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잉여(剩餘) ―빅테크와 양봉업자―

        남형두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2

        Big Tech is growing based on the cognitive surplus of platform users. Cognitive surplus refers to the use of the user’s spare time to leave ‘likes’ on the platform or to generate internet traffic or visit records of specific Internet sites. Although this cognitive surplus has no economic value in itself, Big Tech is creating tremendous business opportunities by adding innovative technologies to the cognitive surplus. If such cognitive surplus is extended to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author or data subject, such as copyrighted works of economic value and personal information, the discussion around cognitive surplus becomes more controversial. Big Tech has received various ‘legal supports’ — the fair use system under the Copyright Act, various exceptions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etc. Is it reasonable for big tech to take up all the fruits of its growth beyond a reasonable share of innovative technologies and the creative ideas of innovative entrepreneurs? The individual contribution of the vast majority of providers of cognitive surplus is very small. And since most of the cognitive surplus has little economic value, the reality is that only the innovative technology of big tech stands out. Most of the cognitive surplus is not subject to right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Even if it were, there are several difficulties in realizing the right to cognitive surplus.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current discussion of data ownership and argued that it could not be an alternative.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changed the previous judgment in the recent case of preven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ruled that unjust enrichment is recognized even if there are no damages/losses. Furthermore, a supplementary opinion to the majority opinion stated that undue gain can be established even without the intention or plan of loser’s using. This can provide a clue to the rights remedies of the cognitive surplus provider in the platform environment. Even so, it is difficult for providers of cognitive surplus to overcome the barriers of the current system and correct the distortion of the big tech ecosystem in the form of prevention of unjust enrichment claims. After arguing that the above legal solutions among private parties inevitably fail, I seek the way of public recovery. As part of that, I proved that there are ‘legal supports’ in helping the use of cognitive surplus by big tech rather than presenting a tax solution directly. This paper argues that ‘legal supports’ have gone beyond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ystems and are laying a solid road for Big Tech’s businesses. In this way, we need to closely monitor this ‘legal supports’ in order to keep big tech in check. And, as an alternative, I suggested that the huge profits that ‘legal supports’ brought to Big Tech should be recovered through taxation in order to recover development profits. On the other hand, these discussions could lead to unexpected results that provide a clue about raising funds for basic income. 빅테크가 플랫폼 이용자의 인지잉여라 불리는 여분의 시간을 이용한 활동에 터 잡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좋아요’나 인터넷 트래픽, 방문기록과 같이 개인에게는 경제적 가치가 없는 인지잉여에 빅테크의 혁신기술이 더해져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인지잉여를 저작물, 개인정보 등 주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 가치가 있는 정보에까지 확장하면 더욱 논쟁적으로 된다. 빅테크는 각종 ‘법의 지원’ —저작권법상 공정이용 제도, 개인정보 보호법상 각종 예외 제도 등— 을 받아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도 인지잉여를 무상으로/지속적으로 이용하여 성장엔진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혁신기술과 혁신기업가의 창발적 아이디어에 합당한 몫을 넘어 빅테크가 그성장의 과실을 전부 차지하는 것이 타당할까? 절대다수의 인지잉여 제공자 개개인의 기여는 매우 작고, 인지잉여의 대부분은 경제적 가치를 갖지 못하여 혁신기술만 돋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인지잉여의 대부분은 현재의 법 제도에서 권리의 대상이 되기 어렵고, 된다 해도 권리를 실현하기에 여러 점에서 부족한 것들이다. 이 논문에서 작금에 논의되고 있는 데이터 오너십을 살펴보고 그것이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 즉 ‘실패 논증’을 했다. 최근 부당이득 반환청구 사건에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종래 판결을 변경하여 손해·손실이 없어도 부당이득이 성립한다고 판결하였다. 더 나아가 다수의견에 대한 보충의견은 손실자의 이용 의도나 계획이 없어도 된다는 것이어서 플랫폼 환경 안에 있는 인지잉여 제공자의 권리 구제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소의 이익이나 경제적 실익 등 현행 제도의 장벽을 넘어야 한다는 점에서 부당이득 반환청구 형태로 빅테크 생태계의 왜곡을 시정하기는 역부족이다. 위와 같은 사법적(私法的) 해결의 실패 논증을 거쳐 이 논문은 공적(公的) 회수의 길을 모색한다. 그 일환으로 바로 조세적 해법을 제시하기보다는 빅테크의 무수한 인지잉여 무상·지속적 사용의 이면에 위에서 언급한 ‘법의 지원’이 있음을 밝혔다. 법의 지원이 제도의 본래 취지를 벗어나 빅테크에 복무(服務)하여 —예컨대 작은 이용자를 위해 설계된 공정이용 제도의 전용, 개인정보 보호 예외의 지나친 확대, 인터넷망 이용설비의 무상 사용, OSP 책임제한을 통한 면책 등— 빅테크의 영업에 탄탄대로를 깔아주고 있음을 들추어 냄으로써, 역으로 이런 법의 지원을 철저히 감시하되 그 지원이 가져온 막대한 수익을 일종의 개발이익 환수 차원에서 공적 회수의 방편으로 조세적 해결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기본소득 재원 마련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는 망외(望外)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KCI등재

