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Залоговы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имперсонального транзитива с творительным дополнением

        남혜현 한국슬라브어학회 2020 슬라브어연구 Vol.25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oice of the Russian impersonal transitive (e.g. lodku uneslo vetrom), which involves two arguments: an accusative and an instrumental. Most of the numerous studies on the Russian impersonal transitive focus on the formal make-up of these constructions and on their semantics. This article aims at to describe the Russian impersonal transitive in terms of voice. The impersonal transitive is usually considered to be a passive. The main property of a passive is subject demotion. In the impersonal transitive, NP in the instrumental case is the causer initiating an event, and it is considered a form of subject demotion. However, an impersonal transitive and a passive are not identical. This paper argues that the impersonal transitive is a mixed-voice construction because although the subject is marginalized, the object of action (the theme) remains in the accusative case, not moving to the position of grammatical subject, and the verb remains in the active voice. Therefore, unlike a passive, which focuses on the state of the object of an action, occupying the position of grammatical subject, in an impersonal transitive, no argument of the verb receives communicative saliency, and due to this, the action itself is focused. All of this creates the hybrid voice characteristics of the impersonal transitive. .

      • KCI등재

        러시아어의 타동성 교체: 양용동사를 중심으로

        남혜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9 슬라브어연구 Vol.24 No.2

        Labile verbs are verbs that can be either transitive or intransitive. They are divided into A-labile verbs and P-labile verbs. A-labile verb in transitive and intransitive uses has a syntactic argument with semantic role of agent. And the P-labile verb in both uses has an argument with semantic role of patient. As labile alternat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ausative alternations, we mainly analyze P-labile verbs in this paper. Labile alternation can occur in the direction from transitive to intransitive verb or from intransitive to transitive. In the first case, labile alternation is accompanied by the omission of agent-subject and the movement of patient to the place of subject. In the second case, it is made by lowering patient-subject to object’s position and adding a new argument-agent to the subject's position. Labile alternation expresses a change of valency, therefore it is directly related to other types of causative alternations, in particular, causative and anti-causative alternations. Since Russian has an anti-causative indicator –sja, in the Russian colloquial occasional labile alternation occurs more often in the causative zone, i.e. the direction from intransitive to transitive. .

      • KCI등재

        탈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정부의 러시아어 확산 정책

        남혜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1 슬라브연구 Vol.27 No.2

        소비에트 해체 이후 전 세계적으로 러시아어 사용자의 수와 사용 영역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러시아어 사용 지역이던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러시아어는 법적 지위의 하락, 러시아어 정보공간의 감소 등 다양한 도전을 받고 있다. 러시아어의 확산은 국가 위상 제고라는 추상적 의미에서뿐 아니라, 러시아연방의 국가 안보, 세계 각지에 형성된 루스키 미르의 정체성 확립, 전 세계에서 러시아 연방의 소프트 파워 강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탈소비에트 시기 러시아어가 처한 위협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이에 대처하는 러시아 정부의 언어 확산 정책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러시아어 도구-주어문에 대한 소고: [원인]으로서 도구-주어를 중심으로

        남혜현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1

        This paper examines instrument-subject alternation as a type of oblique subject alternation. Diverging from the typical subject as an animate referent with volition, instrument-subjects have intrigued many researchers. Instrument-subject alternation refers to cases in which the instrument argument is realized in the subject position when it is assigned the instrumental case in an agent-subject construction. The instrument-subject can be divided into the cause of the process and the possessor of the property. They are each given the semantic roles of [Cause] and [Them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strument-subject as [Cause]. Instrument-subject construction lowers the saliency of the agent and puts high saliency on the instrument. In this regard, certain constraints are placed on the instrument argument and the verb. Instruments that have relatively high visibility, automaticity, and mobility easily permit the syntactic promotion and cannot be combined with verbs that connote clear intentionality. Besides, events with instrument-subject constructions indicate a preferre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ing state rather than that of the agent-oriented process. Accordingly, the instrument-subject tends to combine with the perfective result verb among complex verbs consisting of the process and the state. Further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s with a lower saliency of agent is discussed, i.e. the indefinite-personal construction, passive, impersonal transitive, anti-causative construction, and instrument-subject construction. Among them, agent-subject constructions and the impersonal transitive in which the syntactic position of the agent clearly exists emphasize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cess, whereas other constructions in which this is uncertain lay emphasis on the result state. 본 논문은 사격주어 교체의 한 유형으로서 도구-주어 교체를 다룬다. 도구-주어는 의지를 가진 활성체라는 전형적인 주어의 개념에서 벗어나며 많은 연구자의 흥미를 끌었다. 러시아어 도구 주어 교체는 행위자-주어문에서 조격을 취하던 도구 논항이 주어의 위치에서 실현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도구-주어는 행위 수행의 원인과 속성의 보유자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원인]과 [대상]의 의미역을 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인]으로서 도구-주어를 살펴보았다. 러시아어 도구-주어문은 행위자의 현저성을 낮추고 도구에 높은 현저성을 부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구-주어문의 도구 논항과 동사는 일정한 제약을 갖는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시성과 자동성, 이동성을 가진 도구 논항이 도구-주어를 쉽게 용인하며, 명료한 의도성을 함의하는 동사들과는 결합할 수 없다. 이 밖에 도구-주어문이 지시하는 사건은 행위자 지향적인 과정의 해석보다는 결과 상태의 해석을 용인하므로, 도구-주어는 완료상의 결과동사를 선호한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도구-주어문을 행위자의 현저성을 낮추는 다른 구문들, 곧 비한정인칭문, 무인칭타동문, 수동문, 반사동문과 비교하며, 이들을 과정성과 상태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Некоторые размышления о заимствованиях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в плане нормы и нормализации

