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 공설화장장의 산골시설 인식에 관한 연구

        남윤주,이필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4

        Korea, which has changed from burial-oriented culture to cremation culture due to the increase of cremation rate, preferred charnel: however, we have adopted the new processing method of cremated remains, 'natural burial' because of deterioration of charnel facility and the problems with imposed urns. Ashes are absolutely required due to the inefficient use of territory for charnel and natural burial and natural environment pollution, but this is out of legislative system in reality. This study will hold an investigation research on ashes that handles cremated remains which is not mentioned in 'Act on Funeral Services, Etc.' as well as investigate the present-condition of 'facilities for scattering cremated ashes,' as prescribed by law. As a result, there were 42 public crematoriums with a place for scattering cremated ashes, and the name of 40 of them were hill of grave. We conducted a survey to see if the workers at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new about hill of grave, 'the facilities for scattering cremated ashes.' The result showed 95.9% knew about hill of grave and 88.2% answered some improvement was partially need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cattering ashes facilities of public crematorium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present investigation. 화장률의 증가로 매장중심에서 화장중심의 문화로 바뀐 우리나라는 봉안을 선호하였으나 봉안시설의 노후화, 폐봉안함의 처리 문제로 화장한 유골의 새로운 처리 방법인 ‘자연장’을 도입했다. 화장이후 봉안과 자연장 방법 이외의 산골도 요구되고 있으나 현실까지는 법제화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화장한 유골을 처리하는 산골에 대한 문헌고찰을 장사등에관한 법률에서 정한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시설’에 대해 현황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시설은 공설화장시설 58개소 중 총 42개소가 있었는데 그중 40개소 시설의 명칭이 유택동산이었다. 수도권 공설화장시설 종사자에게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시설’인 산골시설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95.9%가 산골시설을 알고 있다고 했으며 88.2%는 개선할 부분이 있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는 현황조사와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골의 법제화와 산골시설의 다양화 및 현대화 등 개선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성장 단계에 따른 한국 재래 오골계 근육의 조직학 및 생리학적 특성

        남윤주,김동욱,최영민,류연철,이상훈,김병철,Nam, Yun-Ju,Kim, Dong-Uk,Choi, Young-Min,Ryu, Youn-Chul,Lee, Sang-Hoon,Kim, Byoung-Chul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한국 재래 오골계의 성장에 따른 조직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계군들의 체중, 흉근과 가자미근의 무게 측정 및 시료의 채취는 부화 직후 및 3, 5, 15주령에 이루어졌다. 근섬유 특성은 부화 직후에서 15주령까지의 오골계 흉근과 가자미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DNA, RNA 및 단백질 함량은 왼쪽 흉근에서 측정하였다. 체중의 상대적인 증가율은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슴의 무게는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 약 24.46배가 증가했으며, 가슴 중 흉근도 동일한 기간 동안 약 31.14배 증가하였다. 소퇴부 및 가자미근의 무게 역시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시기에 뚜렷한 증가가 나타났다. 모든 근섬유의 단면적은 성장 기간 동안 증가하는데, 15주의 실험 기간 동안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은 65배 증가($34.06\;{\pm}\;3.08$에서 $2238\;{\pm}\;177\;{\mu}m^2$)하였다.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은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는 약 18배, 3주령에서 5주령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약 1.6배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과 무게 역시 3주령 때까지 가장 큰 증가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핵산 및 단백질의 함량을 분석한 실험에서도 부화 직후에서 3주령 사이에 가장 큰 증가가 나타났는데, 부화부터 3주령까지의 기간 동안 각각 DNA 총량은 13배, RNA 총량은 21배, 단백질 총량은 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Korean native Ogol chickens (KNOC) development. The body weight, Pectoralis major and soleus muscle weights, and muscle samples were taken at hatching as well as at 3, 5, and 15 weeks of age. The fiber characteristics of the Pectoralis major and soleus muscles from the KNOC at hatching to 15 weeks of age were determined, and the deoxyribonucleic acid (DNA), ribonucleic acid (RNA), and prote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from the left Pectoralis major muscles. A greater increase in body and muscle weights was detected between hatching and 3 weeks of age than during any other period. Moreover, the cross sectional area (CSA) of the fibers, as well as the total concentration of DNA, RNA, and protein also showed a greater increase betweenhatching and 3 weeks of age than during any other period. The KNOC breed is a dual purpose breed, however, the it has lower body and muscle weights than commercial meat type chickens or layer type chickens. Moreover, the KNOC breed has a small muscle fiber CSA of and a low nucleic acid concentration.

