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역사의 관점에서 보는 김대중의 대중경제론과 햇볕정책: 모델로서 서독의 사회시장경제제도와 동방정책

        노명환 ( Meung-hoan Noh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1 No.-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김대중의 대중경제론이 1950년대부터 시작된 그의 사유와 저술활동 그리고 정치 활동을 통해 정립되고 숙성되어 왔음을 설명하였다. 그의 대중경제론은 대중의 참여 속에서 자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사회정의가 실현되는 대중민주주의를 전제로 했다. 자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사회정의와 함께 공정한 시장원리에 기초하고 있는 서독의 사회시장경제제도를 모델로 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이 사회시장경제제도는 각 정부의 동방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이 되었다. 이를 모델로 김대중은 대중경제론과 햇볕정책의 관계를 설정했음도 설명했다. 필자는 김대중의 대중경제론이 세계적인 냉전시대 그리고 남북관계의 텍스트 속에서 읽혀져야 함을 강조했다. Through this thesis, I explained that Kim Dae-jung’s theory of Mass Economics has been established and matured through his thoughts, writing activities, and political activities that began in the 1950s. His theory of Mass Economics presupposed popular democracy in which freedom, democracy and social justice are realized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He explained that the model is based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System of West Germany based on the fair market principle along with freedom, democracy and social justice. This Social Market Economy System became a resource for carrying out the Ostpolitik of each govern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Using this model, Dae-jung Kim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Popular Economic Theory and Sunshine Policy. The author of this article emphasized that Kim Dae-jung’s theory of Mass Economics should be read in the texts of the global Cold War era and inter Korean relations.

      • KCI등재

        국정통치기록의 이관에 관한 국제비교 미국, 독일, 프랑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명환(Noh, Meung-hoan),조민지(Jo, Min-ji),이정연(Lee, Jung-y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8 No.-

        역사적으로 볼 때 최고통치기록은 최고통치권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 한국뿐만 아니라 기록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국가들에서도 최고통치권력은 기록물의 생산, 이관, 보존 및 활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정치, 행정 제도 및 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미국, 독일, 프랑스 세 나라의 국정통치기록관리, 특히 국정통치기록물의 이관 문제를 상호 비교하면서 다루고 있다. 최근 대통령기록물 공개와 관련한 정치권의 논의와 일련의 사건들을 지켜보면서 필자들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며 대통령과 국회, 정당의 역할과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사회•문화적인 배경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다시 한 번 절감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단지 외국의 기록관리 제도 자체만이 아니라 그 제도가 뿌리내리고 있는 사회•문화적 토양과 행정제도 전반과의 맥락 속에서 비교하고 한국을 위한 시사점을 끌어내고자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s introduce and discuss the presidential records transfers in the U.S, Germany, and France. This comparative study focuses on the creation, transfer and disclosing of the presidential records, exploring it through political, institutional and cultural viewpoints. This study aims to not only compare records management system with foreign ones themselves, but also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basis as well as the whole institutional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독일 연방기록물보관소 (Bundesarchiv Deutschlands) 의 사료와 다매체 컨텐츠 개발

        노명환(Noh, Meung-Ho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2 역사문화연구 Vol.16 No.-

        This article treats the question how the documents of the German Federal Archive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the multimedia contents. The Federal Archives of Germany contain very rich historical material not only in form of written documents but also drawings and photos . These material presents valuable evidences for each period of the long German history. The historical material in form of drawings and photos are especially good source for the production of multimedia contents when they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written documents.

      • KCI등재

        유럽통합 과정에 있어서 문화적 갈등문제와 이문화 이해 증진 정책 : 문화수렴 현상과 공동의 교육정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0 No.-

