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운동의 새로운 시도 혹은 제도적 포섭? 비정규노동센터의 성과와 과제

        노성철 ( Noh Sung-chul ),정흥준 ( Jung Heung-jun ),이철 ( Lee Cheol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8 산업노동연구 Vol.24 No.2

        노동시장의 이중화에 직면하여 노동조합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노동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함께 새로운 노동운동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 중 하나로 본 연구는 노동자지원센터, 노동인권센터, 비정규센터 등 다양한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의 비정규노동단체에 주목하여 이들 조직이 어떤 경로를 통해 성장ㆍ발전해 왔으며 어떻게 외연을 확장할 수 있었는지, 정체성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이 글의 핵심적인 내용은 비정규노동단체의 성장과 발전을 통시적인 접근법을 통해 비정규운동을 둘러싼 제도적 맥락의 변화와 그에 따른 운동의 특성 변화 및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정규노동센터 운동이 시기적으로 기존 운동으로부터의 차별화, 탈정당화, 네트워크를 매개로 한 복합화과정 등 크게 3단계로 진화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각 과정에서 비정규노동센터들 사이의 내적관계 그리고 이들이 기존의 노사관계행위자들과 맺는 운동외적관계를 분석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비정규노동센터운동의 이론적 함의 및 비정규 노동운동의 성공적 사례로 남을 수 있을지 아니면 또 다른 실패로 귀결될 것인지를 토론하였다. To reduce labor market discrimination, there are lively discussions about the role of extant labor regime based on labor unions. It includes both the critical perspective on extant labor movement and the necessity of new actors for resolving discriminations within labor market. Among new actor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contingent labor centers. Specifically, we have investigated on the development and identity of contingent labor centers as coalition of local government-labor organization. The cor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activities and strategies of contingent labor centers throughout the longitudinal approach. From many evidences, we can confirm that contingent labor centers have evolved via three phases such as differentiation, de- politicizing, and networks. This finding also provides insights about inside relationships between contingent labor centers and outside tensions between contingent labor center and extant labor organizations. We finally discuss 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contingent labor center as new actor for contingent worker movement.

      • KCI등재

        숙련의 사회적 구성과 구별짓기: SW 개발자 집단 내부의 이질적 경력서사에 대한 연구

        노성철 ( Noh Sung Chul ),이찬우 ( Lee Chanwoo ) 한국산업노동학회 2021 산업노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SW 개발자 집단 내부에서 나타나는 이질성의 동학을 숙련 개념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IT 산업 종사자 62명과의 심층면접조사를 통해서 SW 개발자들의 경력서사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사람이 사는’ 제도주의의 이론틀을 사용하여 SW 개발자들의 전문직 정체성의 형성에 있어서 개인적ㆍ조직적ㆍ제도적 요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경력서사 분석을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먼저, 창의계급의 전형적인 특징이 녹아든 SW 개발자들의 지배적 입직서사를 그것의 규범적 성격에 초점을 맞춰 서술했다. 입직서사에 이어지는 숙련개발서사는 IT 아웃소싱과 IT 서비스 가치사슬에 따라서 고난극복서사와 자아실현서사 두 가지 형태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두 가지사슬 숙련개발서사의 구조적 차이를 분석했고, 각 서사 안에서 숙련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질적인 숙련의 정의가 SW 개발자 집단 내부의 계층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했다. 결론에서는 그러한 분석결과가 전문직 노동자 집단 내부에서 일어나는 숙련의 사회적 구성, 능력주의와 불평등의 생산에 대해 갖는 이론적 함의를 논한다. Departing from previous studies that see creative workers as homogeneous, the present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heterogeneity within them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notion of skill in knowledge labor. To do so, we shed light on SW engineers whose occupational identity embodies the duality of a creative entrepreneur and workers. Though in-depth interviews with 62 IT workers, we constructed career narratives of SW engineers in Korea and analyzed how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teract witn one another to shape collective identity as a professional, creative worker. We first present the dominant narrative of career entry which entails the typicality of creative class. The narratives of skill development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 the narrative of hardship and self-realization which emerged dominant in the value chain of IT outsourcing and service, respectively. We analyzed the structural different of the two narratives and examined how skill was socially constructed in each narrative. Finally, we explored how differing definition of skill leads to the stratification within the occupation. In the conclusion,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our findings.

