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경중재시술 준비단계에서 SKULL의 수직적, 수평적 대칭을 위한 고찰

        김성엽(Seong Yeob Kim),한성식(Seong Sik Han),남조현(Jo Hyun Nam),최준호(Joon Ho Choi),김진수(Jin Su Kim),이희정(Hee Jeong Lee),황선문(Sun Moon Hwang)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4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7 No.1

        목적: 본 연구는 신경중재시술 준비단계에서 Skull의 수직적, 수평적 대칭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그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23년 10월부터 2024년 1월까지 뇌혈관조영술을 받은 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육안적 대칭 교정 방법(그룹 A)과 좌표 밴드와 수평계 영점 기구를 사용한 대칭 교정 방법(그룹 B)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직적 대칭의 정량적 분석 결과 계관(Crista Galli)의 중심점에서 측두골(Temporal Bone)까지의 길이 차이는 A, B 두 그룹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4.90 vs. 1.51 mm, P<.001). 수평적 비대칭의 정량적 분석 결과 A, B 두 그룹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3.85 vs. 3.63 mm, P=.603). 수직적 대칭의 정성적 분석 결과는 A 그룹, B 그룹 모두 평가자 간의 일치도가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고(ICC=0.721), A, B 두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P<.001, P<.001). 수평적 대칭은 평가자 간의 일치도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ICC=0.144), A, B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P=1.00, P=.871, P=.935).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좌표 밴드와 수평계 영점 기구 사용은 투시 상에서 보여지는 Skull의 해부학적, 수직적 대칭에 효과적이며, 이는 뇌혈관의 해부학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다만 수평적 대칭의 효과성은 미비하였다. Purpose: This study proposes methods for achieving vertical and horizontal symmetry of the skull during the preparatory stages of neurointerventional procedures and aims to share our experienc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23 to January 2024, we analyzed 64 patients who underwent cerebral angiography. We compar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between Group A, which utilized visual symmetry correction methods, and Group B, which utilized coordinate bands and a horizontal level marker for symmetry correction. Results: Quantitative analysis of vertical asymmetry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 and B, with a length difference from the Crista Galli to the temporal bone of 4.90 mm in Group A compared to 1.51 mm in Group B (P < .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orizontal asymmetry between Groups A and B, with length differences of 3.85 mm and 3.63 mm, respectively (P = .603). Qualitative analysis of vertical asymmetry showed high inter-rater agreement within both Group A and Group B (ICC = 0.721),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 < .001). In contrast, inter-rater agreement for horizontal asymmetry was very low (ICC = 0.144),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Groups A and B (P = 1.00, P = .871, P = .935).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use of coordinate bands and a horizontal level marker was effective in achieving anatomical vertical symmetry of the skull as visualized in projections, thereby minimizing anatomical distortion during cerebral angiography.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achieving horizontal symmetry was limi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