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0년 한국영화

        노광우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1

        2010년에 개봉한 한국영화중 내가 본 작품은 스물두 편이고, 〈육혈포 강도단〉, 〈시〉, 그리고 〈이끼〉같은 주요작품은 아직 보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스물두 편을 공통점을 지닌 영화들을 범주로 묶어서 파악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Deconstruction of Western genre in the 1950s' and 1960's: Budd Boetticher, Sam Peckinpah, and Sergio Leone

        노광우,권재웅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4

        The Western, one of the most popular film genres, reached to the acme of its genre circulation in the 1950s. But, it showed the significant change in its narrative and convention gradually. It is regarded as the response to socio-historical transformation - the change of film audience, US intervention in Vietnam and 1960s social turmoil. This research explores the change seen in narrative and convention and examines new element and sensibility. It is based on the analysis of some Western films of 1950s and 1960s, which produced by Budd Boetticher, Sam Peckinpah, Sergio Leone. The 1950s Westerns are divided into two tendencies. First, the main characters allegorize nation building in the West. Second, on the contrary, stories and events are rather personal, and West or landscape is provided as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m. In the 1960s, the myth of nation building was not effective any more. Boetticher's two films are relatively close to romance Westerns, Peckinpah's two films are included in epic Western, but Ride the High Country is more romantic and more appealing for women. Leone's film is an action film that emphasizes stylish gun fighting and deals with personal struggles and private feud. The transition from Boetticher through Peckinpah to Leone is the intensification of violence and the marginalization of woman. Individual stories are just personal stories (Boetticher), the stories of deterioration appear (Peckinpah), or the stories are told and revealed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unfamiliar style (Leone). In any direction, cinematic violence increases, romance disappears, and the genre becomes more

      • KCI등재

        How John Ford's and Anthony Mann's Western Films Portrait the U.S. Social Change after the Second World War

        노광우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5 씨네포럼 Vol.0 No.20

        In USA, Cold War and unemployment were social problems while TV and European auteurist films threatened Hollywood film business. Audeince were differentiated film audience into entertainment seekers and serious adult theme-viewers. These changes resulted in the change of cinematic expression of U.S. filmmaking. Western, once considered as the most typical U.S. film genre and the myth of U.S. nationbuilding, was no exception.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changes are articulated in the postwar western films, especially three John Ford's films and two Anthony Mann's. John Ford's <My Darling Clementine> figured Wyatt Earp, the sheriff of multicultural town, Tombstone, as USA as an international superpower. <The Searchers> articulated the matter of postwar accommodation of war veterans as the Ethan Edwards who wandered to save his niece abducted by Indians. <The Man Who Shot Liberty Valance> raised the question of authenticity of traditional myth and legend. In Anthony Mann's <Bend of the River>, Glyn Mclintock, a guide for wagon trail for Oregon and a former outlaw during the U.S. Civil War, symbolized war-weariness. In <Man of the West>, Link Jones once engaged in robbery tried to break his dark past, war veterans’ break off with war experience.

      • KCI등재

        한국 대중영화의 여기자 재현

        노광우(Kwang Woo Noh),용미란(Mi Ran Yo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4

        대부분의 한국 대중영화와 드라마에서 기자는 부패한 권력과 야합하여 비리를 일삼거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캐릭터로 등장하고 있다. 문제는 부정적 측면에 치우쳐 형성된 기자 담론이 언론에 대한 국민의 불신감을 더욱 조장하고 있는 데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에서의 기자 재현은 언론의 신뢰도와 직결된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할 만한 현상이 대중영화에서의 여기자 재현이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대중영화에서 여기자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보고, 기자 담론 형성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2011년 작 <모비딕>과 2012년 작 <부러진 화살>에 대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3가지 유형의 여기자 재현양상이 도출되었다. 이 두 편에 등장하는 여기자의 긍정적인 재현상은 ‘변혁적 리더십’과 ‘정보기기 활용 능력’, ‘감성적 공감능력’이다. 첫 번째 유형은 <모비딕>의 조부장이다. 주체적 결정권을 가진 조부장의 등장은 언론 조직의 변화를 의미하며 인간적 배려와 지적 자극을 중심으로 한 조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21세기에 가장 이상적으로 요구되는 리더십 유형이다. 또한 조부장은 극 중 간부직 남성 기자가 권력과 유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 대비하여 본연의 역할 수행에만 충실하다. 두 번째 유형은 <모비딕>의 성효관 기자이다. 성효관은 정보화 사회에서 뉴미디어를 정보 수집에 능숙하게 활용하는 여기자로서 극 중 동료 남성 기자들이 일상적으로 부도덕한 행위를 자행하는 것과 대비하여 전문적이고 도덕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그러나 동료 기자로부터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한 명의 기자가 아닌 보호 대상으로 인식 되고 있는 점은 한계로 보인다. 세 번째 유형은 <부러진 화살>의 장은서 기자이다. 장은서는 여성 특유의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극 중 부당 권력의 피해자로 묘사된 김경호 교수와 박준 변호사 간의 매개자이자 정서적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보았을 때 기존의 남성 기자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여기자 재현이 대중영화에서 기자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긍정적 담론 형성에 기여하리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분석에서 드러났듯이 긍정적으로 재현되고 있는 여기자조차 현실에서 마주하고 있는 한계를 겪고 있으며 이것이 언론 사회에서 여기자를 일부라고 인식하게 한다는 점은 제한 점이다. 이는 긍정적 담론이 향후 성별을 막론하여 전체 기자 집단으로 전이되는 데 장애가 될 가능성이 있다. Recent Korean popular films and television dramas represent journalist as the character who colludes with corrupt power to engage in scandals or completes one’s goals by good or bad means. It matters that the negative discourse of journalists fosters audience’s distrust on journalism. Representation of journalists in popular culture i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journalism. In relation, it is noticeable that popular media represent female journalists. This study examines how recent popular films deal with female journalists through the case of <Moby Dick>(2011) and <Unbowed>(2012) to find improvement of discourse on journalists. In result, three female characters in these films represent positively ‘reformative leadership’ (Chief Cho in <Moby Dick>), ‘appropri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Seong Hyo Kwan in <Moby Dick>), and ‘emotional response’ (Jang Eun Seo in <Unbowed>). Compared to representation of journalists through male, the positive representation of female journalists constributes to positive discourse on role and function of journalism. However,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se positive representations are merely a part of whole journalis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