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회자 사모가 신자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대처방식과 기독교 상담적 제언

        남민영,김준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본 연구는 목회자 사모가 신자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대처 경험을 깊 이 탐색하고 기독교 상담에 적용할 수 있는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례의 복잡성과 의미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적합한 연구 방법인 질적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적극적 대처를 하거나 거리를 두고 부정 감정을 숨김, 기억에 담지 않 고 마음을 조절하려 애씀, 하나님을 의뢰하고 주권에 맡김,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돌 파구를 찾으려 함, 타인과의 대화에서 정서적 지지를 구함, 내재된 취약성과 내적 자 원이 스트레스 지각이나 대처에 영향을 줌, 신자를 대하는 여유가 생기고 내적 성장 과 함께 사모로서의 삶에 의미를 부여함’이라는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신자로 인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대처법을 사용했다. 또한 스트레스의 지각과 대처에 내적인 취약성과 자원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해 그것을 극복하고 활용하려 했다. 그 결과로 점차 신자를 대하는 마음 여 유가 생기고 내적으로 성장하며 사모로서의 삶의 의미를 회복해갔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모를 위한 기독교 상담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스트레스의 효과적인 대처 측면에서 목회 열정에 대한 사모 자신의 내적 동기가 무엇 인지 신앙적 관점에서 점검해야 하고 둘째, 완벽주의적인 신념들을 수정해가는 내적 인 대처와 함께 ‘의례적인 태도’와 ‘진심’을 유연하게 관련지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셋째, 사모의 자기 돌봄을 위하여 하나님 앞에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 는 것과 관계적 지지망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사모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상담을 위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은 심각한 문제 를 경험하고 있는 사모들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ping methods for stress that pastors' wives experience in relationships with church members, and to make suggestions that can be applied to Christian counsel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employed fo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the complexity and meaning of the coping methods of four research participants. The analysis of the data resulted in the following categorical themes: active coping or hiding negative emotions at a distance, trying to control the mind without remembering them, trusting God and leaving it to the sovereign God, trying to find various breakthroughs to resolve, emotional support in conversation with others. It is found that these methods were influenced by personal resources and previous mistakes. The participants also tried to overcome inherent vulnerability and weakness. Eventually they recovered the meaning of life as pastor’s wife and gradually became more comfortable with the church members. Based on the results and analysis, the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for pastor’s wives: the motives and belief systems of pastor’s wives need to be explored more to understand internal dynamics of their mind, and caring atmosphere and personal network need to be established. The study suggests that doing these will help accept themselves before God as who they are and to form a relational support network for self-care. Finally the study suggests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more serious mental issues like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for in depth christian counseling the pastor’s wives.

      • 성장기 생쥐 난소와 정소에서 Egr3의 발현

        남민영,신혜진,임현정 한국발생생물학회 2015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5 No.9

        Early growth response(Egr) family는 전사요소로서 Egr1, Egr2, Egr3, Egr4가 알려져 있다. 전사조절 인자로서의 Egr3는 muscle spindle 형성 및 신경 세포에서의 neurite 생성 등 다양한 target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은 Egr3가 생쥐 난자의 방추사에 특이적으로 위치하고, 감수분열 과정 중의 microtubule organizing center(MTOC) 주변에서 관찰되며, 마우스 정소의 spermatocyte에서 발현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식소의 성숙과 Egr3 발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암컷 및 수컷 생쥐의 난소와 정소를 생후 1주, 2주, 3주, 4주에 적출하여 Egr3 RT-PCR 및 면역형광 염색을 수행하였다. RT-PCR 결과, 생후 3, 4주의 난소에서 Egr3의 발현이 미성숙한 1, 2주의 난소에서 보다 더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 2주의 난소에서는 하나의 transcript가 관찰되고 3, 4주의 난소에서는 2개의 transcript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정소의 경우에도 Egr3의 발현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생후 1, 2주의 정소보다 생후 3, 4주의 정소에서 더 높게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면역 형광 염색 결과, 난소에서 Egr3의 발현이 난포 내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cumulus cell과 granulosa cell에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RT-PCR 결과와 마찬가지로 미성숙한 1, 2주의 난소보다 3, 4주의 난소에서 Egr3의 발현이 더 강함을 확인하였다. 정소에서 Egr3의 발현 위치는 주령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암컷 및 수컷 생쥐의 생식소가 성숙함에 따라 생식소 내 Egr3의 발현이 증가함을 보여주며, Egr3가 성적 성숙과 관련된 생식소자극호르몬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인물탐구학습기반 모델링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남민영,이예경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4

