주민 후손들이 생활하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한인 4세대 혹은 5세대들이다. 후손들의 대부분은 한국어 구사가 불가능하지만, 이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 1세대들이 행하였던 모국과의 연계성을 실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인 후손들이 어떠한 형태로 모국과의 연계를 추진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의 정체성이 거의 멕시코인 혹은 쿠바인 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인 연계를 실시하는 이유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현지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지금까지 역사와 생활문화, 독립운동사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던 에네켄 이주사를 한인 후손들의 구체적 삶을 통해 분석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migration of 1,033 Koreans to Yucatan, Mexico in 1905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beginning of international migration of Korea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ny Koreans who moved to Mexico at that time lived as slaves on the Henequen farm on the Yucatan Peninsula, and in 1921, some Koreans had to move to Cuba for a living. The history of Henequen immigrants, which was not well known, has been known through various studies since the 1990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Henequen immigrants made a dedica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Joseon. This shows that even after Henequen immigrants migrated to Mexico and Cuba, they continued to carry out Motherland connectivity in order not to forget their cultural identity and memories of the past . Looking at the history of the Henequen migration in Korea as a unique case now is that Korean immigrants constantly tried to connect with their motherland despite the colonial period. In terms of the above, this study is analyzing the newly changed trend of connection to the motherland of the descendants of Henequen Korean immigrants. Currently, a significant number of the descendants of Henequen Korean immigrants live in Mexico, Yucatan Peninsula, and Cuba, most of which are the fourth or fifth generation of Koreans. Most of the descendants are unable to speak Korean, but they are carrying out the connectivity with their motherland that the first generations had done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Korean descendants are promoting connectivity with their motherland, and researched the reasons for continuing connectivity despite their identities being almost Mexican or Cuban .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field research. And until now, Henequen has been described mainly history, living culture and independence movement, but in this paper, it is significant that was analyzed through the specific lives of Korean descendants.

      • KCI등재

        ‘청산’과 ‘탈출’의 기로에서 : 경산코발트광산 과거사 청산 담론의 변동과 의미 분석

        노용석 ( Noh Yongseok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21 기억과 전망 Vol.- No.45

        한국 근현대사를 분석함에 있어서 경산코발트광산의 사례를 언급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부분이 있다. 왜냐하면 경산코발트광산의 역사는 일제강점기 역사와 해방 후 근대 국민국가 수립에서의 갈등이 특화되어 있어서, 한국의 주요한 사회문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코발트광산은 일제강점기 기간 동안 일본의 ‘조선반도’ 수탈과 강제 징용의 역사를 투영하고 있으며, 또한 이 광산은 1950년 많은 민간인들이 대한민국 군경에 의해 학살된 장소로서, 한국 현대사의 과거사청산기에 유해 발굴 등이 이루어지면서 주목을 받은 곳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현대사 시기별로 각각 변해온 경산코발트광산에 대한 담론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러한 담론들이 발생하게 된 시대적 상황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담론 역사의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 경산코발트광산의 사례가 보여주고 있는 ‘한국 과거사 청산의 올바른 방향성’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의견을 피력하고자 한다. The Gyeongsan cobalt mine is a meaningful case to examine in analyzing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as its history symbolically represents the country’s major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cluding the country’s histor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nation-state after liberation. In particular, the Gyeongsan cobalt mine is an embodiment of the exploitation and forced labor that occurred on the Joseo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ine was also the site of a massive civilian massacre by the Korean military and police in 1950, which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when the bodies of the victims were exhumed as a part of the efforts to purge the past. This study historically reconstructs the changes in the discourses surrounding the Gyeongsan cobalt mine in the course of South Korea’s modern history to explain the historical background from which such discourses were born.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what the case of the Gyeongsan cobalt mine suggests as the proper direction for clearing up South Korea’s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