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독논어(讀論語)」를 통해 본 도의(道義)의 의미 연구

        길태은 ( Gil Tae-eun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3 No.-

        이 연구는 『논어』를 통해 본 도의의 의미를 간재 중심으로 고찰한 글이다. 이에 「독논어」의 주요 견해를 확인해 보고, 간재생애에 있어서 도학적 의리정신과 교학적 자정의 의미를 『논어』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19세기 중반 이후에 활동했던 간재는 외세의 침략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심각한 도전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간재는 「독논어」에서 ‘학이시습’의 ‘학’자를 주석함에 ‘심이성을 배워야 한다.’는 심학성을 바른 학문으로 인식했다. 만일 존심(尊心)으로 해석하면 바로 광자나 방자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하여 심이 도의를 따라야 함을 주장한다. 그렇기에 간재의 문제 의식은 ‘선악을 실행할 수 있는 심이 어떻게 하면 순선한 본성에 근본 할까’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곧 인간의 본성에 근본 하는 윤리실천 주체의 확립을 통해 심이 도의[性理]를 실천하는 것이 선비정신이며 도학정신임을 주장한다. 간재의 교학적 자정의식 속에서 교학과 저술활동은 공자가 제시한 ‘천하에 도가 있으면 나타나 행동하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물러나 숨는다.’는 도의 구현방법에 충실한 것이었다. 이러한 간재의 삶과 경학 태도를 보면 존성을 중시한 도의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살필 수 있는데, 당시 국가사회의 부조리와 왜양의 침탈은 모두 인간의 심기를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간재가 망국이라는 극악의 모순을 목도하며 일제강점의 불합리를 겪어야 했던 시기를 비취어 볼 때 그의 현실대응에 대한 문제의식을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meaning of Taoist righteousness through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center of Ganjae. The study scans the major perspectives in “The Read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讀論語」) and explores The Analects of Confucius for what the Taoist commitment to loyalty and self-purification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meant to Ganjae’s life. Active in his scholarly pursuit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Ganjae harbored a serious commitment to contesting aggressions from foreign forces and their cultures. In commenting on “learn” in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his “The Read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Ganjae viewed Simhakseong (心學性), meaning “the mind should learn the heart,” as the correct type of scholarship. Cautioning that a person who construes the word as “upholding the mind (尊心)” may instantly be turned into a madman or an arrogant person, he insisted that the mind must conform to Taoist righteousness. In Ganjae’s critical mind, the paramount question is “how can a mind that can perform good and evil serve as the foundation of a pure and good nature?” In other words, Ganjae suggests that a mind practicing the Neo-Confucian philosophy on nature and principle creates the gentleman-scholar's spirit as well as the Taoist spirit. The teaching and learning and writing as committed to Ganjae’s self-purification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remained faithful to what Confucius presented as the way to realize the truth when he said, “When right principles of government prevail in the kingdom, he will show himself; when they are prostrated, he will keep concealed” Ganjae’s attitude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obviously grounded in the Taoist righteousness that lay great store on the upholding of the heart, which reflected the scholar’s criticism that the contemporary political and society-wide irregularities as well as the aggressions from Japan and the Western powers all resulted from a failure to shed light on the minds and energy of humans. Paying attention to the time period when Ganjae had to witness an extreme contradiction, the fall of the kingdom, and suffer the irrationality of the Japanese Occupation, one can understand the scholar’s critical mind regarding how to cope with his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