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천식 소아에서 가정용 연무기의 세균 오염 실태 조사

        유영 ( Young Yoo ),서강진 ( Kang Jin Seo ),김태연 ( Tae Yeun Kim ),이윤 ( Yoon Lee ),정지태 ( Ji Tae Choung ),노경호 ( Kyong Ho R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2

        목 적 : 최근 소아 천식 환자에서 연무기를 이용한 흡입 치료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에서 연무기를 이용하여 흡입 치료를 하고 있는 소아 천식 환자에서 연무기 기구의 세균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 가정에서 적절한 세척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방 법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과에서 가정용 연무기를 이용하여 흡입 치료를 하고 있는 천식 소아 중에서, 2006년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 동안 정기적인 외래 방문 시 가정용 연무기를 가져오게 하여 연무기 세척과 관리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하고, 연무기 약실, 마스크(또는 마우스피스)와 환아의 인두부를 도찰하여 세균 배양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55명의 검사 결과 27명(49.1 %)의 마스크(또는 마우스피스)에서, 24명(43.6%)의 약실에서 세균이 배양되었다. 동정된 세균은 Acinetobacter baumannii, Enterobacter cloacae, Klebsiella spp.와 Pseudomonas spp. 등 그람음성간균과, Staphylococcus aureus, α-hemolytic streptococcus 등 그람양성구균 그리고, Candida albicans 등이었다. 인두부 도찰물에서는 주로 α-hemolytic streptococcus, A. baumannii, Hemophilus influenzae, Streptococcus pneumoniae, C. albicans 등이 배양되었다. 7명에서는 연무기 기구와 인두부에서 같은 세균이 배양되었다. 설문 응답 결과 세균 배양 양성률은 세척을 자주 하지 않거나, 종이나 수건으로 닦거나, 건조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에 약간 높게 나타났고, 연무기의 종류나 사용 기간, 흡입 약제의 종류나 양과는 관련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가정용 연무기로 흡입 치료를 하고 있는 천식 소아의 연무기 약실과 마스크(또는 마우스피스)의 약 반수 정도에서 세균이 배양되었다. 최근 어린 천식 소아에서 가정용 연무기를 이용한 흡입 치료가 점차 늘어가는 추세이며, 건강한 사람에서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세균 집락도 천식과 같은 만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소아에서는 호흡기 감염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연무기 기구의 위생적 관리에 대한 의료진의 적극적인 관심과 철저한 보호자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Nebulizers are commonly used to treat children with asthma. Some pulmonary infections associated with contaminated nebulizer units have been report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whether home nebulizers are repositories of bacteria and to ascertain how asthmatic patients use and maintain their nebulizers at home. Methods : Fifty-five children with asthma aged 2 to 6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ents were asked to bring their child`s nebulizer units to regular follow-up visits. Bacterial sample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masks(or mouthpieces), nebulizer chambers and throat swabs were inoculated to blood agar, chocolate agar, and McConkey agar. Cultures were incubated at 5 percent CO2 incubator and observed after 24 hours. Par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nebulizer usage and care in their child. Results : Bacterial contamination was found in samples from 27(49.1%) of the 55 masks(or mouthpieces) and 24(43.6%) of the 55 chambers. The predominant microorganisms isolated were Acinetobacter baumannii, Bacillus subtilis, Klebsiella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The questionnaire revealed that 40 parents cleaned the nebulizer units with tap water(and soap) and dried then, as they had received cleaning and drying instructions from a medical staff member. Seven organisms from nebulizer units were indistinguishable from the patient`s throat isolates. Conclusion : We have demonstrated that home nebulizers in these asthmatic children were frequently contaminated with aerobic bacteria. Aerosolization might transmit these bacteria to their upper respiratory tracts.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home caregivers should include the principles of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ir child`s nebulizer unit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122-1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