      • KCI등재

        다원적 조직 내 정치적 과정과 제도적 압력에 대한 조직의 대응 : 두 공영방송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노성철(Sung Chul Noh),김일주(Ilju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인사조직연구 Vol.26 No.2

        본 논문은 복잡한 제도적 환경에 놓여 있는 다원적 조직이 제도적 압력에 대응하는 과정과 그것이 조직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제도적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그것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직 내 다양한 직종집단들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보장하는 다원적 조직들에 대한 이론적 · 실무적 관심은 증가했지만, 이 직종집단들의 이질적인 가치체계와 이해관계로부터 나타나는 조직 내 경쟁 또는 전략적 협력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의 두 공영방송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방송사 내의 직종집단들로 구성되는 다원적 정치체를 통해 이들 사이의 이해관계가 어떻게 조정되는지, 그리고 외부의 제도적 압력에 대한 집단적 대응이 형성되는 정치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그러한 거시적 수준의 정치적 과정이 미시적 수준에서 개별 조직 구성원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이질적-이익중심 정치체로 특징지을 수 있는 방송사 A의 경우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이 정치체 내부의 상호배제 및 차별화를 촉진시키며 파편화된 저항이 나타난 반면, 동질적-가치중심 정치체를 가진 방송사 B에서는 동일한 외부의 압력이 정치체 내부의 참여와 통합의 정치적 과정을 강화시켜 단일화된 집단적 저항이 나타났다. 끝으로 제도적 압력에 대한 조직 수준의 저항은 미시적 수준에서 구성원들의 일상적인 조직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사에서는 일련의 파업을 거치면서 조직 구성원들 사이에 정치적 내집단(ingroup)-외집단(outgroup)이 형성되고 그로인한 관계적 갈등이 확연해진 반면, B사에서는 그러한 구분이 점차 소멸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원적 조직의 제도적 압력에 대한 대응이 형성되는데 있어 정치적 과정의 중요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 대응이 일회적 사건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미시적 수준에서 조직과 조직 구성원들의 삶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ra-organizational process that shapes organizational responses to complex institutional demand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process for social relations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Despite a growing scholarly and practical interest in pluralistic organizations operating in complex institutional environment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competition or cooperation among multiple occupational groups connected in fluid and ambiguous power relationships. In this regard, through a longitudinal, multiple case study of two public broadcasters in Korea, this paper aims to build a process model that links internal polity, organizational responses to institutional pluralism,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ponses. The findings compare and contrast the heterogeneous, interest-based polity at Broadcaster A and homogeneous, value-based polity at Broadcaster B. Political and civil pressure is then shown to have facilitated each type of internal polity to evolve into the political process of differentiation and exclusion (A) and the political process of inclusion and integration (B). Finally, we illustrate how the former led to a deepening of political in- and out-group distinction in social sphere at A, while the latter eroded the distinction. Our findings suggest the centrality of political process in organizational responses to institutional pluralism and the long-term implications of that process.

