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erzberg의 "two factor theory of motivation"의 경험적 검토 : 農村地域 보건직公務員을 中心으로

        南在鳳 高麗大學校社會學硏究會 1983 사회와문화 Vol.1 No.1

        본연구는 動機化에 관한 Herzberg의 two factor theory of Motivation이 一般約 으로 타당할 수 있는가, 없다면 어떤 조건 어떤 범위 內에서 타당할 수 있는가를 경험적으로 검토하여 봄으로서 그 결과의 含意를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Herzberg의 動機化 理論은 Maslow의 Human Action theory에 나타난 欲求(Needs)의 계층구조를 단순화하여 고통을 피하려는 動物로서의 욕구와 심리적으로 성장하려는 人間의 욕구로 二分하고 이에 따라 전자를 충족시켜 주는 요인을 術生要因(Hygiene Factor)으로 후자를 충족시켜 주는 요인을 動機賦與要因(Motivators)로 命名하여 動機化를위해서는 위생요인을 필요조건으로, 동기부여요연을 충분조건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위생요인의 충족은 만족을 높여주는 것이 아니라 단지 불만족을 줄여줄 뿐이고, 위생요인의 충족에 덧붙여 동기부여요인이라는 충분조건이 충족되어야 만족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생요인은 불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이고 동기부여요인은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이므로 만족과 불만족은 연속체상의 對極槪念이 아니라 別個의 개념이라고 본다. 이와 같은 Herzberg 理論을 假說化하여 農材地域 보건직 공무원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검증해본 결과, ① 동기부여요인은 만족과, 위생요인은 불만족과만 관계있는 것이 아니라 양자는 각각 만족과 불만족과 의미있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② 위생요인과 동기부여요인은 각각 독립적으로 딴족,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위생요연은 필요조건이고 동기부여요인은 충분조것이라는 것도 지지되기 어려우며 ③ 따라서 만족과 불만족은 則個의 槪念이라기 보다는 연속체상의 對極槪念으로 파악되고 있어 Herzberg 理論의 一般的인 타당성을 의문시하였다. 이와같이 一般的연 타당성이 의문시되는 결과는 調査技法上의 약간의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Herzberg 理論의 動機化 매카니즘이 누구에게나 同一하다고 너무 단순화한 間題點과 결부되므로 조직성원이 어떤 拉會的 地位를 갖고 있느냐에 따른 동기부여요연과 위생요연이 만족,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봄으로서 Herzberg 理論이 타당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하여 보았다. 경험적 검토 결과 性 學麗 收入 생활수준 등의 技會的 地拉에 따라 만족, 불만족에 미치는 각 요연의 영향이 각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 Herzberg 理論이 타당할 수 있는 특정조건을 발견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Herzberg 理論이 欲求(Need) 즉 人間의 내적 성향만을 고려하고 있을 뿐 구체적연 人間이 처한 技會構造的 要因이라는 외적요연을 간과하고 있다는 限界點을 지적하고 있어 動機化에 관한 설명은 人間의 殉的 성향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技會構造的 관정에 따른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Hergberg 理論이 人間의 욕구제충구조를 단순화하여 二分化하고 이에 상응하여 動機化要因 사이의 서열성을 지나치게 단순화시켰다는 批判과 관련하여 만족, 불만즉 결정요인들 사이의 서열성을 검토하여본 결과 單線的 서열체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어떤 서열성이 있다는 점만을 認定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욕구구조의 서열성에 상응하여 동기화요인 사이에 一般的연 서열체계가 형성되리라고 본 점은 문제시되며 욕구구조 서열성 자체가 단순하지 않거나, 비록 욕구구조상 단순한 서열체계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러한 욕구를 가친 조직성원의 사회구조적 위치 또는 조직자체의 특성 조직환경의 특성 등에 따라 동기화요인들 사이의 서열체계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정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경험적 검토 결과는 動機化에 관한 內容型理論의 一般的 限界點으로 拉會構造的 시각을 결여하고 있다는 정을 시사하고 있어 조직성원의 動機化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직성원의 內的 性向인 欲求에 덧붙여 조직성원이 처한 杜會的 前拉 및 조직자체의 특성조직환경 등 사회구조적 요인을 아울려 고려하는 杜會學的 관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같이 내적 성향과 외적요인으로서 杜會構造的 要因을 결합하여 動機化를 설명한다며는 기존의 說明 보다 한층 더 충실한 설명이 可能하리라 여겨진다.