        This study develop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a self-identity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Bandura's observational learning theory while incorporating role model exploration methods for teenagers residing at a protection facility. Role Models selected for the modelling program were those who fulfilled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riteria: 1) Models who lead successful lives despite their difficult environments, 2) models who have a clear vision of life, and 3) models who are well known and also respected in society.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26 participants divided into a control (n=13) and experiment group (n=13).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 group, and analysis of the gain scores measured by a self-identity evaluation scale revealed an overall positive change in the self-identity of the experiment group.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lso appeared in 4 (Goal-orientation, Proactiveness, Self-directedness, Intimacy) of the 6 sub-components of the self-identity scale. Content analysis of the worksheets filled out by the experiment group indicated a high number of expressions of self-identity.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role models whom teenagers can easily relate to, reflection and personal interpretation of the role models, and implementation of Bandura's theory of observational learning can contribute to a positive change in self-identity for troubled teenagers. 본 연구는 아동보호치료시설에 있는 비행청소년들을 위해 Bandura의 관찰학습이론과 인물탐구를 통한 모델링 과정을 접목시켜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한 후,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탐구대상이 된 모델들은 1) 비행청소년들과 비슷한 환경에서 성공적 삶을 이룬 모델, 2) 분명한 삶의 목적을 가진 모델, 3)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인지도 높은 모델의 세 가지 기준들을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충족시키는 사람들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 대도시의 아동보호치료시설 입소생 총 26명을 통제집단(n=13)과 실험집단(n=13)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 점수 차이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전반적 자아정체감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 중 목표지향성․주체성․주도성․친밀성의 변화에 있어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실시 중 작성된 실험집단의 활동지 분석을 통해서 주도성을 제외한 하위영역들이 많이 표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행청소년들에게 의미있는 모델 선정, 인물의 특성에 대한 성찰적 사고와 해석, Bandura의 관찰학습 과정의 적용 등의 요인들이 자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보호 회로를 포함한 무선 전력 전송용 ISM 13.56 ㎒ 20 W Class-E 앰프 설계

        남민영(Min-Young Nam),김영식(Young-Sik Kim) 한국전자파학회 201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4 No.6

        본 논문에서는 ISM 13.56 ㎒ 대역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인덕티브 클램핑 class-E 전력증폭기를 설계 및 실험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현된 전력증폭기는 수신 안테나가 회전체에 붙는 경우와 같이 송수신 안테나간의 정합 상태가 변화하는 시스템에서 부정합 상태에서 전력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줄여 트랜지스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인덕티브 클램핑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며, 정합 회로를 이용하여 기존의 class-E 전력증폭기보다 고조파 성분에 대한 Filtering 특성을 개선하였다. 구현된 전력증폭기의 입력 주파수는 13.56 ㎒, 입력 전력 25 ㏈m, 동작 전압 DC 28 V에서 측정한 결과, 출력 전력은 43 ㏈m, 기본 주파수 성분과 2차 고조파 신호 간의 출력 전력 차이 55 ㏈c 이상, 소모 전류 830 ㎃으로 전력부가 효율(power added efficiency)은 85 %로 높게 측정됐다. 마지막으로, 수신 안테나를 회전체에 부착하고 구현된 전력증폭기로 송수신 안테나로 전력을 송출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송신 안테나의 부정합 상태에는 소모 전류가 420 ㎃까지 줄어들어 트랜지스터가 손상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n inductive clamping class-E power amplifier has been test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t ISM band, 13.56 ㎒. The implemented power amplifier is designed to operate stably without destroying power transistor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hich basically keeps not to align between a transmitting antenna and a receiving antenna. The power amplifier is also designed to enhance harmonic filtering characteristic. The amplifier was tested with a DC supply voltage of 28 V and input power of 25 ㏈m at 13.56 ㎒. The test results show the output power level of 43 ㏈m, the difference power level between fundamental frequency and second harmonic frequency of more than 55 ㏈c, the dc current consumption of 830 ㎃, and the high power-added efficiency of 85 %. Finally, the implemented power amplifier operated normally with 830 ㎃ DC current consumption from 28 V source when the two antennas were align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was successful. But when the two antennas were not aligned, its DC current consumption automatically decreased down to 420 ㎃ to protect the switching transistor.

