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otential of Performance Measurement as a Self-Sustaining Mechanism :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the Korean Nonprofit Sectors

        Sungmin Roh(노성민),Janghoon Jung(정장훈) 한국도시행정학회 2014 도시 행정 학보 Vol.27 No.2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영리단체의 성과측정과는 달리 가치중심적이고 과정중심적인 비영리단체가 성과라는 단어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을까라는 의문에서 시작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비영리단체의 성과측정을 위한 변수를 설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서울, 인천, 경기지역을 대상으로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효율성, 효과성, 고객만족도, 공공성 등에 기반한 성과관리를 통해 비영리단체의 사업에 대한 효과와 결과 등을 주기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비영리단체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nprofit organizations are increasingly advised to become fiscally self-sufficient and reduce resource dependence to preserve autonomy. Nonprofit organization’s self-sustaining mechanism is based on value that generates many kinds of assistance at no cost. This mechanism, paired with a community base and a not-for-profit identity, formulates a distinct nonprofit model. Therefore, measuring performance based on appropriate indicator yield benefits to nonprofit organizations and stakeholders. This article empirically analyzes the concept of Korean nonprofit sectors’s perform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efficiency, effectiveness, responsiveness, and publicness are important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n nonprofit organizations.

      • KCI등재후보

        도시철도공사 공유가치 창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노성민(Roh, Sungmin)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21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7 No.1

        본 연구는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대구도시철도공사, 대전도시철도공사,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를 대상으로 지방공기업에 적합한 공유가치를 도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Porter(1990)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준용하여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도시철도공사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철도공사는 생산조건, 수요조건 등의 차원에서 지역사회 주민 및 고객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생산조건 맥락에서의 제약, 새로운 수요조건 발굴의 어려움, 공공기관 선도형 뉴딜추진의 한계, 그리고 사업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평가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deriving share values suitable for local public corporations for Seoul Metro, Busan Transportation Corporation, Incheon Transit Corporation, Daegu Metropolitan Transit Corporation, Gwangju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Daejeon Express Transit Corporation. To this end, the cas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iamond model of Porter(1990). Based on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working-level officials of the Urban Railroad Corporation, problems related to the shared value of the Urban Railroad Corporation were derived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were proposed.

      • KCI등재

        AHP를 활용한 지방의회 생산성 지표개발 연구 - 경기도의회를 중심으로 -

        노성민 ( Roh Sungmin ),유두호 ( Yoo Dooho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지방의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지방의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과 계층화 분석(AHP)을 결합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지방의회의 기능과 측정지표, 지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주민대표기능, 의결기능, 입법기능, 견제 및 감시기능, 적극의정 기능이 경기도의회의 생산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으로 도출되었고 1계층인 지방의회 기능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입법기능과 주민대표기능이 높은 우선순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생산성 제고 방안으로 지방의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학습의 장 마련, 조례에 대한 고찰과 입법기능의 실질적 작동, 집행부에 대한 효율적 견제를 통한 지위 확립, 적극의정 실현을 위한 피드백 체계 구축을 제시한다. As the importance of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is emphasized, the role and function of local councils are being discussed continuousl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functions of local councils and to suggest measur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local councils. This study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Gyeonggi -do Council, and using an analysis method that combined the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e functions of the local council, measurement indicators, and detailed items of indicators were derived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ident representative function, the voting function, the legislative function, the check and monitoring function, and the active administrative function were derived as functions to check the productivity of the Gyeonggi-do Council. appeared to be of high priority. Considering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learning space for securing the expertise of local councilors as a way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ocal councils, consider ordinances and practical operation of legislative functions, establish status through efficient checks on the executive branch,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feedback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active administration.

      • KCI등재

        AHP를 활용한 지방출자출연기관 평판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노성민(Sungmin Roh),유두호(Dooh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지역사회에서 공익사업을 추구하기 위한 지방출자출연기관에 대하여 주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주민의 복리증진과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지방출자출연기관의 특성을 반영하는 평판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평판지수 개발을 위한 지표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평판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평판지수 개발을 위한 지표를 구성하기 위해 전문가 및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AHP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공성이 가장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었으며 지역상생, 지속가능성, 수익성의 순서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2계층 측정지표의 경우 투명성, 효율성, 지역공헌, 전략경영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보였으며, 3계층 세부항목에서는 민주적 정책결정과 법령 및 정관이 준수 등이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출자출연기관의 평판지수는 공공성, 지역성, ESG와 같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지방출자출연기관은 효과적인 평판관리를 통해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주민에 대한 공공서비스를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Residen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local investment institutions to pursue public works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mponents of reputations and to develop reputation index of local investment institutions that contribute to the welfare of residen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HP analysis on experts to construct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putation index, publicness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and importance was shown in the order of regional coexistence, sustainability, and profitability. In the case of the second-tier measurement indicators, transparency, efficiency, regional contribution, and strategic management showed relatively higher priority, and in the third-tier detailed items, democratic policy making and compli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showed high import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putation index of local investment institutions suggests that factors such as publicness, locality, and ESG should be considered, and that improving management efficiency and public services to residents should be achieved through effective reputation management.

