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PLC-DAD를 이용한 차조기 잎의 Isoegomaketone 및 Perillaketone의 동시분석법 확립

        남보미,진창현,이승영,김진백,강시용 한국생약학회 2016 생약학회지 Vol.47 No.1

        This study developed an HPLC analys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isoegomaketone (IK) and perillaketone (PK) in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leaves. P. frutescens ethanol extract was optimized through an HPLC analysis using a C18 column (250 X 4.6 mml, D, S-5 mm, 12 nm) with gradient e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as the mobile phase at a flow rate of 1 mL/min and a UV detection wavelength of 254 nm. The results of this method showed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at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IK 0.9995, PK 0.9998. The limits of detection (LOD) for IK and PK were 0.234 mg/mL and 0.952 mg/mL.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for IK and PK were 0.017 mg/mL and 0.043 mg/mL. The inter-day precision RSDs of IK and PK in the P. frutescens were 1.25 to 2.69% and 0.36 to 1.10%, respectively, and the intra-day precision RSDs of IK and PK were 0.96 to 2.51% and 0.90 to 1.93%, respectively. The accuracies of IK and PK were 96.31 to 97.92% and 101.26 to 105.14%. In conclusion, this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the detection of IK and PK in P. frutescens.

      • KCI등재

        청량산(봉화군, 안동시)의 관속식물상

        남보미,김재영,정 선,이재현,남명자,오병운,정규영 한국자원식물학회 201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8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Mt. Cheongnyangsan (870 m) in Gyeongsangbuk-do.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collected 16 times 2006 and 2014 consisted a total of 614 taxa; 97 families, 330 genera, 541 species, 3 subspecies, 61 varieties and 9 forms. For the Korean endemic plants, 21 taxa were recorded and 8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5 taxa of Least Concerned species (LC)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Furthermore, Ⅴ, Ⅳ, Ⅲ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2 taxa, 10 taxa and 18 taxa, respectively. Moreover, four species of distributional interesting plants,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Allium spirale Willd., Dipsacus japonicus Miq. and Pinellia tripartita (Blume) Schott, in Mt. Cheongnyangsan were discovered by this study. Among them, edible, pasturing, medicinal, ornamental, timber, dye, fiber and unknown usefulness plants included 234 taxa, 213 taxa, 174 taxa, 62 taxa, 16 taxa, 12 taxa, 11 taxa and 167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32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본 연구는 경북 봉화군 명호면과 재산면, 안동시 도산면과 예안면에 걸쳐 위치하는 청량산(870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밝히고 주요 자원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6년 3월부터2014년 10월까지 총 16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총 97과 330속541종 3아종 61변종 9품종 6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21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취약종은 8분류군, 약관심종은 5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V등급이 2분류군, IV등급이 10분류군, III등급이 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량산에 분포하는 분포특이종으로세뿔투구꽃, 산토끼꽃 등 4종이 조사되었다. 이들은 유용성에따라 구분하면 식용 234종류, 사료용 213종류, 약용 174종류, 관상용 62종류, 목재용 16종류, 염료용 12종류, 섬유용 11종류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167종류(27.2%)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2분류군으로 귀화율은5.3%, 도시화지수는 10.0%로 나타났다.

      • KCI등재

        면산·묘봉(태백시, 삼척시, 봉화군)의 식물상

        남보미,정 선,김민근,정규영 한국자원식물학회 201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7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Mt. Myeonsan (1,245 m) and Myobong (1,168 m)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collected 15 times from April 2012 to October 2013 consisted a total of 551 taxa; 96 families, 314 genera, 489 species, 3 subspecies, 54 varieties and 6 forms. The plants that are specially noteworthy are 17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2 taxa of Critical Endangered Species (CR), 3 taxa of Endangered Species (EN) and 12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in rare plants as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Furthermore, Ⅴ, Ⅳ, Ⅲ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s categoriz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2 taxa, 22 taxa and 26 taxa, respectively. Among them, edible, pasture, medicinal, ornamental, timber, dye, fiber, industrial and unknown usefulness plants included 215 taxa, 184 taxa, 163 taxa, 59 taxa, 17 taxa, 6 taxa, 5 taxa, 5 taxa and 138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5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 삼척시,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하는 면산(1,245 m) 및 묘봉(1,168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밝히고 주요 자원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2년 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96과 314속 489종 3아종 54변종 5품종의 총 55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17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이 2분류군, 위기종이 3분류군, 취약종이 12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중 5등급이 2분류군, 4등급이 22분류군, 3등급이 2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식물 215분류군, 목초용 184분류군, 약용식물 163분류군, 관상용 59분류군, 목재용 17분류군, 염료용 6분류군, 섬유용 5분류군, 산업용 5분류군,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138분류군으로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25분류군으로서 귀화율은 4.5%,도시화지수는 7.8%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산 백운풀속(꼭두서니과)의 화분학적 연구