        오랜 역사 동안 유럽 국가들은 고유한 문화체계를 발전시켜왔다. 유럽통합이 이루어지면서 특히 단일유럽의정서에 의한 단일시장의 형성을 눈앞에 두면서 회원 각국의 문화들을 조화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문화 이해 증진 프로그램들이 이 필요성에 화답하는 것이었다. 이 프로그램들은 주로 학생들의 교환 교육 또는 공동의 다문화 훈련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유럽차원의 공동의 직업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교환 프로그램들이 또한 이문화 이해 증진의 필요성을 높였으며 실제적으로 이문회 이해 증진의 중요한 과정이 되었다. 단일유럽의정서에 의거한 단일시장의 형성은 상품, 노동, 자본 그리고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을 의미하였는데 이는 유럽차원의 공동의 규정들을 필요로 했다. 이에 따라 문화수렴 현상이 목격되었는데 이 문화수렴이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를 수 있을 것인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이문화 이해 증진 프로그램들과 문화수렴 현상이 맞물리면서 유럽통합과정과 더불어 유럽 공동의 문화라고 불릴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고 이는 유럽시민권 제도의 확립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런데 유럽내의 서로 다른 문화들은 각기 다른 종교적, 교육적 전통과 지리 및 기후 조건들에 의한 것으로 유럽통합과 더불어 충돌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다원성의 보고이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양성 속의 통일’ 이라는 목표하에 이문화 이해 증진 프로그램들이 추진되고 있는 점 또한 주목해야 할 맥락이다.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developing native and individual cultures. Faced the formation of the Single Market according to the Single European Act, European Communities realized the necessity to harmonize the various cultures of the member states. In this sense, the programs for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have been developed. These programs included the exchanges of the students between the member states and comm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dimension of Europe. The comm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raised the importance of the policies for the inter-cultural and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t the same time they proved to be good instrument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s between cultures. The emergence of the Single Market according to Single European Act implied the free movement of the goods, services, labours and capitals. For that the common rules and regulations in the dimension of Europe were established. In the results of these processes people could observe the convergence of the cultures among the member states. People began to expect that these developments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uropean citizenship, especially through the joint effects with the programs for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However, the different cultures of Europe are the sources of the cultural clashes and simultaneously the ones of cultural creativities and diversities. In this sense, the programs for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have been being conducted under the motto “unity in diversity”.

      • KCI등재

        미국의 독일점령과 교육정책(1945~1949)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5 역사문화연구 Vol.22 No.-

        필자는 본고에서 미국이 피점령국 독일에서 탈나치화의 수단으로 실시한 교육개혁 정책을 통해 냉전이라는 새로운 국제정치적 환경 하에 자국의 이해와 의도를 어떻게 관철시키고자 했는가 하는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독일이 연합국에 의한 4분할점령에서 동·서, 즉 미·소 세력범위의 양분구도로 변화되었기 때문에 미국점령지역의 연구는 곧 서방점령지역의 연구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 필자는 미군정청이 미국의 체제적 목표를 독일 점령지역에서 어떻게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교육정책은 이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는가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미국 점령당국은 독일 땅에서 나치의 뿌리를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독일 사회의 밑바닥에서부터 전통적인 권위주의 체제를 청산하고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탄탄하게 정착시키고자 정책을 펴나갔다. 경제적으로는 독일에 자유시장 경제를 활성화하여 자본주의 경제를 재건하고자 했다. 이러한 재교육정책을 통해 독일인들의 가치관, 생활방식, 집단심성 (German Collective Mentality) 또는 국민성 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새로운 체제, 즉 자유 민주주의 체제와 자본주의 경제제도를 뿌리내리고자 하였다. 그런데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제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독일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군정청은 무엇보다도 독일의 교육개혁전통을 제대로 인식하여 평가하지 못하고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관료들을 배치하는데 실패하였다. 이로 인해 시간과 에너지를 많이 허비한 채 본래의 의도를 관철시킬 수 없었다. 이리하여 미군정청이 교육개혁을 제도화할 수 있는 적기를 놓쳐버렸다. 본고에서 또한 중요한 사항은 재교육의 목적이 탈나치화에서 반공으로 전이되는 점이었다. 그들은 이제 체제교육, 즉 반공과 민주와 자유가 강조되는 교육을 통해 동독 그리고 동유럽의 그것보다 우위성을 확보하는 데에 더욱 역점을 두었다. 그들은 교육을 통해 서방세계의 단결을 과시하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분명히 재교육 정책은 탈나치화의 수단으로서 구상된 것이었으나 그 추진과정에서 독일인들을 나치주의로부터 해방시킬 뿐만아니라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의 파괴력을 무디게 할 수 있는 또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임무를 또한 띠게 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uthor treated the following central question in this article: How did the USA try to realize their interests and aims through the Re-educational policy in Germany, especially under the new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s of Cold War ? The USA determined to root out the Nazi remnants fundamentally and to establish liberal and democratic system through the Re-educational policy. In an attempt to do that, they intended to change the German ‘authoritarian traditions’ into democratic ones. When it comes to the economic system, they preferred to establish free market economic system, namely capitalistic one. For this purpose, they believed to have to transform the German national characters, namely the collective mentality of German people through Re-education. However, this Re-educational policy was not so successfully realized, because the US-American occupation officials did not possess specialized know-hows for that and were not effective and skillful in their works. Whereas, the conservative Germans opposed this policy very strongly. With the rapid developments of Cold War, the USA had to change eventually their Re-educational policy aims from the De-nazification to Anti-Communism.