        건강정보 빅데이터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 내 몸의 주인은 누구인가?

        남형두 한국정보법학회 2019 정보법학 Vol.23 No.3

        Today, the Internet and digitalization have produced big data, and big data is supported by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o make human life more profitable. In the process, the problem of copyright and privacy infringement is acting as a hurdle for big data companies. The conflict between the goal of promoting human health through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and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 privacy is becoming more sharp. Health information is being pushed into big data companies through the appearance of “prior consent” and “exception of protection”. In recent years, global IT platform companies have entered the healthcare industry directly and have been reborn as big health information companies by acquiring healthcare companies. These companies may also illegally transfer personal information or profit from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The problem is that the vast majority of individuals who benefit from free services such as email and SNS from global platform companies often don’t even know what damage they are doing, and it’s hard to quantify the damages, so they cannot sue against these platforms. It is virtually difficult to get legal relie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form of “prior consent” creates many gaps and holes in the “bank” of privacy with various exceptions and exclusions.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o sew the gaps and close holes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ect to effectively protect health informati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f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prevent the collection and movement of health information through ex ante regulation, mergers and acquisitions between companies that hold or trade health information and prevent global platform companies from controlling these healthcare companies are more realistic alternatives. Neglecting ex post regulatory measures, checks and checks, may lead to “exploded bank” rather than gaps and holes, and humanity may no longer be able to control their health information. There is a fear that my body will no longer be mine, but just one data that constitutes big data, and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means of capital and business. In the big data and commercia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fair trade law can be effective regulatory means. If the former is a “small knife,” the latter is a “big knife.” We believe that fair trade law response should be more specific for mergers and acquisitions between companies holding health information or attempts by global platform companies to acquire them. 오늘날 인터넷과 디지털화는 빅데이터를 낳았고 빅데이터는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력에 뒷받침되어 인류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만들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저작권과 개인정보 침해의 문제는 빅데이터 기업이 넘어야 할 허들로 작용하고 있다. 건강정보의 활용을 통한 인류 건강 증진이라는 목표와 이에 따른 개인정보/프라이버시 침해 사이의 갈등은 더욱 첨예해지고 있다. “사전 동의”라는 외관과 “보호의 예외”라는 형식을 통해 건강정보는 빅데이터 기업으로 몰리고 있다. 최근에는 글로벌 IT 플랫폼 기업들이 직접 헬스케어 산업에 진출하기도 하고 헬스케어 기업을 인수합병하는 방식으로 건강정보 빅데이터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이전하거나 맞춤형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기도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 주체가 입는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문제는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부터 이메일, SNS 등 각종 무료 서비스라는 혜택을 받는 절대 다수의 개인들은 자신들이 어떤 피해를 입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고, 나아가 피해를 계량화하기도 어려워 극소수의 거대기업인 이들 플랫폼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등 법적 구제를 받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는 것이다. “사전 동의” 방식의 개인정보 보호는 갖가지 예외규정과 탈법으로 개인정보 보호라는 “둑”에 많은 틈과 구멍을 내고 있다. 개인정보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해 개인정보보호법으로 그 틈을 꿰매고 구멍을 막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법으로 건강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기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사전적 규제를 통한 건강정보의 수집과 이동을 막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건강정보를 보유하거나 상품화하여 거래하는 기업 간의 인수합병과 글로벌 플랫폼 기업이 이들 헬스케어 기업을 지배하는 것을 막는 것이 보다 현실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사후적 규제 수단인 공정거래법적 감시와 견제를 소홀히 할 경우 틈과 구멍 정도가 아니라 “터진 둑”이 되어 인류는 자신의 건강정보를 더 이상 통제할 수 없게 될 지도 모른다. 내 몸이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데이터에 불과하게 되어 자본과 비즈니스의 논리에 따라 수단으로 전락하는 신세를 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건강정보의 빅데이터화와 상업화에서 개인정보보호법과 공정거래법은 효율적인 규제 수단이 될 수 있는데, 전자가 “작은 칼”이라면 후자는 “큰 칼”에 해당한다. 건강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 간의 인수합병이나 이들 기업을 인수하려는 글로벌 플랫폼 기업의 시도에 대해서 공정거래법적 대응이 보다 각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빅테크에 대한 국제사법의 대응 -구글 합의관할 사건 판결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남형두 국제거래법학회 2022 國際去來法硏究 Vol.31 No.1

