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고구려 고분벽화 "주악도"에 나타난 공연문화 양상-음악문화를 중심으로-

        노복순 ( Bok Sun Noh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안악3호분>, <덕흥리벽화분>, <삼실총>, <무용총>, <장천1호분>, <수산리고분>, <오회분 4호묘>를 대상으로 하여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나타난 공연문화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생활풍속도가 있는 <안악3호분>, <덕흥리벽화분>, <수산리고분>에서는 ‘행렬도’가 등장하는데 ‘담고’ 중심의 보행악대와 ‘각’ 중심의 기마악대로 나누어 연주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안악3호분>, <무용총>, <장천1호분>에서는 ‘무악도’가 나타나는데, 합창단의 노래나 현금, 완함, 장적 등의 선율악기가 중심이 되어 연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무악도를 통하여 4세기 중반에는 이미 서역의 공연문화가 고구려에서 연행되었고, 5세기 중반에는 외래문화의 고구려화가 진행되어 5세기 고구려 중심의 수준 높은 문화가 존재하였음도 짐작할 수 있다. ‘선인도’는 집안지역에서만 나타나며 고분벽화의 중기시기인 5세기 중엽부터 말기인 7세기 중엽까지 보인다. 5세기의 <삼실총>, <무용총>, <장천1호분>에서는 사람의 형상이나 알 수 없는 모습을 한 반인반수(半人半獸)의 하늘을 나는 형상이 연주를 하고, 6세기 이후 <오회분 4호묘>에서는 사신(四神)을 타고 연주하는 승선(昇仙)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악도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요 악기는 ‘현금’과 ‘완함’ 그리고 ‘각’ 종류의 악기를 들 수 있는데, 고분벽화의 말기에 유행한 선인도의 주악도에서는 단연 ‘현금’의 등장이 많다. 따라서 현재의 고구려 악기로 ‘거문고’를 꼽고 있는 이유를 고분벽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actice of performance culture in the wall painting Kokuryo``s ancient tomb, which is targeted at "Anak tomb 3". "Deokheungri wall painting tomb", "Samsilchong``, "Muyongchong", "Jangcheon tomb 1", ``Susanri tomb", and "Ohoibun 4". "Anak tomb 3", "Deokheungri wall painting tomb", and ``Susanri tomb" that contain genre painting have "Hangyeldo(Parade Painting)", which is regarded as giving a performance, being separated in the form of walking band of ``Damgo`` and horse-riding band of Gak" We can see "Muakdo" in "Anak tomb 3", "Muyongchong", and "Jangcheon tomb 1", where the performance mainly is played by choir``s song or melody instrument of ``Hyungeum(Korean lute)``, ``Wanham``, and Jangjeok``, etc. Besides, It is viewed as that Western Chinese performance culture in ``Muakdo`` was already played in Goguryo in the mid-4th century, and high quality culture of Goguryo existed in the mid-5th century We can only see "Seonindo`` in Jiban area, which appears from the mid-5th century to the mid-7th century. In "Samsilchong``, "Muyongchong", and "Jangcheon tomb 1" in 5th century, the figure of half-man half beast flying sky which is the feagure of man or unknown appearance is giving peformance. And after 6th century, we can notice ascending supernatural being who performs riding 4 gods in "Ohoibun Ohoimyo" Main musical instruments that most frequently appears in "Juakdo" are ``Hyungeum(Korean lute)``, ``Wanham``, tec, and in the end of the wall painting of ancient tomb "Juakdo" of ``Seonindo (supernatural being painting)`` has many ``Hyungeum(Korean lute)``. Accordingly, it is confirmed that we can consider ``Keomungo`` to be ``Gokuryeo instrument`` by the wall painting of ancient tomb.

      • KCI등재

        공연예술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소고 -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를 중심으로 -

        노복순 ( Noh Bok-su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2000년을 전후하여 지자제가 정착되면서 지역에서 크고 작은 수많은 축제들이 우후죽순으로 개최되고 있는데 해당 축제의 정체성과 목적성을 프로그램에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는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를 지역의 공연예술축제에서 성공한 사례로 보고 그 특성과 지향을 살펴 향후 공연예술축제의 발전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집필하였다. 특히 음악프로그램에 집중하여 축제의 정체성과 기획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구성과 내용, 의미와 지향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무엇보다도 <2017전주세계소리축제>의 가장 큰 성과는 지역의 문화자원인 판소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여 축제의 정체성을 실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니아와 대중들의 눈높이를 만족시켰다는 점이다. <2017전주세계소리축제>가 공연예술프로그램을 통해 구현해낸 특성은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통음악의 새로운 이미지 만들기, 둘째, 문화적 소통을 위한 탈경계화의 욕구, 셋째, 신진예술가와 지역예술가들을 위한 무대 제공, 넷째, 대중 소환의 매개체, 다섯째, 미래 잠재 관객의 스펙트럼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 본다. 본고는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라는 단일 행사만을 제한적으로 분석하여 공연예술축제의 표본 모델화로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추후 다양한 공연예술축제를 연구하여 <전주세계소리축제>와 비교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While myriads of small and large festivals are being organized in many regions across the country afte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s around 2000, the undeniable fact is that the identity and purpose of such events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ir programs. This paper carefully examines the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as an exemplary case of a local performing art festival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rforming art festival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t focuses on a musical program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content, meaning, and direction that can effectively reveal the identity and intention of a festival. The most significant accomplishment of the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is that it presented a local cultural resource, Pansori, in various ways not only to manifest its identity but also to satisfy both the enthusiasts of such musical genre and the general audience. The achievements of the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through the performing art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reated a new image of traditional music; second, it realized the desire to rise above regional and generational demarcations through cultural communication; third, it provided a stage for budding and local artists; fourth, it served as a vehicle for summoning the public; and last, it was conducive to expanding the spectrum of potential audience. This paper has limitation in covering the subject of the improvement of performing art festivals because it analyzed only one event. In follow-up studies, a more objective discussion should be performed by further analyzing the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in comparison with various other performing art festiv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