      • KCI등재

        메타평가를 활용한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평가기관과 평가위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손지은(Son, Jieun),노성민(Roh, Sungm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 및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경영평가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 로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결과, 첫째, 경영평가제도 운영 현황과 관 련하여, 정보공개의 투명성은 매우 긍정적이나 평가절차상의 공정성과 책임성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영평 가제도 운영절차 및 체계의 경우, 평가위원과 지방공기업 모두 공정한 평가를 위한 사전평가의 중요성에 대해 동의 하나, 사전질문과 관련된 체크리스트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공기업이 의무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평가지표의 경우, 평가내용 및 평가수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가치 실현을 강화하는 수단 으로서 경영평가제도가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수익과 사회적 가치를 함께 공유하 는 공유가치창출 맥락에서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warenes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local public corporations and committee members and to present meas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ransparency of information disclosure is very positive, but fairness and accountability in the evaluation process need to be improved. Second, both committee members and local public corporations agree on the importance of pre-evaluation for fair evaluation, but the checklist related to pre-questioning needs to be supplemented. Third, evaluation indicators that are mandatory to be implemented, needs a review of contents and the level of assessment. Fourth, it has been shown to play a very positive role 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bu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in the context of creating shared value that shares economic profits and social values together.

      • KCI등재

        지방출자출연기관 확산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류숙원 ( Ryu Sukwon ),노성민 ( Roh Sungmi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3

        지방출자출연기관은 지역사회 주민의 다양한 수요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설립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출자출연기관이 확산되는 주된 요인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요인, 서비스 수요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은 ‘14년 공식적인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 광역 지방자치단체 기준으로 해마다 약 41.67개의 기관이 설립되고 있다. 둘째, 재정적 조건과 지방출자출연기관 확산 간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인구 수, 고령화현상 등 서비스 수요의 측면에서 지방출자출연기관이 설립되기도 하지만, 출자기관과 출연기관 간의 통합, 소규모 출연기관 간의 통·폐합, 출연기관 지정·고시 해제 등 다양한 조직변화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Local investment agencie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to secure flexibility in service deliver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rivate management techniques and to improve productivity by establishing a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investment agencies are being established exponentiall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financial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demand for services, which are the main factors of the diffusion of local investment agenc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about 41.67 institutions have been established every year based o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since official statistics began to be compiled in 2014.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financial conditions and the diffusion of local investment agencies has not been shown to be high. Third, organizational changes such as integration between small organizations, de-designation of public institutions could be identified.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의 SNS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의 다중매개효과

        김승완(Soung-Wan Kim),노성민(Sungmin Roh)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장애인의 SNS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장애인삶 패널조사 2차연도 조사에 참여한 5,527명 중 결측치를 제외한 922명이다. STATA 15.1, SPSS 22.0, PROCESS Macro 3.5.3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SNS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장애인의 SNS 활동이 매개변인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매개변인 우울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단계에서 매개변인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장애인의 SNS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므로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이용에 대한 양적·질적 수준 강화, SNS를 통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일자리 창출형 돌봄사업 추진, 건강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전략 도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on life satisfaction and analyzed the multi-media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5,527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year of the life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922 people were surveyed, excluding missing val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ediating self-esteem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mediating depression. Since the parameters self-esteem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NS activities of the disable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alternatives such as strengthen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of SNS use, education for improving awareness of the disabled through SNS, promotion of job creation-type care projects, and customized strategies considering health condi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각장애인 재난대응 욕구에 관한 연구

        김승완(Soungwan Kim),김회성(Hey Sung Kim),노성민(Sungmin Ro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2

        본 연구는 재난취약계층인 청각장애인의 재난관리 및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가 상당부문 공백으로 남아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재난대응 욕구 전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해 양적으로 분석하고, 재난 구조과정 최일선에 있는 소방공무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 분석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책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위험상황에서의 도움을 요청하는 수단 확보 및 구조 과정에서의 정보전달과 관련된 의사소통 욕구,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대피능력 및 훈련정도를 의미하는 이동(이송) 욕구, 신체적ㆍ정신적 응급조치에 대한 사전준비 정도 및 구조ㆍ구급과정에서의 건강정보의 전달과 관련된 의료적 돌봄 욕구, 재난 발생 시 발생되는 피해를 스스로 최소화하기 위해 준비된 정도를 의미하는 자립성 유지 욕구, 재난취약계층에게 제공되는 공식화된 맞춤형 지원체계에 해당하는 슈퍼비전 욕구 등 5대 재난대응 욕구 전반에서 청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충족 수준은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청각장애인의 재난관리 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시각경보장치의 확대설치 지원 확충 및 화상수화통역서비스 활용 강화, 재난대응 교육ㆍ훈련 프로그램의 내실화, 건강정보카드 보유 장려 및 장애인지정병원제도 신설, 맞춤형 재난지원체계와 재난관리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예산 및 정책 확대 등을 제안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ctual status of special needs of the hearing-impaired person for disaster response.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level of unmet needs in disaster response for hearing-impaired person. The 5 special needs in disaster response include: 1) communication needs, which involve securing the means to make an emergency rescue request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during the rescue process; 2) transportation needs, which indicate the effective evacuation capacity and the level of training; 3) medical needs, which address the degree of preparedness for physical and mental emergency measures and the delivery of health information for rescue and first aid process; 4) maintaining functional independence needs, which refer to the level of self-preparedness to minimize damage in disaster situations, and; 5) supervision needs, which correspond to a personalized support system provided to disaster-vulnerabl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