      • KCI등재

        김대중과 빌리 브란트의 ‘다양성 속의 통일’ 사상과 남한과 서독의 정치·사회·문화적 토양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5 No.-

        김대중과 빌리 브란트의 시대와 공간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들의 사상과 활동을 비교와 관계의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그들의 사상과 활동을 공통적으로 ‘다양성 속의 통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남한의 경우 다양성이 부족하고 이분법적인 반공주의가 내재화되었다. 그래서 김대중의 ‘다양성 속의 통일’ 사상과 정책으로 햇볕정책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서독의 경우 나치시대에 대한 반성에서 다양성이 중시되어 반공주의에 대해 덜 경직되었다. 빌리 브란트의 ‘다양성 속의 통일’ 사상과 정책으로서 동방정책은 비교적 호응을 얻었다. 김대중은 이러한 남한의 풍토에서 공산주의자라는 음해와 오해를 받았다. 빌리 브란트는 김대중에 비해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급진적인 사상과 정치 노선을 추구하기도 하고, 그의 반나치 저항 투쟁 시기에는 소련 공산당과 협력한 경력도 가졌다. 그러나 브란트는 서독에서 김대중이 겪은 바와 같은 공산주의자라는 음해로 시달리지는 않았다. 필자는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과 비교하면서 김대중과 햇볕정책을 비판할 것이 아니라 다양성이 부족한 대한민국의 사회·문화적 토양을 개선할 생각을 해야 한다고 본다. The thoughts and activities of Kim Dae-jung and Willy Brandt in light of differen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ir countries were studied in terms of comparison and relationship. To this research,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were commonly focussed on the principle of the “unity in diversity”. The South Korea lacked and lacks the diversity and has been internalizing dichotomous anti-communism. So, the Sunshine Policy pursed by Kim Dae-jung based on the idea and policy of “unity in diversity” suffered greatly in thi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oil. In this aspect, we must be able to evaluate and understand the value of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In contrast to this, in West Germany, diversity was valued highly in critical reflection on the Nazi era. This led to make the people of this country less rigid towards anti-communism. The idea and policy of Willy Brandt, especially Ostpolitik based on the principle of “unity in diversity”, was relatively in accordance with West Germa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oil. In the South Korean climate, Kim Dae-jung was plagued and misunderstood as a communist. Willy Brandt pursued an incomparable radical ideology and political line towards communism compared to Kim Dae-jung. During his anti-Nazi resistance struggle, Willy Brandt had a career in cooperation with the Soviet Communist Party. But Brandt wasn t plagued by the abuse of Communist in West Germany as Kim Dae-jung suffered in South Korea. Therefore, we should endeavor to improve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oil of Korea towards unity in diversity which lacks the vale sense of the diversity.

      • KCI등재

        디지털 아카이브와 큐레이션에 기초한 디지털 역사학, 공공역사, 트랜스내셔널 역사 : 다양성 속의 통일 원리에 기초한 세계의 평화·상생을 향하여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역사문화연구 Vol.79 No.-

        필자는 본고에서 디지털 큐레이션에 의거하여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기록의 사료들을 확보하고 활용하는 디지털 역사학을 수행하자는 제안을 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와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해 기록의 4대 속성인, 진본성, 무결성, 신뢰성, 이용가능성을 유지하면서 디지털 역사학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디지털 역사학은 역사학의 한 분야가 아니라, 사료가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시대에서의 일반적인 역사학의 방법이고 현상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그렇다고 물리적 실체의 사료에 기반한 역사학이 약화되는 것도 아니고 두 형태의 역사학 사이에 상보관계가 형성되어 역사학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임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역사학이 갖는 시·공을 초월하는 새로운 차원에 주목하고 이를 실현해야 함을 이야기 했다. 이와 함께 저자는 연계·융합의 특징 속에서 시·공을 초월하여 공공역사와 트랜스내셔널 역사를 실현하고 세계의 평화·상생의 길을 찾아 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proposes to develop digital history based on digital archive and curation that secures and utilizes reliable sources of digital records. In other words, it suggests to develop digital history based on the 4 principle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for authenticity, integrity, reliability, availability. It was also emphasized that digital history is not a certain field of history, but a general method and phenomenon of history in the era when historical materials exist in digital form. The author of this article explained that this would not weaken the history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 of physical entities. He emphasized that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orms of historiography would be formed, which would further enrich the history. He also talked about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new dimension of digital histor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At the same time, he hopes that we will be able to realize the value of the public history and the transnational history based on it. Thus, he thinks that we would find a way to world peace and coexistence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n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 and convergence.