        남혜현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유럽사회문화 Vol.10 No.-

        소비에트 정부의 러시아어 규범화 정책과 오늘날 러시아의 공식적 언어 정책에는 순수주의(purism)적 접근이 반영되어 있다. 순수주의에서 차용어는 러시아어의 순수성과 규범을 훼손하는 공격적인 요소로 인식된다. 그러나 차용어에 대한 순수주의적 입장은 실재 언어 사용(language usage)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코제류의 <언어체계(system)-규범(norm)-언어사용(usage)>의 삼각도를 대입하여 현대 러시아어에서 차용어의 위상과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의 2장에서는 혁명 이후 소비에트의 언어 규범화 정책이 당시 사회의 주도적인 이념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개혁 이후 20세기 말부터 오늘날까지 현대 러시아 사회에서 강화되는 언어 순수주의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차용어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분석했다. 4장에서는 차용어가 현대 러시아어의 문법 구조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차용어가 명사이니만큼, 차용어의 곡용 양상을 주로 살펴보았다.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대부분의 차용어는 러시아어 명사류의 곡용 체계에 동화되어 격변화한다.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차용어는 형태 변화하지 않는데, 이 경우는 전통적으로 순수 러시아어휘도 곡용하지 않는다. 즉 대부분의 차용어는 러시아어 곡용 체계에 순응한다. 다른 한편, 불변화 차용어는 러시아어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분석화 경향을 강화한다. 전형적인 굴절어에는 가능한 모든 문법 정보가 하나의 형태소, 대개는 어미에 집중되며, 이를 통해 어미는 어형의 문법적 부류와 통사적 관계를 보여주는 표지가 된다. 그러므로 분석화 경향은 어미의 소실과 어미가 표현하는 의미량의 축소를 가져온다. 불변화 차용어는 어미가 표현하는 의미량 축소라는 러시아어의 통시적인 경향을 강화한다. 즉 차용어는 러시아어의 기존 규범에 순응하는 동시에, 러시아어의 체계 속에 잠재된 변화 경향, 곧 분석화 경향을 강화한다. 이러한 가설을 입증하는 예로서, 오늘날 차용어는 러시아어에 새로운 어휘를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특정 조어, 통사 구조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므로 기존의 언어 규범과 차용어의 대중적인 사용 사이의 갈등은 의식적이고, 이념적인 언어 정책이 아닌, 차용어의 단계적인 동화와 언어 체계 속에 내재된 잠재적 가능성의 실현을 통해 완화된다고 할 수 있다. 언어 규범의 형성에서 제도적인 노력은 물론 필요하다. 그러나 규범 그 자체가 실제 언어 사용으로부터 괴리되지 않기 위해서는, 즉 규범이 어떤 이념적인 목적의 산물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규범에 대한 논의는 항상 화자와 그의 실재 언어 사용에서 출발해야 한다.

