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의 세기에 태어난 신인류, 덕후의 창작문화 - 자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남정숙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4

        문화콘텐츠분야와 미(美)산업분야 등에서 10대 청소년 소비자들의 영향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비해 서 10대 청소년 소비자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향후 영상 콘텐츠시장의 주도자이자 미래 시장창조자로 성장할 10대 청소년, 특히 영상과 이미지로 창작하고 소통하는 오덕후들의 창작커뮤 니티인 ‘자작캐릭터 커뮤니티’에 대한 분석을 통해 10대 소비자 문화를 연구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오덕 후들은 기존 사이버 공간에 기반 한 서비스형 상품이나 물리적인 실체의 제품들을 구입하거나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만화, 애니메이션, 대중가요, 인터넷 소설 등 서브컬쳐(subculture)를 중심으로 취향이 같은 사람들이 모여 집단생산, 집단향유, 집단소비하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프로슈머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만화, 애니메이션, 엔터테인먼트 등의 문화콘텐츠분야, 화장품과 패션, 스타일링 등의 미(美)산업분야, 성 적환타지와 이국적 문화, 트랜드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효용성, 개성, 편리와 같은 산업시대 구매가 치보다는 재미, 창조, 관계 등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고 있었다. 또한 오덕후들은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것 처럼 소외된 청소년들이 아니라 영상의 시대에 잠재된 폭발성을 지닌 창의적이며 전문적인 문화콘텐츠 리더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Although the influence of teenage consumers on cultural and aesthetic content increases, studies on teenage consumer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teenage consumer culture by analysing the creative culture of "DIY (Do-IT-Yourself) character community of Otaku. According to our study, Otaku does not consume physical or service product based on the cyberspace, but consumes the internet subculture such as animation, pop music and novels. Moreover they united people with similar taste and consumed the cultural products collectively in the cyberspace. They are interested in cultural contents, fashion, cosmetics, beauty industries, sexual fantasies and exotic culture and pursue new industrial values such as fun, creative and relationships. Therefore, they are not the isolated youth, but the creative and specialized cultural leaders in this new media era.

      • 신용카드 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행동변화에 관한 연구 : 신용카드 이용자를 중심으로

        남정숙,계선자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0 生活科學硏究誌 Vol.4 No.-

        Since there is advancing mass consumption age with higher rate in modern society the credit system has been increased. Conforming to this trend, the credit card, so-called "the third currency", showed up as one of the new purchase media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 of the living style, consumption pattern and purchas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consumers to have more rational cognition and contribute to the purchasing behavior. Thu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s cognition of credit card system and their changing rate of the purchasing behavior.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the cognition of the card user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credit card system,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2. Do the general purchasing behavior of credit card user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3. Does the change of the purchasing behavior show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the demographic and the item variables? 4. What are the realtionships between the users' cognition of credit card system and their changing rate of the purchasing behavio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en and women who live in Seoul and possess any credit cards. The 372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χ²-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user groups the cognition for the credit card system, according to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groups with the higher level of cognition tended to be men with younger age.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user groups in the general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groups with longer experiences in credit card usage tended to be men, younger age, higher income level, and married.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user group in their changing rate of the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and item variables. The groups with more changing behavior for the purchase tended to be women, in lower level of education, in lower position of occupation especially when they buy more expensive items. 4.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cognition of the user for credit card system and their changing rate of the purchasing behavior. The groups with higher level of cognition of the credit card system tended to show more changing rate of the purchasing behavio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on of credit card system, the higher the degree of changing rate of the purchasing behavior tended to b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us to develop many programs that help more consumers to better understand the credit card system.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which will direct the consumers specifically to have the rational usage of credit cards as well as stabilization of the credit society.