      • KCI등재

        연구논문 : 건강기능식품 여성 방문판매원의 판매과정, 직무교육 요인이 건강기능식품 매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남민영 ( Min Young Nam ),윤선 ( Sun Yoon ),이해영 ( Hae Young Lee ),정혜경 ( Hye Kyung Chu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door-to-door saleswomen. A total of 450 women who worked as door-to-door salespersons in Seoul were enrolle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ive parts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related with door-to-door sales process, task education, competency required for door-to-door salespersons, and customer relationship belief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2011. Finally, data on 302 subjec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17.0 package program. Reason for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p<0.01), time required for sales promotion (p<0.001), difficulties during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p<0.05), satisfaction of task education (p<0.01), and failure of salesperson`s memory as problems of task education (p<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However, means of sales promotion, frequency and time of task education, and competency required for door-to-door salespers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Customer relationship beliefs did no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either. In conclusion, certain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door-to-door saleswomen. These results provide an understanding for sales of door-to-door health functional food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eparation of task educati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saleswomen and marketing.

      • KCI등재

        건강기능식품 여성 방문판매원의 판매과정, 직무교육 요인이 건강기능식품 매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남민영,윤선,이해영,정혜경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door-to-door saleswomen. A total of 450 women who worked as door-to-door salespersons in Seoul were enrolle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ive parts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related with door-to-door sales process, task education, competency required for door-to-door salespersons, and customer relationship belief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2011. Finally, data on 302 subjec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17.0 package program. Reason for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p<0.01), time required for sales promotion (p<0.001), difficulties during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p<0.05), satisfaction of task education (p<0.01), and failure of salesperson's memory as problems of task education (p<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However, means of sales promotion, frequency and time of task education, and competency required for door-to-door salespers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Customer relationship beliefs did no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either. In conclusion, certain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sal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door-to-door saleswomen. These results provide an understanding for sales of door-to-door health functional food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eparation of task educati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saleswomen and marketing.

      • 기수련의 체험 연구

        강석은,남민영,권소현,신주현,이윤신,주진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00 이화간호학회지 Vol.- No.33