      • KCI등재

        블랙박스 들여다보기 : 플랫폼 사업자 관점에서 바라본 알고리즘 통제의 진화과정

        노성철(Sung-Chul Noh)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2

        선행연구는 알고리즘 통제를 전통적 고용관계와 차별화하는 플랫폼 노동의 고유한 특징으로 지목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알고리즘 통제하에서 플랫폼 노동자의 일경험에 초점을 맞추면서, 플랫폼 업체가 실제로 어떻게 노동자 관리 알고리즘을 설계, 개발, 유지 또는 변경하는지 살펴본 실증연구는 여전히 적은 편이다. 그 결과, 알고리즘통제를 기존의 작업장 통제기법이 보인 한계를 모두 극복한 기술적 혁신으로 절대화하는 경향이 나타난 반면, 그것이 인적자원관리 이론의 흐름에서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 작업은 지체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저자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플랫폼노동자들을 관리하는 플랫폼 기업의 조직 구성원과의 면접조사를 통해 플랫폼 노동자관리 알고리즘의 진화과정을 이해하고, 그것을 조직통제이론의 맥락에서 이론화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온라인 크라우드 노동 플랫폼 두 곳을 비교사례연구 대상으로 삼아서 창업초기부터 3~5년간의 성장과정을 종단적으로 분석했다. 먼저, 두 플랫폼의 발전단계를 시장과 제도적 장에서의 위치 변화에 따라 형성기-성장기-완숙기로 구분했다. 이어서 각 단계에서 나타난 두 플랫폼의 지배적인 온라인 크라우드 노동자 관리방식을 비교분석했다. 구체적으로 각 단계에서 플랫폼이 직면한 제도적 조건을 분석하고 그것이 크라우드 노동자 관리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원-통제-몰입 순서로 관리 목표가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미시적 수준의 통제방법은 수작업 결과통제-수작업 입력통제 및 알고리즘 결과통제-알고리즘화된 입력·결과·과정통제 순서로 진화했다. 끝으로 각 단계에 등장한 통제방법의 한계에 초점을 맞춰서 전통적인 노동자 관리방식과 알고리즘 관리방식 사이의 관계가 재구성되는 양상을 추가로 분석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플랫폼 노동 및 인적자원관리 연구에 제공하는 이론적 함의와 함께 플랫폼 노동의 불안정성 개선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Scholars have suggested that algorithmic control is a defining feature of platform labor. However, as much of the scholarly interest in platform labor has focused on its implications for labor processes and the precarity of platform workers, little is known about how platform companies design, implement, and maintain algorithmic control. Algorithms have tended to be mystified as the ultimate omnipresent tool for worker control, rather than subject to empirical investigation.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theorize algorithmic control in the contex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the present paper examines algorithmic control from the perspective of members of a platform company. Drawing on interviews with organizational members of two micro-task crowdworking platforms in Korea which have been conducted over six years, the author compares how algorithmic control evolved over time in the two platforms. Analysis based on organizational control theory shows that the nature of algorithmic control evolved from simple output control to input control, and to a hybrid form of control that integrates input, output, and process control. Thefindings shed light on the interplay between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hat facilitate or constrain the evolution of algorithmic control.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ese findings is discussed.

      • KCI등재

        The Changing Face of Work Precarity

        Sung-Chul Noh(노성철)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9 産業關係硏究 Vol.29 No.1

        본 논문은 전문직 특수고용노동자들이 어떻게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대응하는지 살펴본다. 지상파 방송사에서 일하는 53명의 독립 피디와 정규직 피디들을 상대로 한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독립 피디들이 노동시장, 노동과정, 그리고 창작 커뮤니티에서 불안정성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독립 피디들은 정규직 피디들의 대상화·타자화를 통해 피디로서 창의적이고 창업가적인 면을 강조하는 전문가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었고, 이 집단적 정체성은 그들이 조직화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독립 피디들의 전문가 정체성에 초점을 맞춰, 그들이 왜 노동조합이 아닌 직종협회를 집단적 이해대변체로서 택했는지 분석하고 그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논의하도록 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professional workers under the arrangement of dependent self-employment experience and respond to work precarity. Drawing on interviews of 53 indie and in-house PDs, I found that the arrangement of dependent self-employment translated into work precarity in three interrelated spheres of work: i) in labor markets, ii) in production processes and iii) in creative communities. Further analysis of the interviews shows that indie PDs have developed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the alter casting of in-house PDs which highlights the creative and entrepreneurial nature of their work. The cognitive practice of alter casting allows indie PDs to extract positive meanings from their precarious employment arrangement and distinguish themselves from in-house PDs at the major broadcasters. In turn, this professional identity fueled their desire to self-organize in response to the perceived threats to their professional community. Indie PDs opted for a professional association, rather than a labor union, as a form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to promote social recogni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소셜 벤처의 공식 영역과 비공식 영역 간 균형 잡기: 세대단위 개념을 중심으로

