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Oligomer 특성에 따른 Touch Panel용 UV 경화형 Ag paste의 물성연구

        남수용 ( Su Yong Nam ),구용환 ( Yong Hwan Koo ),김성빈 ( Sung Bin Kim ) 한국화상학회 2010 한국화상학회지 Vol.16 No.3

        최근 전자 디스플레이에서 각광받고 있는 터치스크린은 급속한 정보화 사회 속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터치패널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한 패널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패널용 Ag 페이스트는 대부분 열 경화형 페이스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열 경화형 페이스트는 건조공정에 따른 열 에너지 소비와 유기용제에 따른 작업환경 개선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는 열 경화형 Ag 페이스트가 아닌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UV 경화형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현재 시판중인 열 경화형 바인더 대신 UV 경화형 올리고머를 사용하였고 유동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단관능 모노머를 첨가하여 전도성 Ag paste 패턴형성을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열 경화형 Ag 페이스트만큼 접착력, 경도, 내성 등이 우수하였으며 미세패턴의 재현이 가능했으며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친 환경적인 패터닝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ecent spotlight on electronic touch-screen display, a rapid breakthrough in the information society is evolving. Touch panel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without the use of, the on-screen character or a specific location or object on the person`s hand touches a particular featur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a panel is to be handled. The touch screen on the touch panel is used in the Ag paste is used mostly for low-curable paste. The thermal-curing paste according to the drying process of thermal energy consumption and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organic solvents have problems. In this study, Ag paste used in the non-thermal curing friendly and cost-effective UV curable paste was prepared. Current commercially available thermal-curable binder, was used instead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UV-curable oligomers and monomers with functional groups to give a single conductive Ag paste with the addition of a pattern could be formed. Ag paste as a result, thermal-curing adhesive, hardness, resistance and excellent reproduction of fine patterns and was available with screen prin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uld see its potential as a patterning technolog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폴리머 다이렉트 그라비어 인쇄법에 의한 미세패턴 전극 개발

        남수용 ( Su Yong Nam ),구태희 ( Tae Hee Ku ),김성빈 ( Sung Bin Kim ) 한국화상학회 2013 한국화상학회지 Vol.19 No.4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법의 장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폴리머 다이렉트 그라비어 인쇄법을 이용하여 터치패널용 미세 전극 패턴형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분자량이 서로 다른 2종류의 epoxy binder와 3종류의 silver powder 및 carbon powder를 이용하여 Ag paste를 제조하여 전극패턴 형성 및 이에 물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flake/spherical hybrid 및 고분자량의 epoxy binder로 제조한 Ag paste가 접착력과 전도성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0/30㎛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TI치가 3.6정도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롤투롤 인쇄법인 폴리머 다이렉트 그라비어 인쇄법으로 30/30㎛ 전극패턴 형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o complement the benefits of gravure offset printing method, by using the polymer direct gravure printing method, we examined the formation of the fine electrode pattern for touch panel. Two different types of molecular weight epoxy binder and three kinds of silver powder and carbon powder were prepared making Ag paste and the electrode pattern formation and their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hat the conductive and adhesion are more excellent Ag paste as prepared in epoxy binder of high molecular weight and flake / spherical hybrid. To implement the 30/30㎛ pattern,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about 3.6 is appropriate for TI value. In conclusion, it found that the formation of the 30/30㎛ electrode pattern can be polymer direct gravure printing method in roll-to-roll printing.

      • KCI등재후보

        구형 실리콘 태양전지용 Silver paste 물성 연구

        남수용 ( Su Yong Nam ),오태헌 ( Tae Heon Oh ),김성빈 ( Sung Bin Kim ) 한국화상학회 2010 한국화상학회지 Vol.16 No.3

        스크린 인쇄공법을 이용하여 구형 실리콘 태양전지용 전면 전극을 제작하였고 그 물성을 검토하였다. 집광형 구형 실리콘 태양전지는 종래의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 설치비용 중 21%를 차지하는 실리콘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볼 형태의 구형 실리콘을 사용하였고, 입사되는 태양광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된 집광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 필러로써 Flake 형태의 Ag 파우더를 사용하였고, 기재와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유기 바인더로서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아크릴수지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에폭시수지 고형분 12%를 첨가한 paste가 기재와의 접착성, 태양전지 광전변환 효율, 내구성에서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Screen printing process using a spherical silicon solar cell was fabricated and that the front electrod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Spherical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of the conventional cost of installing solar power systems, accounting for 21% of the silicon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in the form of spherical silicon ball was used in order to take full advantage of incoming solar panels, aluminum condensing to use and much more. Flake as conductive filler in the form of Ag powder was used to give adhesion to write as an organic binder for epoxy resins, polyester resins, acrylic resins were compared, and epoxy resin, containing 12% solids paste board with the adhesiv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solar cells, it was found that the most excellent in durability.