        20세기를 뒤돌아볼 때 현대의학은 눈부시게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각종 약물과 치료의 개발이 가속화되어왔다. 그러나 이렇게 막강해 보이던 현대의학은 20세기 말 예상치 못한 불치병과 난치병의 출현으로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다. 이는 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현대의학에 있어 상당한 수준을 갖춘 서구에서도 동양의학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우리 나라에서는 최근 들어 대체의학의 하나인 기수련이 화제가 되고 있다. 병원의 의료행위에 만족하지 못한 대상자들을 비롯해 현대인의 만성적인 질병 및 정신적 취약함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기 수련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중년기의 성인은 노년기로 접어들기 전 몸의 변화를 확연히 느끼는 시기로서 기 수련의 경험을 통해 확연한 변화를 겪고 있어 기 수련의 유경험자 중 그 영향이 눈에 띠게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중년이란 인생의 두 번째 과도기로서 사춘기를 지나 또 한 번 찾아오는 제 2의 사춘기라고도 일컬어진다. 즉, 노년기의 전 단계로서 눈에 띄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겪게 된다. 이와 함께 중년기는 성인병의 이환율 및 사망률이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중년기에 대해 각별한 간호학적 관심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기체험 경험을 총체적으로 묘사하고, 경험 과정이 어떠한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간호중재에 활용하고 전인적인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벤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신경림이 제시한 4단계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4단계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현상학적 반성, 현상학적 글쓰기이다. 현상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물의 현상과 외양의 본질을 발견하는 것이다. 즉, 현상학은 경험의 본질을 기술하고자 할 때 이용하게 된다. 이번 논문에서 현상학을 통한 연구를 하기 위함은 현상학을 통해 인간의 삶을 좀 더 깊이 바라보고자 함이다. 해석학적 현상학은 인간의 고통이나 신체 의식, 병상이나 건강 증진행위 등의 체험적 의미 흑은 특정한 임상적 실행의 경험을 다른 접근법들보다 더 잘 가르쳐 줄 수 있다. 자료수집은 1998년 10월 7일부터 1월 20일 까지 비지시적 비구조적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방법, 메모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기수련 단체의 회원으로서 1년이상 꾸준히 기체험을 한 중년기 성인 7명이었으며, 자료는 기수련 경험과 본 연구자의 체험, 기와 몸에 대한 어원의 추적, 기 수련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관점, 기수련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문헌,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기수련의 체험에 대한 주제묘사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주제는 '나를 괴롭혀 왔던 육신의 덫으로부터의 해방', '한걸음 물러설줄 아는나', '샘솟는 삶의 기쁨(정신적 안정, 밝아짐)', '한곳으로 모아지는 정신력', '새순처럼 북돋아 오르는 기운(몸의 변화)', '육신의 어우러짐'으로 도출되었다. '나를 괴롭혀 왔던 육신의 덫으로부터의 해방'에서 대상자들은 중년기에 흔히 겪을 수 있는 질병을 비롯해 오랫동안 시달려온 만성적 질병이 크게 완화 또는 치유됨을 진술하였으며, '한걸음 물러설줄 아는 나'는 몸의 평안과 함께 너그러움과 관용, 여유를 되찾았음을 의미한다. '샘솟는 삶의 기쁨(정신적 안정 밝아짐)'은 기수련을 체험함으로써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생활이 즐거워졌음을 반영한다. '한 곳으로 모아지는 정신력'은 정신이 맑아지는 느낌을 표현하였으며, 기억력과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을 밝히고 있다. '새순처럼 복돋아 오르는 기운(몸의 변화)'는 기수련을 하면서 기분이 상승되고, 몸 안에서 무엇인가 생동하여 피로가 가시고 활력이 솟아오르게 됨을 나타내고 있다. '육신의 어우러짐'은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몸의 변화에 대한 빠른 적응을 통해 몸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간호연구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기수련 체험에 대해 변화를 서술하고 구조를 파악하였으나 이론 개발에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반복연구를 통해서 이론의 개발 및 관리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참여자의 성별, 기 수련 경험 기간별로 구분하여 경험과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다 다양한 연령별의 경험과점도 비교해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간호 실무 측면에서 볼 때 간호수행시 간호사들은 중년기 성인의 기수련 체험으로부터 도출된 의미를 통해 기수련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이를 임상에 적용하여 전인적인 간호수행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간호 정책적인 측면에서 볼 때 최근 남발하고 있는 기수련 단체 및 그 본래의 의미가 변질된 상업적 기수련 단체에 대한 실태 조사와 함께 새로운 분야로 인정해 동의학적 체계를 세워 기를 이용한 치료의 부작용을 막고, 기 수련의 음성화를 방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대의학과의 접목을 통해 임상간호의 질적발전을 이룰 수 있다.

      • KCI등재

        Expression of Egr3 in mouse gonads and its localization and function in oocytes

        신혜진,설동원,남민영,송행석,이동율,임현정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2017 Animal Bioscience Vol.30 No.6

        Objective: The early growth response (Egr) family consists of four members (Egr1, Egr2, Egr3, and Egr4) that are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s. Among them, Egr3 is involved in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arget genes during muscle spindle formation and neurite outgrowth. We previously showed that the immunoreactive Egr3 is localized on oocyte spindle and accumulate near the microtubule organizing center during meiosis I in mice. Egr3 was also shown to be localized on spermatocytes. We herein investigated if Egr3 is expressed in mouse gonads and if Egr3 blockade results in any defect in oocyte maturation. Methods: Expression of Egr3 in mouse gonads was exa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Full-length Egr3 and truncated Egr3 (ΔEgr3) complementary RNAs (cRNAs) with Xpress tag at N-terminus and DsRed2 at C-terminus, and small interfering RNA (siRNA) targeting Egr3 were microinjected into mouse oocytes at germinal vesicle stage. Localization of microinjected Egr3 was examined by confocal live imaging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Results: Egr3 mRNA was detected in mouse ovaries and testes from 1 to 4 week-old mice. An uncharacterized longer transcript containing 5’untranslated region was also detected in 3 and 4 week-old gonads. Microinjected Xpress-Egr3-DsRed2 or Xpress-ΔEgr3-DsRed2 localized to nuclei and chromosomes during meiotic progression. Microinjection of these cRNAs or Egr3 siRNA in oocytes did not affect meiotic maturation. Immunofluorescence staining of Egr3 in Xpress-ΔEgr3-DsRed2-injected oocytes showed a positive signal only on meiotic spindle, suggesting that this antibody does not detect endogenous or exogenous Egr3 in mouse oocytes.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Egr3 localizes to chromosomes during meiotic progression and that certain antibodies may not faithfully represent localization of target proteins in oocytes. Egr3 seems to be dispensable during oocyte maturation in m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