        김상준(Sang-Joon Kim),노성철(Sung-Chul Noh),김나현(Nahyun Kim) 한국경영학회 2023 經營學硏究 Vol.52 No.1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cial ventures deal with the tensions between economic values driven by firm growth and social values they originally implement. Given that the formal sphere (e.g. structure, authority, and rules) is inter-related with the informal sphere (e.g. culture, social interactions, and values), we conduct an in-depth case study of a Korean social venture to specify the co-evolution process of these distinctive spheres in a generational approach. The generational approach views that new employees create their own cultural boundaries vis-à-vis those of incumbents within the organization by collectively mobilizing what they understand regarding their work. In response to this generational differentiation, these generations takes distinctive actions to embrace what the organization eventually pursues, including value reinforcement, re-practicing, and sub-culturing. Our findings provide the understandings of what aspect hybrid organizations consider upon firm growth.

      • KCI등재

        혁신담론의 노동품기? : 스타트업 기업의 집단적 이해대변체로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의 정체성 진화과정

        조현민(Cho, Hyun Min),노성철(Noh, Sung Chul),김상준(Kim, Sang Jun) 한국노동연구원 2023 노동정책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등으로 인해 빠르게 변해가는 노사관계 환경 속에서 스타트업 기업들의 집단적 이해대변체로 등장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의 정체성 진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코스포의 설립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내부 정체성과 외부 이미지 사이의 관계가 진화해 온 과정을 분석했다. 먼저, 정체성 형성기에 코스포 설립주체들은 기존 대기업들과의 차이를 강조하며 혁신과 사회적 책임을 중심에 둔 스타트업 기업의 정체성을 형성했다. 정체성 확장기에 들어서 코스포는 공적인 담론장에서 정부와 노동조합과 같은 외부행위자들을 상대로 제도적 협상의 주체로 나서면서 조직의 정체성을 외화하고 위상을 높여나가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코스포의 핵심정체성 요소인 사회적 책임이 노동과 고용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사용자 단체’로서의 외부 이미지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사회적 공론장에서 위상이 높아지면서 역설적으로 코스포는 정체성 갈등기에 접어들었다. 외부행위자들이 부여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사용자 단체’로서의 이미지와 내부회원사들의 이해를 대변하는 ‘이익집단’으로서의 조직 정체성 사이에 부정합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정합을 해소하기 위해 코스포는 이익집단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을 택했고 자연스럽게 노동과 고용 이슈를 포함하는 사회적 책임은 부차적인 정체성 요소로 주변화되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가 갖는 이론적 · 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platform companies formed collective interests in institutional complexity by examining the Korea Startup Forum(KSF), which emerged as a representative body for collective interests of platform companies in the rapidly changing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of the platform industry. To this end, we analyzed the evolu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identity and external image over the course of time from the establishment of KSF to the present. First, during the identity formation period, the founders of KSF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existing conglomerates and start-ups and molded the identity of a start-up company centered on innov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Entering the identity expansion period, KSF began to externalize its identity and raise its status as a subject of institutional negotiations with external actors such as the government and labor unions in the public discourse. In this process, as social responsibility, a key element of KSFs identity, expanded to the realm of labor and employment, an external image as a ‘employer association’ was created. However, as its status in the public sphere increased in such a way, KSF paradoxically entered a period of identity conflict. This is because there was a mismatch between the image as a ‘user organization’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ies imposed by external actors an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as an ‘interest group’ representing the interests of internal member companies. In the conclusion,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analysis resul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