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대화에서 이모티콘 단서에 따른 노년층의 간접 화행 이해 능력

        정은애,권순하,노신희,오유림,김현주,성지은,이영미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cons on comprehension of indirect speech acts in SNS contexts for healthy young and elderly adults. Methods: The indirect speech act comprehension was tested in a group of 16 young adults between 19 and 29 years of age and a group of 15 elderly adults over the age of 60. After the participants read context sentences which contained indirect speech acts along with four different conditions (no emoticon, emotional emoticon, situational emoticon, textual emoticon) in SNS conversations,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espond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We analyzed the participants’ accuracy and response time (RT). Results: The elderly adul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both on the comprehension accuracy and response time compared to the young ad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emoticon cues. Both young and elderly adults showed notably low performance and slow response time in questions with emotional cues compared to those with textual cues. In addition, for the elderly group, it was revealed that the predictor of accuracy was age, and the predictor of RT was cognitive 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elderly adults have mor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ndirect speech acts in the SNS context. Both young and elderly adults showed lower accuracy and slower response time toward perceived emotional emoticons than toward perceived situational and textual emoticons. 목적: 본 연구는 SNS 대화 상황에서의 간접화행 이해 과제에서 이모티콘 단서 유형에 따라 정상 청년층과 노년층의 간접화행 수행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9~29세의 청년층 16명과 60세 이상의 노년층 15명, 총 31명을 대상으로 SNS 대화 상황에서의 간접화행 수행력을 측정하였다. 과제는 SNS 대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간접화행 문항과 4가지 이모티콘 단서(무단서, 감정 이모티콘, 상황 이모티콘, 텍스트 이모티콘)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자들은 과제에 가능한 한 정확하고 빠르게 답을 응답하도록 지시받았다. 대상자들의 간접화행 이해 과제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노년층의 간접화행 이해 과제의 정반응률은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텍스트 단서보다 감정 단서에서 낮은 정반응률을 나타내었다. 둘째, 노년층의 간접화행 이해 과제에서의 반응시간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긴 결과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감정 이모티콘 조건에서의 반응시간이 텍스트와 상황 이모티콘 조건에 비해 유의하게 긴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노년층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한 결과, 간접화행 이해과제의 정반응률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는 연령이었으며, 반응시간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는 K-MMSE 점수였다. 결론: 노년층의 SNS 대화 상황에서의 간접화행 수행력은 정확도와 반응속도 면에서 모두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년층이 간접화행에 나타난 문자 그대로의 뜻을 억누르지 못하고, 간접화행의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발화자 목소리의 음성음향학적 특징이 청자의 호감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송혜선,이영미,김예지,이송민,최소라,노신희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auditory-perceptual voi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listeners and what kind of voice factors caused listeners to identify a specific voice as attractive. Methods: A total of 32 voices (16 male and 16 female speakers in their 20s) were selected from the public voice corpu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 acoustic factors of each voice were analyzed using Praat. Twenty listeners (10 male and 10 female) were asked to evaluate the attractiveness of each voice in eight auditory perceptions. The speakers were median-split into two groups (speakers with higher voice attractiveness vs. speakers with lower voice attractiveness) based on the voice attractiveness scor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uditory-perception analysis, female listeners tended to give higher attractiveness scores than male listeners, and gave higher ‘softness’ scores regardless of gender. In addition, the acou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 attractiveness scores among male speakers had longer speech length, higher pitch standard deviation, and higher intensity standard deviation than the group with low attractiveness scores. The group with higher scores among female speakers had higher intensity standard deviation than the other group with lower scores. Conclusions: Female and male listeners have different methods of evaluating voice attractiveness and different criteria according to the speaker’s gender. In additi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that increase attractiveness differ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peak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way to improve voice attractiveness in terms of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aspects of voice.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자의 성별에 따라 청지각적 음성 평가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와, 어떠한 음성학적 요인이 청자로 하여금 특정 목소리를 호감이 가는 목소리로 인식하게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20대 남, 녀 화자 각 16명씩 총 32명의 음성을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한 공개 음성 코퍼스에서 선택한 후, Praat을 통해 각 음성의 음향학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명의 20대 청자(남 10명, 여 10명)에게 각 음성의 호감도를 8개 청지각적 측면에서 평가하게 하였다. 전체 화자는 중앙치 반분법(median-split)에 따라 더 높은 호감도 점수를 받은 집단과 더 낮은 호감도 점수를 받은 집단으로 분리되었다. 결과: 청지각적 분석 결과, 여성 청자는 남성 청자에 비해 음성 호감도를 높게 평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성별과 무관하게 '부드러움' 점수를 높게 주었다. 또한 음향학적 분석 결과, 남성 화자 중 호감도 점수가 높은 집단은 호감도 점수가 낮은 집단에 비해 발화길이가 더 길고, 음도표준편차와 강도표준편차가 더 높았다. 여성 화자 중 호감도 점수가 높은 집단은 호감도 점수가 낮은 집단에 비해 강도표준편차가 더 높았다. 결론: 여성 청자와 남성 청자는 목소리의 호감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다르며, 화자의 성별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기준을 갖는다. 또한 호감도를 높이는 음향학적 특징은 화자의 성별에 따라 다르다. 본 연구는 주관적, 객관적 측면에서 음성 호감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