      • KCI등재

        한국어 중의적 비교 구문의 처리에 관한 안구운동추적연구

        남윤주,박기효,홍우평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20 언어와 언어학 Vol.0 No.88

        We investigated (1) whether the preferred interpretation of ambiguous Korean comparative constructions would be shifted depends on lexical-semantic features, (2) whether the processing differences between the Plain-NP comparatives and the Clausal-NP comparatives would be revealed during online processing, and (3) whether the parallelism effect in comparative sentences would occur. The results in sentence completion and comprehension tasks showed that participants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in-NP comparatives and the Clausal-NP comparatives and distinguished them according to the meaning-based information such as the typicality of an event structure and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nouns which were the objects of comparing. The linear mixed-effects regression models in the eye-tracking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reading times when the nouns with semantically-related information were used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when the proper names were used. However, the parallelism effect was not revealed significantly.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semantic information does affect processing ambiguous comparatives, while it is unlikely that this effect is sufficient to lead the parallelism effect.

      • KCI등재

        공감 커뮤니케이션 모형과 관여수준

        남윤주,남승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proposed by the elaboration possibility model is effective in the same way in sympathy communication. Regarding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e level of involvement was divided into high, medium, and low levels, and the degree of information processing when messages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positive) and negative (negative) 217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AS 9.2. The differences of the ad response and the psychological response according to the level of involvement, message direction, and advertisement model were analyzed through binar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high involvement group showed the most favorable attitud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intention of the participants of the high involvement group was the most favorable, the participants of the middle level participation group were the next, the participants of the low involvement group had the lowest, and the difference was also significant. Third, the attitude toward the positive message is higher than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negative message, and the difference is also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volvement, the higher the degree of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greater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college students in leaving the trip than expected, and the positive direction I could confirm it again. 이 연구는 정교화가능성 모형이 제안한 정보처리과정이 공감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유효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정교화가능성모형과 관련하여 관여수준을 고/중/저 수준으로 나누어 검토하였고, 메시지가 자신에게 이익(긍정) 및 손실(부정)영역과 관련될 때의 정보처리과정도 함께 살펴보았다. 21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9.2를 이용하여 관여수준, 메시지 방향, 광고모델특성에 따른 광고반응과 심리반응의 차이를 이원분산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 관여 집단의 참가자들의 광고태도가 가장 호의적이기는 했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 관여 집단의 참가자들의 여행의도가 가장 호의적이고, 중간 수준의 관여 집단의 참가자들이 그 다음이었고, 저 관여 집단의 참가자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차이도 유의미하였다. 셋째, 긍정메시지에 대한 광고태도가 부정메시지에 대한 광고태도보다 더 높고 그 차이도 유의미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는 관여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의도가 높아짐을 보여주는 것이고, 여행을 떠나는 것에 대한 대학생들의 관심과 중요도가 예상보다 훨씬 강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고 메시지가 지향할 방향은 부정이 아니라 긍정임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인 후기 제2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미처리: 문장이해 과정의 국지적/전역적 의미통합에 대한 사건관련전위(ERP) 연구

        남윤주,홍우평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gnitive mechanism underlying L2 semantic integration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in Korean by Chinese late L2 learners. Using the violation paradigm, ERP responses of 17 intermediate level L2 learners of Korean were recorded, to local semantic incongruence between an adjective and a noun (*broken soup (vs. sweet soup)), and to global semantic incongruence between an object noun and a verb (*to repair soup (vs. to cook soup)) respectively. No ERP components reflecting the detection of semantic anomaly were observed in the local incongruence condition, whereas a biphasic N400 & P600 ERP pattern was elicited by the critical verb of the global incongruence condi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L2 learner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have largely dismissed the local integration, and concentrated rather on the global integration, which is inevitable for the grasp of the verb argument structure and hence much more important to represent the core meaning of the unfolding sentence. Based on this evidence, we argue that L2 learners might well adopt reasonable strategies for maximizing processing efficiency, although they need not be identical to those of native speakers at every stage of L2 development. 사춘기 이후에 제2언어(L2)로 한국어를 습득하기 시작한 중국인 후기 학습자(late learners) 중 중급 수준 이상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학습자들이 한국어 문장이해 과정에서 어떠한 인지신경기제에 의해 의미통합을 진행하는지를 사건관련전위(ERP, event-related potentials) 측정기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위반 패러다임을 이용한 ERP 실험 결과 형용사 수식어와 명사 사이의 국지적(local) 의미적합성 위반(*고장난 수프 (vs. 달콤한 수프))에 대해서는 아무런 ERP 성분도 검출되지 않은 반면, 목적어 명사와 술어 동사 사이의 전역적(global) 의미적합성 위반(*수프를 고쳤다 (vs. 수프를 끓였다))에 대해서는 N400과 P600의 이항적(biphasic) ERP 패턴이 검출되었으며, 두 가지 의미통합 과정이 상호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미처리 능력이 전반적으로 원어민의 그것에 미치지 못하는 후기 제2언어 학습자들이 문장 계층구조의 상이한 위치에서 진행되는 국지적 의미통합과 전역적 의미통합을 동시에 관리, 조정하기 힘들며, 따라서 문장 전체의 의미 표상에 훨씬 더 중요한 논항구조(argument structure) 처리에 직결되는 전역적 의미통합에 전략적, 선택적으로 집중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아동이 지각한 애착과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남윤주,이숙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8 놀이치료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depression and attachment, self-concept and usual stress (which) children perceived. For this study I evaluated CDI(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IPPA-R(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SCI(Self Concept Inventory) and usual stress by letting the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in Jeonnam Province and Gwangju City fill in the questionnaire and I took the t-test and ANOVA, Dunca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materials concerned. As a result, I found out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amily, the parents' wedding patterns and the subjective economy level among the social demographics factors of the children. And I observed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erception for attachment, self-concept and usual stress. Through this study I have found out that the children who thinking of themselves as negative and feeling constant stress in their daily lives had higher depression level than the children who aren't.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애착과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남 ․ 광주시의 초등학교 5, 6학년 2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용 우울검사,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애착척도, 자아개념 검사,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질문지법으로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중 가족 구조, 부모님의 결혼 형태, 주관적 경제 수준에 따라서, 그리고 애착,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정도에 따라서 우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아동의 우울에 대해 일상적 스트레스 변인군과 자아개념 변인군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친구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 외모에 대한 자아개념이 낮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이 낮을수록 우울 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다빈도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 개발