        남보미,정규영 한국식물분류학회 2011 식물 분류학회지 Vol.41 No.2

        The pollen of 5 taxa on Korean Oldenlandia L. was investigated by LM and SEM. The pollen grains were monads, 20.7−36.0 μm in polar length, with an equatorial diameter of 21.0−38.4 μm. The pollen shapes were oblate-spheroidal or spherical (P/E ratio 0.93−1.00). The apertures numbered 3−7 in number, colporate in shape, with a colpus length of 4.2−20.4 μm and a colpus width of 2.6−3.4 μm. The sexine was 0.9−2.4 μm in terms of its thickness, the surface pattern was reticulate, scabrate or neith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ze of the pollen grain, the number of apertures, and the surface pattern of the sexine were all useful for an interspecific classification. The genus Neanotis, established via the pollen characteristics, was thought to be reviewed in its entity regarding the continuous variation of generic characteristics. 한국산 백운풀속 5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모두 단립이며, 극축의 길이는 20.7−36.0 μm, 적도면의 너비는 21.0−38.4 μm으로 세립 또는 중립이다. 화분의 형태는 P/E가 0.93−1.00로서 약단구형 내지 구형이다. 발아구의 수는 3−7개, 발아구의 형태는 공구형이며, 구구의 길이는 14.2−20.4 μm, 너비는 2.6−3.4 μm이다. 외표벽의 두께는 0.9−2.4 μm이며, 표면무늬는 모두 망상으로 미립돌기가 있거나 없었다. 본 속의 화분형질 중 화분의 크기, 발아구의 수, 표면무늬에 미립돌기의 유무는 속내 종간 식별형질로서 매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화분형질에 의해 설정된 Neanotis속은 형질의 연속적인 변이에 의해 속의 실체에 대하여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한국산 나비나물속(콩과)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남보미,박명순,오병운,정규영 한국식물분류학회 2012 식물 분류학회지 Vol.42 No.4

        한국산 나비나물속(Vicia)에 속하는 10분류군의 체세포 염색체수와 그 중 6분류군에 대한 핵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나비나물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2n = 12, 14 또는 24로서, 기본 염색체수 x = 6 또는 7의 이배체와 사배체로 밝혀졌다. 한국특산식물인 나래완두(V. hirticalycina, 2n = 2x = 12)의 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가는살갈퀴(V. angustifolia, 2n = 2x = 12), 등갈퀴나물(V. cracca, 2n = 4x = 24), 새완두(V. hirsuta, 2n = 2x = 14), 얼치기완두(V. tetrasperma, 2n = 2x = 14 + 2B), 벌완두(V. amurensis, 2n = 2x = 12), 노랑갈퀴(V. chosenensis, 2n = 2x = 12, 12 + 2B), 나비나물(V. unijuga, 2n = 4x = 24), 애기나비나물(V. unijuga f. minor, 2n = 4x = 24), 광릉갈퀴(V. venosa var. cuspidata, 2n = 4x = 24)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기존의 보고들과 일치하였다. 핵형분석 결과, 등갈퀴나물은 2 m + 8 sm+ 2 st, 벌완두는 2 m + 2 sm + 2st, 나래완두는 3 m + 1 sm+ 2 st, 나비나물과 애기나비나물은 4 m + 6 sm + 2 st, 광릉갈퀴는 4 m + 8 sm로 각각 조사되었다. Somatic chromosome numbers for 10 taxa and karyotypes analysis for 6 taxa of Korean Vicia were investigated.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treated taxa were 2n = 12, 14 or 24 and therefore they proved to be diploid or tetraploid with basic chromosome numbers of x = 6 or 7. The chromosome number of V. hirticalycina (2n = 2x = 12) wa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The chromosome numbers of nine taxa were the same as in previous studies; V. angustifolia (2n = 2x = 12), V. cracca (2n = 4x = 24), V. hirsuta (2n = 2x = 14), V. tetrasperma (2n = 2x = 14 + 2B), V. amurensis (2n = 2x = 12), V. chosenensis (2n = 2x = 12, 12 + 2B), V. unijuga (2n = 4x = 24), V. unijuga f. minor (2n = 4x = 24), V. venosa var. cuspidata (2n = 4x = 24). The karyotypes of V. cracca, V. amurensis, V. hirticalycina, V. unijuga, V. unijuga f. minor, V. venosa var. cuspidata were observed as 2 m + 8 sm + 2 st, 2 m + 2 sm + 2 st, 3 m + 1 sm + 2 st, 4 m + 6 sm + 2 st, 4 m + 6 sm + 2 st, 4 m + 8 sm, respectively.