        Unlike the dynamic structure of the parties in the conventional international transaction dispute, Big Tech, the one side in the platform environment, has more power than any sovereign state in fact to the extent that it exerts considerable influence in international politics, but the other side, as an ordinary individual user, is not comparable to Big Tech. It has such a weak power.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in power between the two. In addition, in the two-sided market connected mainly by platform companies, there are transactions between platform companies and multiple parties for each market, and the contracts are standardized and depend on typical terms and conditions. In relation to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such as the application of jurisdiction or applicable law, of course, there are exceptions to the terms and conditions, but they generally include regulations that are to be governed by the jurisdiction or law of the specific country where the Big Tech headquarters are located. In this process, individual users or small businesses, who are clearly one party to the international transaction contract, are at a very disadvantaged position in the choice of jurisdiction and applicable law. However, Korean courts tend to understand that it is unreasonable to ignore the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set by Big Tech to protect users spread across many countries. In this paper, I critically consider the judgment that the domestic court has no jurisdiction by recognizing the ‘Written Agreement’ in Article 29 Paragraph 2 of the Civil Procedure Act, which was made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document among the contents of the Google Terms of Service. I will point out the irrationality that occurs when the theory applicable to international trade disputes related to trade in goods and services is applied to international trade disputes in a platform environment with different contexts. Next, I will emphasize the need for private international law to respond more actively through a few cases of international transaction disputes that may arise in the platform environment. The platform domain is breaking down the traditional concept of sovereignty that presupposes borders and people. Big Tech, which has a stronger influence than most countries, is expanding its power in the platform area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Platform Imperialism’. In this process, judicial sovereignty is being dismantled, and the tendency of ‘commodification of laws’ is getting stronger. It concludes by calling for an active response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as part of a holistic response to big tech and platform imperialism based on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latform environment operated by Big Tech. 종래 국제거래 분쟁에서 당사자의 역학 구도와 달리 플랫폼 환경에서 한쪽인 빅테크는국제정치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정도로 사실상 웬만한 주권국가 이상의 힘을 갖고있으나, 그 상대방인 다른 한쪽은 일반 개인 이용자라는 점에서 힘의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연결되어있는 양면 시장에는 시장별로 플랫폼 기업과 다수 당사자 간 거래가 있는데, 그 계약은 정형화된 것으로서 전형적인 약관 형식에 의존하고있다. 약관에는 관할이나 준거법 적용 등 분쟁해결 절차와 관련하여, 물론 예외가 있지만, 대체로 해당 빅테크 본사가 위치한 특정 국가의 관할 또는 법률로 하도록 정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엄연히 국제거래 계약의 일방 당사자인 개인 이용자 또는 소규모기업은 재판관할과 준거법 선택에서 매우 불리한 지위에 놓이게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법원 판결은 다수 국가에 퍼져 있는 이용자 보호를 위해 빅테크가 정해놓은 분쟁해결절차를외면하는 것이 비합리적이라고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구글 약관 내용 중 전자문서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미국 법원을 관할로 정한 관할합의를 민사소송법 제29조 제2항의 ‘서면 합의’로 인정하여 국내법원에 관할이 없다고 한 이 사건 판결(서울고등법원 2020.6.9. 선고, 2019나2044652 판결)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종래 플랫폼이 아닌 환경에서 이루어진, 상품ㆍ서비스 교역에 관한 국제거래 분쟁에 통할 수 있는 이론을 맥락이 다른 플랫폼 환경에서의 국제거래 분쟁에 적용할때 발생하는 불합리를 지적할 것이다. 이어서 플랫폼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몇 가지 국제거래 분쟁 사례를 통해 국제사법이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할 것이다. 플랫폼 영역은 종래 국경과 국민을 전제로 하는 전통적인 주권 개념을 허물고 있다. 대부분국가보다 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빅테크는 플랫폼 제국주의(Platform Imperialism)로 불릴정도로 플랫폼 영역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사법주권은 형해화되고 ‘법률의 상품화’ 경향은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빅테크가 운영하는 플랫폼 환경에 대한 충분한이해를 바탕으로 빅테크와 플랫폼 제국주의에 대한 종합적 대처의 일환으로써 국제사법의적극적 대응을 촉구함으로 맺는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입법과제 - 장애인의 능동적 사회참여를 위한 기본 전제

