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피해자학 연구동향과 과제

        노성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23 刑事政策 Vol.35 No.2

        In this paper, I classified seven research areas in victimology, examined the contents of research conducted in each research area, and examined which the academic disciplines that classified into empirical research and legal/policy research mainly conduct research in each area. We also analyzed 181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Victimology”, a representative journal of victimology in Korea, from 2015 to 2022, and analyzed the recent trends of research in victimology in Korea by classifying the number of articles by academic discipline and the number of articles by research area in victimology.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crime victimization and fear of crime, which are key factors used when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in victimology, we classified six explanatory models according to the role they play in the research model, i.e., independent, dependent, and interaction variables, and examined the contents of each explanatory model,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joint research, and the possibility of policy utilization, and ultimately considered the need to build a research model that integrates crime causes and crime opportunity factors. 본 논문에서는 피해자학의 연구영역을 7가지로 구분하고, 각 연구영역 별로 수행되는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았고, 각 영역에서 주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분야를 경험적 연구와 법/정책 연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피해자학 분야의 대표학술지인 ‘피해자학연구’에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게재된 181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학문분야별로, 그리고 피해자학 연구영역별로 논문을 분류하고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피해자학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피해자학에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핵심적인 변수인 범죄피해와 범죄 두려움을 중심으로, 이 변수들이 연구모형에서 담당하는 역할, 즉 독립변수, 종속변수, 상호작용 변수의 역할에 따라서 설명모형을 6가지로 구분하고, 각 설명모형의 내용과 학제간 공동연구의 가능성, 그리고 정책적 활용의 가능성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범죄원인과 범죄기회 요인을 통합한 연구모형 구축의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

        부모가 청소년의 범죄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노성호 한국피해자학회 2009 被害者學硏究 Vol.17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relevant determinants of fear of crime using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Specifically, the effect of parental variables(such as parental attachment, communication with parents, parental supervision, conflict between parents, corporal punishment from parents) on adolescent fear of crime is investigated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Parental attachment and corporal punishment from parent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fear of crime in school. The Lower attachment is and higher the corporal punishment is, the higher fear of crime is. Conflict with parent has indirect effect to adolescent fear of crime through the feeling of isolation. Parental supervision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show significant relation with fear of crime. Gender difference is founded in parental influence on fear of crime. Attachment has significant effect to fear of crime in male youth, and supervison has significant effect to fear of crime in female youth.

      • KCI등재

        경제 불확실성이 한국 수출제조기업의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성호 한국무역경영학회 2023 한국무역경영연구 Vol.- No.29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the investment of Korean export manufacturing firms by using the Business Activity Survey from 2006 to 2017 and th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 Th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 was separately used for the two countrie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main finding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investment of Korean export manufacturing firms. This was the same for both empirical results using the Korean and U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 Next, the negative effect of thes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ices varied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firms. The higher the ratio of tangible assets, the less the negative impact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corporate investment. Likewise, the negative effect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attenuated in firms that exhibited higher R&D intensity and more actively engaged in internal innovation activities. Conversely, firms with a higher share of export sales compared to total sales reduce corporate investment more significantly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high.

      • KCI등재
      • KCI등재

        자기통제력의 차원성 검증 및 비행에 대한 하위차원간의 상호작용 효과의 검증

        노성호,박현수 대한범죄학회 2014 한국범죄학 Vol.8 No.3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focused on two questions concerning the general theory of Gottfredson and Hirschi. The first question is whether self-control, the key concept in the general theory, is appropriate as single dimension or multi-dimensional concept. In the case of multi-dimensional concept, the second is a question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b-dimensions of self-control can explain delinquency or not. To empirical test of this question, this study used data from elementary school panel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test dimensionality of self-control, this study implemen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lf-control is have two-dimension only in 1st wave. In 2nd through 4th wave, self-control is have single-dimension. But, in 2nd through 4th wave, eigen value of the second order dimension is over .92.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1st wave through 4th wave appeared more fit for model of two-dimension of self-control than a single dimension. The interaction between two-dimension which are classified into self-control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ignificantly affect on delinquency in 1st, 2nd and 3rd wave. And two-dimension of self-control differently affect on delinquency i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ach dimension. 본 논문은 갓프레드슨과 허쉬의 일반이론에 관하여 두 가지의 질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일반이론의 핵심개념인 자기통제력을 단일차원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지, 다차원적 개념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질문이다. 두 번째는 자기통제력이 다차원적인 개념인 경우에 비행을 설명함에 있어서 자기통제력의 하위차원들 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지 않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위해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패널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통제력의 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자기통제력이 1차년도에는 두 개의 차원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2차년도부터 4차년도까지는 1개의 차원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2차년도부터 4차년도까지 두 번째 차원의 고유값은 모두 .92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에서는 1차년도부터 4차년도까지 단일 차원의 자기통제력보다는 자기통제력을 2개의 차원으로 구분하였을 경우에 일관되게 모든 모형적합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서 자기통제력을 2개의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 차원들 간의 상호작용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1차년도, 3차년도, 그리고 4차년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통제력의 두 개의 차원은 각 차원의 조건에 따라 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