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애도 경험 및 애도 상담의 질적 연구 동향분석 : 2011년~2020년 중심으로

        남수현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한국자료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2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진행된 애도 경험 및 애도 상담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애도 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애도 상담의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세월호 사건이 애도에 대한 관심을 키웠을 것으로 보며, 해당 사건이 일어난 2014년을 전후로 ‘애도’ 연구의 동향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내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애도’를 검색하였고, 총 48편의 질적 연구가 본 연구를 위해 최종 선발되었다. 분석 결과, 2011년에 1편이었던 연구는 점차 증가하여 2020년에는 11편(22.9%)으로 증가하였다. 연구유형은 사례연구가 18편(37.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현상학 연구가 9편(18.8%)으로 많았다. 연구대상은 중년여성(40~65세)이 33.3%로 가장 많았고, 애도 대상은 부나 모가 39.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자녀(13.8%)가 많았다. 상실의 종류는 죽음 상실이 87.5%로 가장 많았고, 죽음상실의 원인은 부모와 배우자는 병, 자녀는 자살, 사고사, 돌연사의 빈도가 동일했고, 형제자매는 자살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기술혁신 연구자 관계구조 분석:사회네트워크 관점

        남수현,설성수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기술혁신학회지 Vol.10 No.4

        We analyze the embedded structure of the cooperative research network of innovation studies in Korea by employing the social network methodology. The network covers all the contributing authors of two journals such as JTI and KTI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journals in the area. Across the networks, the following is noted: networks are highly segmented and the link density is low. However, the KTIS network contains a huge component with 131 authors which implies the existence of a strong cooperative research infrastructure. We derived three sub-networks such as technology economics, technology management, and technology policy. The technology policy network has the lowest link density, while the technology management network of KTIS shows relatively high cohesion among the researchers.Simulation analysis for the mean links of networks by author affiliation divided into university and other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networks. We also found a higher ratio of linkage within affiliated network than between networks, rejecting our hypothesis that researchers will not discriminate their research partners due to strong governmental inducement of academia-research-industry cooperation. The explainability of indices from network structure such as structural holes and clustering coefficients on the performance of researchers measured by the number of citations confirms the results reported in Oh, Choi & Kim (2006) which dealt with the research network of information systems. 본 논문은 사회네트워크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연구자간의 관계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기술혁신 분야의 두 학술저널인 「기술혁신연구(JTI)와 「기술혁신학회지(KTIS)」에 발표된 모든 논문의 저자들이다. 우리나라의 기술혁신 연구자 네트워크인 KTIS와 JTI의 일반적 특성은 네트워크의 분절화가 심하여 링크 밀도가 낮으나 KTIS는 네트워크의 중심에 131명의 연구자 그룹으로 형성된 큰 컴포넌트를 형성하고 있어 공동연구망이 견실하다. 연구분야별로는 기술정책분야가 가장 낮고, KTIS의 기술경영분야의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자의 소속을 대학과 대학외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그룹의 평균 링크 수에 대한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구조적 틈새와 클러스터링계수의 피인용횟수에 대한 설명력은 구조적 틈새는 유효하나 클러스터링계수는 유의하지 않아 기존의 경영정보 분야에 대한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남수현,김봉환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2012 대학생활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에 소재한 6개 대학교의 대 학생 총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은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 도 확신성은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위변인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부모양육태도와 진로 태도성숙 간에는 준비성과 독립성이 부모양육태도와 상관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과 부 모양육태도 간에는 부의 애정적 양육태도만이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아존 중감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고 특히 확신성에 대해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부모양육태도 중 자율적, 성취적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는 결정성을 제외한 모든 진로 태도성숙에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가 부모 양육태도보다 자아존중감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음을 확인한 것이며, 대학생의 진로태도성 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향상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한 점이다.

      • KCI등재

        애도 경험 및 애도 상담의 질적 연구 동향분석 - 2011년~2020년 중심으로-

        남수현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2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진행된 애도 경험 및 애도 상담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애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애도 상담 및 애도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애도’를 검색하였고, 총 48편의 질적 연구가 본 연구를 위해 최종 선정 되었다. 분석 결과, 2011년에 1편(2.1%)이었던 질적 연구는 점점 증가하여 2020년에는 11편(22.9%)으로 열 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유형은 사례연구가 18편(37.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현상학 연구가 9편(18.8%)으로 많았다. 연구대상은 중년여성(40~65세)이 33.3%로 가장 많았고 성인남녀가 25.0%로 뒤를 이었다. 애도 대상은 부나 모가 39.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자녀가 13.8%로 많았다. 상실의 종류는 죽음 상실이 87.5%로 가장 많았고, 부나 모, 배우자를 죽음 상실한 원인으로는 병이 가장 많았고 자녀를 죽음 상실한 원인은 자살, 사고사, 돌연사의 빈도가 동일했으며 형제·자매는 자살 빈도가 가장 높았다. 애도 관련 질적 연구자의 전공은 상담 심리가 27.1%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미술치료 및 예술치료가 18.8%로 많았다.