        남형두 국회입법조사처 2015 입법과 정책 Vol.7 No.2

        Information accessibility enhancement for the disabled is a compulsory prerequisite for thei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Discussing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however, grounds that information divide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 disabled exists and has been intensified in an information society. Even though the divide has been deepened or improved depending on types of disability in an information society comparing to the past, the information society is the very time to effectively improve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While enhanc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copyright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issues aroused when it clashes with the third party’s rights. Provision of braille or magnified textbooks for disabled students or systematic amendments for improving accessibility of web 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are example cases that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enhancement of the disabled only limits the others’ convenience, not their rights. The matter of improving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is not only the prerequisite to guarantee the disabled to live as a decent human, but also a nationwide issue considering the integration of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장애인의 정보접근권 향상은 장애인의 능동적 사회참여를 위한 필수조건이다. 그런데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을 논의한다는 것은 곧 정보화사회에서 정보격차, 즉 비장애인과 장애인 간의 정보격차가 존재하고, 그것이 심화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정보화사회에서 장애 종별로는 과거에 비해 정보격차가 더욱 벌어지거나 좁혀지기도 했지만, 정보화사회는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호기다.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타인의 권리와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저작권이다. 권리가 아닌 편의를 제한하는 경우로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점자/확대 교과서 제공이나, 웹/앱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을 들 수 있다. 정보접근권 향상의 문제는 장애인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을 실현하기 위한 전제조건이기도 하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는 국민 전체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애인의 정보접근권과 저작권 - 디지털 시대의 장애인복지에 관한 사회적 모델의 적용 -