      • KCI등재

        한국산 박주가리아과(광의의 협죽도과)의 화분학적 연구

        남보미,정규영 한국식물분류학회 2015 식물 분류학회지 Vol.45 No.2

        The palynological characters of 14 taxa of 4 genera (Cynanchum, Metaplexis, Tylophora, Marsdenia) in Asclepiadoideae were observed and measured using SM and SEM. The orientation and granulate surface patterns of the pollinia were important characters for delimitating the genera. The position of the attachment of the translator arms to the pollinia,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character for recognizing the above genera, was an overlapping char- acter among the genera and can therefore be utilized only as taxonomy at the species level. Also, we found for the first time that only Tylophora floribunda has an incised margin of the corpusculum. The quantitative characters of the pol- linia, arms and corpusculum were useful keys for the delimitation of the species. 한국산 박주가리아과(Asclepiadoideae)에 속하는 4속(Cynanchum, Marsdenia Metaplexis, Tylophora)의 14분류군을 대상으로 해부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화분학적 형질을 관찰 및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화분괴(pollinia)의 방향, 세립상의 화분괴 표면무늬는 속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로 나타났다. 한편, 기 존에 속 이상의 계급에서 주요 화분학적 형질로 여겨지던 화분괴병(translator-arm)이 붙는 화분괴의 위치는 나도은조롱속(Marsdenia)을 제외하고는 뚜렷이 구분되지 않아 속간 한계를 구분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확 인되었다. 또한 왜박주가리속(Tylophora)의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에서 유일하게 구상체(corpusculum)의 가장자리가 결각상인 것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이외에 화분괴, 화분괴병 및 구상체의 양적 형질 에서 크기가 다양하게 나타나 종간 분류에 유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외부형태 형질에 의한 한국산 백운풀속(Oldenlandia L.)의 분류학적 연구

        남보미,장용석,박명순,엄정애,장용석,정규영 한국식물분류학회 2010 식물 분류학회지 Vol.40 No.3

        한국산 백운풀속(Oldenlandia L.) 5종에 대하여 외부형태 형질을 재검토하고, 이중 25개의 양적 형질에 대한 수리분류를 통하여 분류군간의 한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적 형질에서 잎의 형태, 화서, 화관 내부의 연모, 열매의 상부 팽창, 종자의 형태 등이 분류군 간의 식별형질로 가치가 있었다. 양적 형질의 주성분분석결과, 주성분 1과 주성분 2를 축으로 하는 산포도에서 산방백운풀(O. corymbosa), 탐나풀(O. hirsuta) 및 낚시돌풀(O. strigulosa)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나, 형태적으로 다소 유사한 제주백운풀(O. brachypoda)과 백운풀(O. diffusa)은 다소 겹치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종은 형태적으로도 꽃받침 열편의 형태, 소화경의 길이, 수술대 및 주두의 길이 등의 차이로 뚜렷히 구분되었다. 또한 유집분석에 의해 두 종이 다르게 유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Korean Oldenlandia were reviewed, and numerical analysis of 25 quantitative character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elimitation of the taxa. Among the qualitative characters, the leaf shape, inflorescence, pilose of insde corolla, expansion of capsule apex, and seed shape were used to delimit 5 species of Korean Oldenlandia. As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O. corymbosa, O. hirsuta and O. strigulosa were evidently separated on a two-dimensional plot by PC1 and PC2, and O. brachypoda and O. diffusa slightly overlapped. However, O. brachypoda was distinctly delimited from O. diffusa by the shape of calyx lobe, the lengths of pedicel, filament and stigma. Also each of those two species was in a group of its own by cluster analysis.

      • KCI등재

        장군봉(봉화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남보미,정선,김재영,오병운,정규영 한국자원식물학회 201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Mt. Janggunbong (1,136 m) in Bonghwa-gun, Gyeoungsangbuk-do.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15 times from 2006 to 2015, consisted a total of 462 taxa; 82 families, 279 genera, 397 species, 2 subspecies, 55 varieties, 8 forms. 10 taxa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recorded and 1 taxon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 5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7 taxa of Least Concerned Species (LC),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Furthermore, Ⅳ, Ⅲ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included 8 taxa and 14 taxa, respectively. Based on the usefulness, edible, pasturing, medicinal, ornamental, timber, stain, industrial, fiber and unknown usefulness plants included 352 taxa, 107 taxa, 71 taxa, 18 taxa, 8 taxa, 5 taxa, 3 taxa, 2 taxa and 111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8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 KCI등재

        한국 미기록 식물: 제주백운풀(꼭두서니과)

        남보미,박명순,정규영 한국식물분류학회 2010 식물 분류학회지 Vol.40 No.2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발견된 Oldenlandia brachypoda DC.를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여 보고하고자한다. 본 종은 속 내의 근연종인 백운풀(Oldenlandia diffusa)에 비해 소화경은 짧고, 돌기가 없으며, 엽액에서1−3개의 꽃이 피고, 수술대는 0.5−0.8 mm로 길며, 악편은 삼각형, 성숙시 열매의 상부는 팽창하지 않는 점에서 구분된다. 국명은 자생지가 제주도인 점을 고려하여 ‘제주백운풀’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기재,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n unrecorded species of Oldenlandia brachypoda DC. is newly reported from Seogwipo-si, Jejudo,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Oldenlandia diffusa, the related taxa by the surface and length of the pedicel, the number of flowerd, the shape of the calyx and capsule. The new Korean name ‘je-ju-baeg-un-pul’,was given considering the collect locality. The illustration, description and key of characters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