      • KCI등재

        Анализ неопределенно-личных предложений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как диатетического явления

        남혜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3 슬라브어연구 Vol.18 No.1

        This article is based upon A. Izraeli's theory about subjectivity of language. According to her, Sl refers to a particular view of reality embodied in a language and its syntax. S2 is defined as “the result of a speaker's choice when the language offers different ways of describing given facts. Thus S2 involves the speaker’s personal judgments and attitudes towards the narrated event and/or the participants of the narrated ev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ion which means the subject of an action (an agent) may be removed from the position of the grammatical subject, or at all "behind the depicted scenes",indicating the reduction of personality, can be considered as a part of the S1 of the Russian language. Therefore, there are different types among the subjectless constructions and the choice of one of them depends on the communicative intention of the speaker, which is S2 of Russian language.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indefinite-personal construction and its synonymous relation with passive. Traditionally subjectless constructions have been discussed within the framework of transformational grammar, in particular, in the line with the passive diathesis. In this study indefinitepersonal constructions are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 diathetic derivation, the essence of which is the lowering of a communicative rank of the agent. This property, on the one hand, connects the indefinite-personal construction with the passive, and distinguishes it from the passive, because thepassive accompanies not only communicative and syntactic lowering of a subject, but also raising of an object. Finall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ynonymous substitution between indefinite-personal constructions and passive are analyzed. Due to semant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a null subject in the indefinite-personal constructions, their synonymous relations are possible only when the subject of passive satisfies the following requirements: personality, unexpressed form and distancing from the speaker.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мы основались на положении А. Израели о субъективности языка. Всоответствии с ее мнением, S1 указывает на определенный специфичный взгляд на мир,заложенный в самой синтаксической структуре языка, а S2 – на конкретный выбор говорящего,когда язык предоставляет ему больше двух возможных способов передачи внеязыковойситуации. Мы исходим из того, что концепция о том, что субъект действия может устранятьсяс позиции подлежащего или вообще оставаться "за кадром" изображаемой картины,сигнализируя о снижении персональности, составляет S1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Поскольку средибесподлежащных предложений имеется несколько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типов, выбор одного изних зависит от коммуникативной интенции говорящего, что составляет S2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Предметом нашего анализа послужили неопределенно-лич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как одна изразновидностей бесподлежащных предложений и их синонимичные отношения сбезагентивным пассивом. Традиционно бесподлежащные предложения обсуждались в руслетрансформационной грамматики. Многие ученые, подчеркивая устранение субъекта действияс позиции подлежащего, считали их производными конструкциями, подобными пассивам. Другие же достраивали в них нулевую форму подлежащего, согласуемого с формойсказуемого.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мы присоединяемся к той позиции, согласно которой НЛПрассматриваются как результат диатетической деривации, чья суть заключается в понижениикоммуникативного ранга субъекта действия, что, с одной стороны, сближает НЛП с пассивом,и с другой же стороны, отличает НЛП от пассива, так как последний сопровождает не толькопонижение субъекта действия, но и синтаксическое и коммуникативное повышение объектадействия. Синонимия НЛП с пассивом возможна безусловно при тождестве лексического значенияпереходного глагола-предиката. Однако, еще в силу субъектной семантики и структуры НЛП,синонимичная замена НЛП с пассивом может состояться только в тех случаях, когда субъект в пассиве удовлетворяет таким требованиям, как личность, неназванность идистанцированность субъекта от говорящего. Далее мы рассмотрели возможности иограничения синонимичной замены между НЛП и пассивом, исходя из референциальныхсвой ...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러시아 대중매체 언어와 소통의 전략

        남혜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2

        현대 러시아 저널리스트는 자신의 주관적 시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독자의 의식에 작용하여, 그를 자신의 의견에 동조하도록 유도하려는 새로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주관화, 민주화, 논증화, 지식화 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소비에트의 대중매체와는 구별되는 다양한 언어 현상들, 곧 평가성, 감정성을 강화하는 다양한 표현들, 선행텍스트의 인용, 대화구조가 폭넓게 관찰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들은 둘 이상의 소통 전략을 동시에 실현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조소적 평가성의 강화는 주관화와 지식화 전략의 실현수단이 된다. 대화성의 강화는 독자와의 언어적 근접을 목표로 하는 민주화 전략뿐 아니라, 논증화 전략의 실현수단이 된다. 선행텍스트의 인용은 지식화, 논증화 전략 뿐 아니라,민주화 전략을 실현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된다. 이렇게 다양한 언어 현상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소비에트 대중매체 언어는 러시아어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Петрова 외 20011:13)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생생한 구어형-집담체(устно-публичная речь)의 복원을 들 수 있다. 집담체란 개인간의 소통이 아니라, 대중을 상대로 하는 소통, 대중이 직접 참여하는 소통을 말한다. 여기에는 집회에서의 연설, 저널리스트의 기사, 인터뷰, 강의 등이 포함된다. 소비에트 시기에 구어형-집담체는 사전에 준비된 문어형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는 것에 불과했던 반면,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는 이전의 건조하고 교조적인 문체로부터 탈피한 생생한 표현력을 가진 공공-집담체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 외에도, 대중매체는 문체의 전반적인 수준 저하, 지나친 회화체 정향성, 비속어의 확산 등 러시아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러나 2005년에 <러시아연방의 국어법>(Закон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язык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이 제정된 이후 대중매체 텍스트의 점차적인 순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1990년대 말 사회의 변화가 대중매체 언어의 비규범성을 강화시켰던 반면, 2000년대에는 규범이 다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면서, 비규범적인 언어는 그 사용 동기가 명확한경우로만 제한되기 시작했고, 대중매체 언어의 공격성도 점차 약화되고 있다 (Беглова 2007:8). 본 논문에서는 대중매체 언어가 러시아어에 미친 영향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평가를 떠나서, 문체적 역동성과 언어규범의 확장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문법적 전이와 문법적 은유에 대한 재고