        남형두 법조협회 2011 法曹 Vol.60 No.7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of the disabled and copyright is a fundamental topic that induces contemplation on the purpose and nature of copyright law. The inherent limitations in copyright and human rights perspectives make inevitable exceptions and limits on copyright for the purpose of ensuring access to information of the disabled. Provided that the concept of a social welfare model for the disabled is embraced, new alternative techniques for the disabled require cutting the barriers of copyright. The current copyright law followed by numerous amendments has allowed more effective exceptions for the visually impaired who have difficulty in accessing information and has begun to serve the intended purpose with the newly revised library law. However, the copyright holder or publisher,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disable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like the three legs of a tripod, and thus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of the disabled will be significantly infringed if the balance among the three is lost. Because it is a constitutional requirement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disabled, the task of finding and maintaining the balance cannot be compromised, however difficult it may be. At this point in which there is a great discussion about the nature of copyright law, reflecting on the limitations on copyright in light of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of the disabled will not only serve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of the disabled, but als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on the nature of copyright law. 장애인의 정보접근권과 저작권의 충돌 문제는 저작권법의 목적과 저작권의 본질을 돌아보게 하는 매우 근본적인 주제이다. 저작권 자체에 내재하는 한계와 인권 측면에서의 접근은 장애인의 정보접근을 위한 저작권의 예외와 제한을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다.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대체기술의 출현은 장애인복지의 사회적 모델을 수용하는 한 장애인에게 대체기술을 이용한 정보접근이 용이하도록 저작권이라는 제도의 턱을 깎도록 요구한다. 현행 저작권법은 수차 개정을 통해 정보접근의 어려움을 겪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예외조항을 현실화하였으며 도서관법 개정과 맞물려 그 실효성을 보는 단계에 와 있다. 그러나 제도의 운용과정에서 저작권자 및 출판자, 국립중앙도서관, 장애인(장애인 시설) 등 3자는 마치 삼각대(tripod)와 같아서 그 위에 올려 진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이라는 그릇은 세 다리 중 어느 한쪽이라도 기울어져 균형을 잃게 되면 바닥에 떨어져 깨질 수밖에 없다. 균형을 이루는 것이 어렵다고 해서 포기할 수 없는 것은 장애인 인권을 보장하라는 헌법적 명령이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의 본질을 둘러싼 많은 논의가 있는 현 시점에서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이라는 인권 배려 차원에서 저작권의 한계를 살펴보는 것은 비단 장애인의 정보접근이라는 숙원을 해결하는 것을 넘어 향후 저작권의 본질 논의에 작게나마 기여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저작물성, 그 확대와 균형의 역사

        남형두 한국저작권위원회 2012 계간 저작권 Vol.25 No.4

        우리나라 저작권법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오랜 전통과 역사에서 나오는 문화강국의 잠재적 역량이 근대화 과정에서 잠시 문화수입국으로 전락하였다가 한류 열풍과 함께 문화수출국으로 급속도로 이행하면서 외부로 강력하게 표출되었는데, 이런 문화 및 문화산업의 환경적 변화가 저작권법 발전에 매우 큰 기여를 하였다고 생각한다. 이 과정에서 저작물성은 그 대상(subject matter)에 있어서 확대되었는가 하면, 그에 대한 반성으로서 창작성이나 표현 요건에서 엄격성이 강조되는 균형화(balancing)의 노력이 동시에 더해지면서, 창작자에 대한 보호와 이용자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문화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저작권법의 목적에 한층 더 부합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저작권의 역사와 철학

        남형두 한국지식재산학회 2008 産業財産權 Vol.- No.26

        It is the culture that the copyright really counts for. Due to the relativity which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s of culture, universal philosophy of copyright which is availabl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cannot exist. Historical approach is important in the point that philosophy cannot be actual apart from the context of the period. The traditions which justify copyright are divided into two; one is natural right tradition, the other is utilitarianism tradition. Under the civil law tradition countries, like France and Germany, copyright can help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s and intellectual works have moral relevance, which is a natural right. On the other hand, the common law tradition countries, like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consider justification of copyright as the result of the special relation between society and intellectual works. Copyright is recognized as a statutory right not as a natural right. Hopefully, this basic research o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copyright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solving international commerce problems like FTAs as well as the conflicts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