      • 당뇨병환자에서 호흡이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남수현,오용구,박경욱,윤영길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1 慶北醫大誌 Vol.22 No.1

        당뇨병환자에서 자율신경 기능장애를 알아내기 위한 검사로서 심호기 심흡기율이 건강인에 비해 떨어져 있음을 심전도를 이용하여 검사하므로서 환자 침대에서 간단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었다. 당뇨병환자는 안정시 정상인에 비해 빈맥이 있으며, 심박수의 감소 또한 유의하게 적었다. 특히 건반사가 이상이 있는 당뇨병환자에서 건반사가 정상인 환자에 비해 심박수의 변화가 유의하게 적었으며 건반사가 이상인 환자에서 심흡기 심호기율이 1.10 이하는 56명중 49명으로 88%나 되었다. Retinopathy가 있는 환자에서 역시 심박수의 변화는 유의하게 적었고 심흡기 심호기 율이 1.10 이하인 예가 47명중 38명으로 78%나 되었다. 또한 단백뇨가 있는 환자에서도 심박수의 변화는 그 정도는 낮았으나 유의하게 적었다. 당뇨병의 병력기간이 길수록 심흡기 심호기율은 더 작아지는 경향은 확실하며 저자의 예에서는 병력기간이 1년이상 5년이하까지는 1.11±0.21 이였고, 5년이 넘어서서 10년 이하에서 1.07±0.03으로 1.10을 하회(下廻)하였다. 이와 같은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심호흡시 흡기 호기의 율을 계산함으로써 외과수술환자의 급성심폐부전에 의한 높은 사망율을 줄이는 데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o find a simple and accurate test of autonomic nervous dysfunction in diabetes mellitus, we performed maximal deep breathing procedures while undergoing electrocardiographic recording at bed side. Normal indivisuals at rest show variation in heart rate induced by respiration. During maximal deep breathing these changes are accelltuated and electrocardiographic recording will show the increase in heart rate during inspiration and the decrease during expiration. This variation is reduced or abscent in diabetics with autonomic neuropathy. Forty eight of the 56 with sensory neuropathy(88%) had an DE/Dl ratio below of 1.10. Diabetics with retinopathy also had significantly smallest variation and thirthy eight of the 47 with retinopathy(78%) had an DE/DI ratio below of 1.10. Also diabetics with proteinuria had significantly smaller variation. Relation between duration of diabetics and DE/DI ratio was inverse proportion accurately. For example in diabeticc of duration which above 1 year and below 5 years DE/DI ratio was 1.11±0.21 and in diabtiecs with below 10 years duration was 1.07±0.03. Our study cleary shows that diabetics with sensory neuropathy have a high prevalence of autonomic dysfunction, with may be important clinically. Since sudden cardiorespiratory deaths are common in diabetics with autonomic neuropathy during and after sugery, the determination of the DE/DI ratio might be a suitable preoperative test for those diabetics at risk. Patients with an abnormal ratio should probably be closely monitered in an intensive care unit after operation.

      • KCI등재

        유전운동신경병증의 임상적 및 유전학적 진단의 최신지견

        남수현,최병옥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9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21 No.2

        Distal hereditary motor neuropathy (dHMN) is one of the most common hereditary neuropathies characterized by genetic and clinical heterogeneity. Various genetic causes have been identified and are classified into several subtypes. The dHMN types 1, 2, 5, 7, 8 and 9 are generally autosomal dominant, while dHMN types 3, 4 and 6 have recessive inheritance. Most chromosomal loci of the dHMN subtype are known, and several causative genes including HSPB8, HSPB1, HSPB3, GARS, IGHMBP2, SCL5A7 and DCTN1 have been identified. They may also show different phenotypes depending on each subtyp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genetic ca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 for diagnosis and tailored treatment. In this review, we introduce the latest classification of dHMN and describe its characteristics to help understand diseases, and establish new therapeutic strate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Knowledge Creation Structure of Big Data Research Domain

        남수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9

        We investigate the underlying structure of big data research domain, which is diversified and complicated using bottom-up approach. For that purpose, we derive a set of articles by searching “big data” through the Korea Citation Index System provi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 some preprocessing on the author-provided keywords, we analyze bibliometric data such as author-provided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 and journal characteristics. From the analysis, we both identify major sub-domains of big data research area and discover the hidden issues which made big data complex. Major keywords identified include SOCIAL NETWORK ANALYSIS, HADOOP, MAPREDUCE, PERSONAL INFORMATION POLICY/ PROTECTION/PRIVATE INFORMATION, CLOUD COMPUTING, VISUALIZATION, and DATA MINING. We finally suggest missing research themes to make big data a sustainable management innovation and convergence me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