      • KCI등재후보

        주쇄형액정의 상전이거동과 열역학 특성

        남수용(Nam Su Yong) 한국화상학회 1997 한국화상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주쇄형고분자액정의 모델화합물인 이량차액정 NCΦΦ0(CH_2)nOΦΦCN(CBA-9, 10)을 사용하여 PVT, DSC, DTA, ^2H-NMR측정으로부터 주쇄형액정의 상전이거동과 열역학특성을 검토하였다 CBA-9, 10은 crystals↔nematic(CN)과 nematic↔isotropico(NI)전이를 나타낸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PVT측정으로부터 일정 체적하에서의 CN 및 NI전이엔트로피는 전체엔트로피의 40~60%이였다. 또한 ^2H-NMR측정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2H-NMR/RIS해석으로 CN 및 NI전이에 따른 conformation 엔트로피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PVT에서 얻은 실험치와 비교해 본 결과 오차를 고려하면 잘 대응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전이에 있어서 열역학특성을 결정하는데는 spacer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work, PVT, DSC, DTA and 2^H-NIM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α,ω0-bis [(4,4`-cyanobiphenyl)oxy]alkane (CBA-n) dimer liquid crystals having-O(CH_2)nO-flexible space. (n=9, 10). Both samples exhibit crystals↔nematic (CN) and nematic↔isotropic (NI) transition. We have determined the volume chang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pressure by using a GNOMIX PVT apparatus. For both trans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rrection about the volume change is significant, ranging from 40 to 60% of the total transition entropy observed under constant pressure. The ^2H-NMR spectra were recorded on a JEOL JNM-GSX-500 spectrometer by using deuterium labelled CBA-n at various temperatures. The RIS analysis of the NMR spectra was performed so as to elucidate the con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r in the nematic phase. The conformational entropy changes at both CN and NI interphases were estimated on the basis of the nematic conformations. The esimated conformational entropy change values were then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constant-volume entropies obtained from PVT measurements. The correspondence between both entropy values was found to be quite good in consideration of the uncertainties involved in both experiment and calculations. The phase transition entropies (△S_tr)_v of dimer liquid crystals may be mostly due to the conformational transformation of the spacer. The important role of the flexible spacer in determining the thermodynamic properties has thus been demonstrated.

      • KCI등재후보

        그라비어 오프셋에 의한 미세패턴 전극 개발

        남수용 ( Su Yong Nam ),김상진 ( Sang Jin Kim ),손경천 ( Kyoung Cheon Son ),박창원 ( Chang Won Park ) 한국화상학회 2010 한국화상학회지 Vol.16 No.4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공법을 이용하여 미세 패턴 전극 Paste를 제작하였고, 그 물성을 검토하였다. 전도성 필러로써 Flake 형태의 Ag 파우더를 크기별로 비교 검토하였고, 유기 바인더로써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에폭시 수지 고형분 8%를 첨가하고 2 μm의 Ag 파우더가 기재와의 접착성, 전도성, 내구성에서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experimantation was processed by producing fine pattern electrode Paste and tested the properties with using gravure off-set process. The experiment followed these 2 steps. First, as a conductive filler, The various sized Flake typed Ag powder has reviewed and compared. Secondly, as organic binder, the experimentor Compared epoxy resins, acrylic resins and so on.As the result, Addition of 8% solids epoxy resin and adhesive with 2 μm the listing of the Ag powder,conductive, it was found that the most excellent in durability.

      • KCI등재후보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용 블랭킷 물성에 따른 전도성 패턴의 연구

        남수용 ( Su Yong Nam ),김상진 ( Sang Jin Kim ) 한국화상학회 2011 한국화상학회지 Vol.17 No.4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공법을 이용하여 미세 패턴 전극을 형성하였고, 패턴 형성에 대한 블랭킷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블랭킷의 용제 흡수량과 경도의 차등을 주어 실험을 하였다. 그라비어 오프셋은 블랭킷이 얼마나 용제의 흡수와 배출을 적절하게 하느냐에 따라서 연속인쇄성과 여러 가지 인쇄적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총 4가지의 종류별 블랭킷의 테스트 결과 흡수량이 가장 높고 경도가 가장 낮은 블랭킷이 4가지 블랭킷 중 가장 인쇄적성과 전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 is processed by producing fine pattern electrode the properties with using gravure off-set process. For pattern formation to assess the impact of blanket of the hardness of the solvent absorption ratio were carried out given the differential. Gravure off-set blanket, how the absorption and emission of solvents appropriately Depending continuous printing and man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inting ability is detrimental. Blanket total of four categories the lowest hardness of the test results with the highest solvent absorption ratio blanket most of the four blanket excellent printability and conductivity could see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