      • KCI등재

        The Hope and the Frustration of the Korean South-North Relations 1973-74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6 No.-

        1973년 6월 23일 박정희 대통령은 북한에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과 공산권국가들에게 문호를 개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선언을 한다. 이는 6·23 선언으로 알려지게 되는데 독일의 동방정책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독일의 동방정책이 동독을 국가로 인정하는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부정하는 할슈타인원칙을 폐기하고 동·서독의 동시 UN가입을 제안하고 실천했기 때문이다. 서독정부는 동방정책을 통해 화해와 접근을 통한 동독 및 동유럽 공산권 사회의 변화시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제반의 조약과 교류 및 협력 방안을 실현해 갔다. 6·23선언도 비슷한 목표를 가지고 발표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 이는 1972년7·4 공동성명 이후 활발해진 북한의 외교관계 수립과 세계보건기구 가입 등에 대처하는 측면이 컸다. 따라서 이는 남북한 간의 냉전의 연장선상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은 이러한 제안들을 화해를 위한 대화에 진지하게 임하기보다는 체제의 정당성을 선전하는 기회로 이용하는데 바빴다. 1973년 8월 김대중 납치사건, 1974년 8월 15일 문세광에 의한 박대통령 암살 미수사건 (육영수여사 저격), 같은 해 11월 북한군이 설치한 군사분계선 내의 땅굴 발견 사건 등은 남·북 관계에 진한 먹구름을 씌우고 대결구도를 한 층 더 강화시키는데 기여했다. 이는 남·북간 대화 시도가 각각의 국내정치·사회 영역에 이용되는 측면이 큰 것과도 연관이 컸다. 6·23 선언은 남·북 관계에 희망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히 의미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었으나 그 결과는 더 큰 좌절을 야기하는 사건들에 묻혀들어 갔다. 독일의 동방정책과 비교할 때 남·북간의 대화와 대화시도의 의미를 양 지역의 내적 요인들과 깊이 연관시켜 보아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President Park Chung-hee proclaimed a new concept of South-North relations in comparison to the hitherto position on June 23, 1973, to North Korea and all the nations of the world. This 6·23 Declaration represented the influence of West German Ostpolitik on Korean South-North relations at the time and it clearly showe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given up the Hallstein Doctrine and adopted from Germany the idea of SouthKorea and North Korea entering the U.N. separately. Of course, Park's regime stressed that entrance to the U.N. should not in any way imply acknowledgement of North Korea as a sovereign independent state; and it should also not hamper work towards reunification. Park underlined the will of his regime to inaugurate official relations with the countries which endorsed the separate existence of North Korea. It effectively meant that South Korea endorsed North Korea politically as West Germany had done with East Germany. August 8, 1973, it was reported that Kim Dae-jung, the leader of the opposition party and former presidential candidate, was abducted in Japan presumably by the KCIA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Three weeks after Kim's kidnapping North Korea announced that they refused all dialogue, including political discussion and the Red Cross talks, as an act of protest against the incident. Tragically, an assassination attempt was made on the life of President Park Chung-hee by one Mun Se-kwang. The assassination attempt was unsuccessful, but the President's wife was killed. This tragic incident dealt a mortal blow to the continuation of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South Korean people were shocked when they heard that the crime was conspired, organized, and executed over as long as two years or more under a careful plan mapped out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o make matters worse, three months later, on November 15, 1974, the spokesman of the U.N. Command announced the discovery of a tunnel which had been secretly dug by the North Korean army. According to the reports of the spokesman, the tunnel reached a point 1.2 kilometers inside the southern sector of the Demilitarized Zone (DMZ). The U.N. Command estimated that it was large enough for a full armed regiment to pass through very quickly. Moreover, a rail-line had been established in the tunnel so it was easily able to be used to transport heavy artillery weapo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terpreted the construction of this tunnel as the telling proof that the North had been preparing for a surprise attack, in spite of all its propaganda about peace. In this tremulous and dangerous context dialogu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n 1973-74 took on a fateful character. In 1974 Willy Brandt resigned from his post as Chancellor of the FRG and with this Ostpolitik began to loose its momentum and vitality. And, far away in northeast Asia, the tenuous attempts at rapproch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d lamentably reached a dead-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