        남윤주,조철현,이유진,이헌정,Nam, Yoon-Ju,Cho, Chul-Hyun,Lee, Yujin,Lee, Heon-Jeong 대한수면의학회 2019 수면·정신생리 Vol.26 No.2

        목 적 : 본 연구는 대한수면의학회로부터 수면에 대한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을 모집하여 델파이 기법을 통해 수면진정제의 안전사용지침을 개발하고자 한다. 방 법 : 대한수면의학회 소속 수면 전문가 15인을 모집하였으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의 3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첫 델파이 조사는 3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에서 수면진정제 사용의 문제점을 환기하고, 안전사용지침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두번째 델파이 조사는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면진정제 처방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수집하였다. 세번째 델파이 조사는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1, 2차 조사를 통해 도출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에 대한 의견 동의율을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을 개발하였다. 결 과 : 17개 항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 동의율이 중앙값 4점 이상이었으며 평균 4.12, 표준편차 0.32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은 수면진정제의 처방, 유지, 그리고 감량 및 중단에 대한 총 13개의 지침을 제안한다. 결 론 : 증가하는 불면증 환자와 수면진정제 처방에도 불구하고 한국 임상 현실에 맞는 안전사용지침이 부재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을 통해 한국 임상에서 수면 비전문가들이 수면진정제를 처방할 시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처방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 and consensus-based clinical safety usage guidelines for sedative hypnotics using the Delphi technique. Methods: A group of 15 sleep experts from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were chosen for this study comprising a three-round web-based Delphi survey. The first round survey was composed of 39 questions to identify problems with sedative hypnotics usage in Korean clinical practice and the result roughly outlined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guidelines. The second round survey was composed of 21 questions to collect specific opinions of experts on clinically important issues in prescribing sedative hypnotics, and its result provided the basis for the guidelines. A third round survey ai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stablished guidelines. Results: In the third round, all 17 items showed a median of 4 or more, with an average of 4.12 and a standard deviation of 0.32. Thus we present safety usage guidelines with 13 propositions for prescription, maintenance, and withdrawal of sedative hypnotics. Conclusion: The safety usage guidelines on sedative hypnotics developed from this study could lead to safe and effective prescription of hypnotics in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for the non-experts in sleep medicine. Furthermore, the guidelines will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omnia treatment by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safe regime for sedative hypnotics without excessive use of drugs.

      • KCI등재

        행복과 신뢰가 낙관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남윤주,김명희,김항중,남승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s of happiness and trust on optimism and decision-making. Questionnaire including happiness, trust, optimism, and decision-making scales was organized to collect data from 511 people, ranging from teenagers to 60s living in Daejeon/Sejong/Chungnam.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used and two-way ANOVA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optimism and decision-making according to happiness and trust using SAS 9.4,. A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used were excellent. Second, happy people tended to be more optimistic than unhappy people. Third, high trust people tended to be more optimistic than low trust people.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 of happiness and trust on optimism was identified. Fifth, happy people tended to be more optimistic than unhappy people but was not significant. Sixth, high trust people tended to choose more rational than low trust people.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happiness and trust was identified in the rational decision type. These findings show that raising happiness and trust of people is an effective way to make people more optimistic and make better decis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행복과 신뢰가 낙관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전/세종/충남에 거주하는 10대부터 60대까지 511명을 대상으로 행복, 신뢰, 낙관성, 및 의사결정 척도를 포함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4를 이용하여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 행복과 신뢰에 따른 낙관성과 의사결정의 차이를 이원분산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였다. 둘째, 행복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낙관적이었다. 셋째, 신뢰가 높은 사람들이 신뢰가 낮은 사람들보다 더 낙관적이었다. 넷째, 낙관성에 대한 행복과 신뢰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행복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합리적인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여섯째, 신뢰가 높은 사람들은 신뢰가 낮은 사람들보다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에서 행복과 신뢰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는 사람들의 행복과 신뢰를 높이는 것이 그들을 보다 낙관적으로 생각하게 만들고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