      • 성과 청소년 비행

        남재봉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2 사회과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기존의 일탈연구에서 계급이나 계층보다 상대적으로 가볍 게 다루어온 성과 비행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과 비행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남녀의 일탈의 현저한 차이를 남녀의 생물 학적 차이나 사회 심리적 특성의 차이 또는 사회구조적 수준에서의 지 위특성의 차이로 설명하고 있다.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성에 따른 비행관련요인으로 차별적 성역할 정체감. 부모의 통제, 자아통제력 을 선정하고 이러한 3가지 요인이 어떻게 남녀의 비행의 차이를 설명 해줄 수 있는지 그리고 설명해준다면 모든 유형의 비행에 다 그러한지 를 한국청소년개발원의 2007년도 중2 패널 5차년도 전국조사자료의 통 계적 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분석결과 성과 비행과의 관계는 재산비행의 경우에는 의미 있는 관계 가 없고 사소한 지위비행의 경우가 폭력비행과 성비행의 경우보다 성 과의 관계의 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 비행관련요인과의 관 계는 차별적 성역할정체감, 부모의 통제, 자아통제력 순으로 성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나, 3가지 비행관련요인 중 비행을 설명하는 강도는 반대 로 자아통제력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부모의 통제이고 차별적 성역 할 정체감이 가장 낮았다. 청소년 비행의 경우 발생빈도의 대부분이 사소한 지위비행이었고 범 죄성이 있는 심각한 비행유형인 재산비행, 폭력비행 및 성비행은 발생 빈도가 미미하였다. 청소년이 범하는 비행의 대부분이 지위비행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성과 비행과의 관계는 성에 따른 부모의 통제의 차이, 차별적 사회화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의 차이 및 자아통제력의 차이가 남녀의 비행의 차이를 야기한다는 일반적 설명이 적절한 반면, 심각한 비행인 폭력비행, 재산비행, 성비행의 경우에는 비행유형별로 관련요인 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는 경우에도 관계의 강 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행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설명되어야 함을 암 시하고 있다.

      • 청소년 비행의 유형별 관련요인

        남재봉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1 사회과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청소년 비행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비행유형에 따른 관련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차이가 있다면 비행 일반을 설명하는 일반이론보다는 유형별 차이를 반영한 특수이론을 만드는 것이 더 적절한 것인지를 탐색해보려는 시도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청소년 비행은 음주, 흡연, 무단결석 등 사소한 지위비행이 대부분이고 심각성의 수준이 높은 폭력비행, 성비행, 재산비행은 현저히 낮았다. 그리고 비행유형별 비행관련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유형별로 관련요인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는 경우에도 관계의 강도를 비교하여보면 상이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결과가 비행유형별 특수이론을 만드는 게 더 좋을 것이라는 주장을 할 수 있는 근거로는 부족하였다. 왜냐하면 사회경제적 지위, 성, 학교유형 및 학업성적, 부모와의 결속 등은 비행유형에 따라 관계를 보여주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여 유형별로 차이나는 이론적 설명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하나, 비행친구와의 교제 및 자아통제력이라는 2가지 요인은 모든 유형의 비행과의 관련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비행을 설명하는 일반이론의 가능성을 여전히 담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행유형별 비행억제대책 수립에서는 비행관련요인의 상이성을 바탕으로 차이나는 대책 수립은 더 효과적이겠지만 이론적 차원에서 여전히 비행 일반을 설명하는 일반이론이 가능하고 필요하며 이를 보완하는 수준에서 유형별 특수성을 반영하는 특수이론의 모색도 필요함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