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리에틸렌 글리콜 내에서의 흄드 실리카 현탁액의 전단농화 거동연구

        노시태 ( Si Tae Noh ),박혜수 ( Hye Su Park ),조봉상 ( Bong Sang Cho ),유의상 ( Eui Sang Yoo ),안재범 ( Jae Beom Ahn ) 한국공업화학회 2011 공업화학 Vol.22 No.4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내에 흄드 실리카를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하고, 실리카의 함량과 분산조건,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온도 및 수분함량에 따른 유변학적 거동을 연구하였다. 현탁액의 유변학적 거동은 레오미터를 이용하 여 전단농화 현상을 일으키는 임계전단속도와 전단점도 상승폭을 측정하였다. 분산매는 PEG 200, 400 및 600을 사용 하였다. 실리카의 함량을 5, 7, 9, 13, 그리고 18 wt%으로 한 흄드 실리카 현탁액은 단순교반, 균질교반, 비드밀링의 세 가지 분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0, 20, 30 그리고 40℃에서 유변학적 거동을 측정하였다. 현탁액 내의 실리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분산매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임계전단속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측정온 도의 영향에서도 온도가 증가할수록 임계전단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의 함량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으나, 분산공정의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 단순교반 방법으로 제조한 현탁액의 임계 전단속도가 가장 낮았으며 비드 밀링공정으로 제조한 현택액의 임계전단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단점도의 상승폭은 단순교반으로 제조한 현탁 액이 비드밀링 공정의 현탁액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분산 공정에 따른 실리카 입자의 분산상태에 기인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We made suspension of fumed silica in polyethylene glycol (PEG), studied rheological behavior as functions of contents of silica, dispersion condition, PEG molecular weight, temperature and contents of humidity. Rheological behavior of suspension was determined critical shear rate and rise of viscosity using rheometer AR2000. Suspension were PEGs of molecular weight 200, 400, and 600. Fumed silica suspensions of which silica contents are 5, 7, 9, 13, and 18% were prepared by normal mixing, homogenization and bead milling process. We observed their rheological behaviors at 10, 20, 30, and 40℃. As the PEG molecular weight and contents of silica increase, the critical shear rate was lower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critical shear rate was increased. Humidity contents of dispersion don``t influence on the critical shear rate, but dispersion processes greatly affect the critical shear rate. The critical shear rate of suspensions prepared by the mixing process was the lowest, and that of suspensions prepared by the bead milling process was the highest. The rise in the shear viscosity of suspensions prepared by the mixing process is higher than that of suspensions prepared by the bead milling process. This was dependent on the dispersion condition of silica particle by dispersion proces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음이온성 폴리우레탄 분산체의 제조와 우레탄 물성에 대한 폴리올의 혼합 효과

        안재범,조항규,정창남,노시태 ( Jae Beom Ahn,Hang Kyu Cho,Chang Nam Jeong,Si Tae Noh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2

        Isophorone diisocyante(IPDl), 각각 에스터와 에테르 타입의 폴리올인 poly[butyl/ethylese adipate] glycol(PBEAG), poly[oxytetramethylene] glycol(PTMG)과 잠재적 음이온기인 dimethylol propionic acid(DMPA)로 부터 음이온성 폴리우레탄 분산체(PUD)를 제조하였다. 폴리올의 종류 및 조성이 PUD의 유화 입경과 건조 필름의 기계적, 열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혼합된 폴리올의 조성 변화 시, PTMG 함량이 증가할수록 PUD의 유화 입경은 점근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인장 강도는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다가 증가하였다. 이는 두 폴리올간의 상용성이 적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되며, 이러한 비상용성은 DSC분석을 통하여 유리전이온도(T_g) 측정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Polyurethane dispersions(PUD) were prepared from IPDI, PBEAG and PTMG as respectively ester type and ether type polyols and DMPA as anionic site. The effect of composition and type of polyols on the particle size of PUD and mechanical, thermal properties of PUD cast film were investigated. As the PTMG contents in mixed polyols increased, the particle size asymptotically increased and tensile strength showed a mild drop followed by a mild increase. This results from the incompatibility of two polyols, which was possibly identified by DSC analysis.

      •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분산체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주훈관,조항규,노시태,강신춘,안재범 한국공업화학회 2004 응용화학 Vol.8 No.1

        Aromatic polyurethane dispersions were synthesized with dimethylolpropionic acid (DMPA), isophorone diisocyanate(IPDI), and aromatic polyester polyol, prepared chemical reaction of esterification and polycondensation, The structures of these polyurethanes were characterized by FT0IR, H-NMR, and the properties were measured with DSC, TGA. Increase aromatic polyol contents made of unplasticized polyurethane dispersions. As the aromatic structures in polyurethane dispersions introduc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_(g)) and thermal stability increased. In this polyurethane dispersions increased with DMPA concentrations, particle size decreased and dispersible stability increased and T_(g) increased over 5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