      • KCI등재

        컬덕트(Culduct)의 성공을 위한 팝아트 은유전송 전략 - 스와치와 루이비통 제품을 중심으로 -

        남정숙 ( Nam Jeong Su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소비자들이 기능적인 욕구보다 상징적인 가치를 추구하면서 예술을 활용하거나 예술 및 예술가들과 연계, 융합하는 문화마케팅에 대한 관심과 인지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명품에 팝아트 작가와 작품을 협업, 융합하여 창의적이고 차별화된 경영전략으로서 컬덕트(Culduct)가 각광받고 있지만, 전략적 툴이나 효과분석에 관한 이론이 뒷받침되어 주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경영학에서도 은유 및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은유가 소비자들을 결속시키고(Rentschler 외, 2012), 창의적이며 차별화된 전략이면서(Hunt, Menon, 1995), 동시에 가장 빠르고 영향력 있는 전략(Hunt, Menon, 1995)으로 실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Aaker, 1997; Rentschler 외, 2012)에도 불구하고 은유와 은유의 전송에 관한 연구는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Shelby D. Hunt, Anil Menon, 1995) 간과되고(Rentschler 외, 2012) 있는 형편이다. 본 논문은 Hunt & Menon (1995)의 `은유평가 Framework`의 은유와 은유전송 전략분석을 사용해서 스와치와 루이비통 컬덕트 분석을 통해 기존의 정량적방법이 아닌 예술고유의 이론적인 방법을 통해 창의경제시대 예술과 비즈니스 혹은 예술과 타 분야와의 융합과 협업 시 필요한 측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consumers are seeking rather symbolic value than functional needs, the interest and recognition in cultural marketing using art for developing products is growing. Recently, Culduct is spotlighted as a creative and differentiated business strategy in which pop art was applied for fusion products with luxury items. However, the theory for strategic tool or analysis of effects was not yet investigated. The study on the transfer of metaphor and metaphor is not well known(Shelby D. Hunt, Anil Menon, 1995) or overlooked (Rentschler et al. 2012), while metaphor and storytelling in business increasingly emphasized, bound consumers as a creative and differentiated strategy (Rentschler et al, 2012; Hunt, Menon, 1995), and has been widely used (Aaker, 1997; Rentschler et al, 2012). In this paper, a convergence method between business and art will be presented by metaphor analysis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Representatively, the successful strategy tools of Swatch & Louis Vuitton will be presented by analyzing the metaphor and metaphor transmission strategy of pop arts.

      • KCI등재

        웹드라마의 등장과 한국 포털의 대응전략 - 네이버의 영상 서비스 전략을 중심으로

        김동하,남정숙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3

        PC,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한 고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면서 사람들은 원하 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서 영상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됐다. 동시에 TV에 이어 등장한 디지털, 웹, 모바일 기반의 ‘뉴미디어’(new media)들은 영상 콘텐츠를 유통하는 ‘플랫폼’(platform)을 장악하 기 위한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지상파, 케이블, IPTV(인터넷TV) 뿐 아니라 전 세계 포털,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회관계망서비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뉴미디어 플랫폼 들은 경쟁적으로 동영상 서비스를 탑재하고 있다. 이처럼 미디어 플랫폼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킬러 콘텐츠’에 대한 수요, 특히 인터넷을 통해 TV, PC, 스마트폰 등 여러 기기에서 볼 수 있는 ‘웹드라마’(web drama)에 대한 수요는 점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해 외기업들의 콘텐츠 전략을 살펴보고 국내기업의 전략을 트래픽 데이터를 통해 추론해봤다. 결론적으 로 국내시장에서 네이버는 다양한 외부 콘텐츠 공급으로 신규사용자 수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자사 의 포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웹드라마를 독점적으로 서비스함으로써 고객들 을 모으고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략은 현재 전 세계적인 미디어 플랫 폼 경쟁에서 성공한 미국과 중국 뉴미디어 기업의 성공전략과 유사했다. 이는 웹드라마가 전 세계적 미디어 플랫폼 경쟁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콘텐츠 장르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 라서 본 연구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등장한 웹드라마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국내외 미디어 플랫폼들의 초기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웹드라마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Various media devices such as PCs, tablet PCs, and smartphones enable people to take advantage of high-capacity data communications, allowing them to watch video content anytime, anywhere. At the same time, post-TV new media based on digital, web, and mobile devices are in a fierce competition to become the dominant platform for video content delivery. New media platforms such as network TV broadcasts, cable content, IPTV as well as global portals, SNSs and mobile applications now provide video content. In the midst of such competition, the demand for 'killer content,' particularly for dramas which can be accessed by various web-enabled devices is growing.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 strategies of international companies and deduces strategies for domestic companies in terms of data traffic. The findings show that leading portal Naver, brings in new users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outside content in the domestic market. In addition, the company provides exclusive web dramas which can only be watched through the Naver portal or application to enhance user loyalty. This strategy resembles those used by US and Chinese new media companies, which have succeeded thus far in the competition over global media platforms. This fact implies that web dramas, a critical content genre,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in the media platform competition, also implying that this genre is gaining fresh attention.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aid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web dramas, which have arisen during a time of rapid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explores the initial strategies of new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dia platforms, thus attempting to estimate the growth potential of web drama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