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광자 현미경을 이용한 식물 내 엽록체의 in-vivo 이미징

        남효석(Hyoseok Nam),김혜구(Hae Koo Kim),이병학(Byunghak Lee),정보수(Bosu Jeong),윤상준(Sangjune Yoon),이상준(Sang-Joon Lee),김기현(Ki Hean Kim)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10 한국가시화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Information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organization of chloroplasts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photosynthesis and other related mechanisms such as transpiration. During high irradiance, chloroplasts are mostly distribu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ave maximizing their light harvesting function but also protecting lower living tissues from photodamage. In order to monitor such movement effectively, we developed a two-photon microscopy (TPM) which allows to visualize in-vivo 3D imaging of chloroplasts. We monitored the change in organization and distribution of chloroplasts of maize plants grown at high radiation. During the successive imaging of the same area, the plants were kept in the darkroom. In addition, the change in chloroplasts size and distribution was compared between a young leaf and a senescent leaf. Such basic studies are expected to provide new insights in understanding photosynthesis efficiency by analyzing the change in distribution and organization of chloroplasts.

      • 시설용수 공급 정화시스템 개발

        이광야 ( Kwangya Lee ),김해도 ( Haedo Kim ),최경숙 ( Kyungsook Choi ),남효석 ( Hyoseok Nam ),홍민 ( Min Hong ),손종화 ( Jonghwa Son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고소득의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위한 양질의 시설용수 공급을 위하여 우리나라 농촌현실에 적합한 수질정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필터제품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다 경제적이고 편의성을 고려하여 시설재배단지에 청정용 수공급을 목표로 여과와 흡착 그리고 자외선 모듈을 거치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현장 설치지역의 재배현황 및 수질을 조사하여 현장에 적합한 맞춤형 시설용수 공급시스템 요소기술을 설계하였고, 시작품을 제작하여 현장 설치를 위한 실내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시작품의 평가는 수질성능분석과 현장사용자모니터링을 통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작품을 개선보완 하고자 하였다. 수질성능평가에는 SS, BOD, 탁도, 대장균 수질항목이 사용되었다. 시작품 현장적용성평가를 위하여 대도시 근교의 시설재배가 많이 행해지고 있는 지구로 깨끗한 시설용수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수질성능시험과 사용자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시작품현장설치지점은 낙동강의 지류인 금호강 하류에 위치한 대구광역시 팔달동 일대의 시설단지내로 선정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지점은 금호강 하류지역으로써 도시 생활폐수 유입과 비점원오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곳으로 관개원수의 수질이 낮아 고품격ㆍ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곳이다. 시작품의 현장 적용성 평가에서는 시작품의 수질정화능력평가 및 사용자 입장에서의 개선점 파악을 실시한 결과 수질정화능력은 목표치 이상이었으나 여과필터의 위치, 양수기의 적정수압, 동절기 양수기 동파방지 대책 등의 개선점이 파악되었다. 평가결과로 시스템의 수질정화능력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살균, 부유물질 제거 및 BOD 저감 효율이 우수하여 고품질의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위한 양질의 용수 공급은 물론 영농작업 및 기타 농촌지역에서 발생하는 용수수요에 대해 편의 및 유해성에 대해 보다 안전한 수질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사용자모니터링을 통해서 제시된 시스템 사용상의 문제점을 개선 보완하여 사용상의 편의도 향상되었다. 그 외에도 본 시스템은 기존의 농업용 용수 공급 수로에 청정수 공급시스템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별도의 부지 확보가 필요가 없으며, 설치에 따른 비용이 크지 않은 장점이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