        남혜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7 슬라브어연구 Vol.22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notion of grammatical metaphors. Our starting point is the analyses of M.A.K. Halliday(1985) and E.I. Shendels(1972). Traditionally, a metaphor has been viewed as a variation in the use of words, i.e. a variation in meaning. Expanding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a metaphor, Halliday defines grammatical metaphors as "variation in the expression of meanings". Furthermore, he distinguished between two types of grammatical metaphors: ideational metaphors, which have to do with alternative ways of construing reality, and interpersonal metaphors, which offer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expressing modal meanings (metaphors of modality), or exchanging commands (metaphors of mood). In Russian linguistics, the term "grammatical metaphor" was first introduced by E.I. Shendels. According to Shendels, a lexical metaphor is based on the transfer of the name of one object to another due to some common ground. The same mechanism works in the formation of the grammatical metaphor. Thus the grammatical metaphor is a transposition of a grammatical form from one type of grammatical relations to another. As in the case of the lexical metaphor, the grammatical metaphor violates conventionality and creates new connotations. Such concept of the grammatical metaphor is closer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metaphors. Hence,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we define grammatical metaphors as a transposition of forms of the grammatical categories, i.e. the use of grammatical forms in an unusual function to create a figurative meaning. In this article, we briefly examined the conversion of such grammatical categories as person, number, gender, mood, as well as personal/impersonal and transitive/intransitive verbs. 본 논문은 문법적 은유라는 용어를 사용했던 할리데이와 쉔델스의 연구를 중심으로 문법적 전이의 의미적 효과와 문법적 은유의 경계를 논의했다. 쉔델스는 문법적 의미의 표현자로서 문법적 형태가 비관습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현상에 주목했고, 할리데이는 문법적 의미와 관계의 표현을 위해 전형적이고 관습적인 문법적 구성이 비관습적인 문법적 구성에 의해 대체되는 현상을 '문법적 은유'라고 명명한 것이다. 즉 쉔델스가 문법적 형태의 의미적 변이에 초점을 맞춘 반면, 할리데이는 한 의미를 표현하는 다양한 문법적 구성들의 변이를 주목한 것이다. 따라서 그들이 문법적 은유라고 명명한 현상들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지만, 현상을 분석하는 관점은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문법적 은유의 개념에 더 가까운 쉔델스의 관점을 수용하여, 문법적 은유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문법적 범주의 표현자로서 문법적 형태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이에 따라 문법적 은유란 일정한 문법적 범주의 형태가 특정한 비유적 의미를 구축하기 위해 원래의 의미가 아닌 다른 의미에서 사용되는 현상으로 이해한다. 그러므로 러시아어의 문법적 은유에는 어형변화범주와 분류범주에 따른 어형의 전이가 포함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가운데 인칭, 성, 수, 법, 행위의 인칭성/무인칭성, 자동성/타동성 범주의 전이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진실로 할리데이가 언급한 것처럼, ''문법적 은유''는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는 담화의 수 많은 현상들을 하나로 묶는 개념이다. 그러나 문법적 은유의 경계 설정에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우선 분류범주의 경계가 모호하다. 명사의 보통명사/고유명사, 추상명사/구상명사, 동사의 각종 동작상, 재귀동사/비재귀동사의 구분까지 분류범주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도 역시 문법적 전이의 대상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좀더 관찰이 필요하다. 또한 어형변화범주와 분류범주의 문법적 전이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좀더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밖에 비유에서 은유와 환유를 나누듯, 문법적 은유 외에 문법적 환유라는 현상이 존재하는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