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인 사회서비스 분야의 복지기술 도입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현장 실무자 초점집단면접조사(FGI)를 중심으로

        남미정(MiJeong Nam),문영임(YoungIm Moon) 한국장애인재단 2023 장애의 재해석 Vol.2023 No.-

        기술의 비약적 발달, 코로나 19 이후 사회서비스 양상 변화, 고령 인구 증가에 다른 복지수요의 양적 확대, 저출산에 기인한 경제활동인구 감소,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재정 악화, 고령층 복지수요의 양적·질적 확대에 따른 복지수요 비용 증가 및 사회서비스 재정 부담 등의 사회환경 속에서 복지기술은 복지서비스의 혁신적 변화 및 비용 효율적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 사회서비스 영역 내 성공적인 복지기술 구현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복지관 중간 관리자급 이상의 종사자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주제분석법을 통해 총 4개의 대범주, 11개의 중범주, 28개의 소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복지기술에 대해 종사자들은 복지기술을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느끼고 있지만, 복지기술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입장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 내 복지기술의 활용과 적용을 위해 실천현장에서 다양한 시도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실무자들의 전문성 부족 및 적용 시 발생하는 애로사항 등으로 인해 복지기술을 활발하게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지기술의 성공적 적용을 위해 현장 욕구가 반영된 기술과 평가체계 구축을 요구하였으며, 그와 함께 실무자와 이용자의 인식 및 역량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 차원의 적정기술 개발·보급, 네트워크 및 플랫폼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장애인 사회서비스 영역 복지기술 도입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Welfare technology enables innovative changes in welfare services and cost-effective services in a social environment such as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changes in social service patterns after COVID-19, quantitative expansion of other welfare demands due to low birth rates, financial deterioration due to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increased welfare demand costs due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welfare demand for the elderly, and financial burden of social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welfare technology and service advancement in the social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 For the result,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five workers at the middle manager level or higher at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a total of 4 major categories, 11 middle range categories, and 28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FGI results are follows, first, social workers who work at welfare center feel that welfare technology is no longer unfamiliar to them, but positive and negative positions coexist on welfare technology. Second, various attempts and efforts are being made at the practice part to utilize and apply welfare technology in the field, but it is difficult to actively utilize welfare technology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of practitioners and difficulties in application. Third,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welfare technology, it was required to establish a technology and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ed practice area’s needs,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nd capabilities of practitioners and users. Fourth,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welfare technology,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appropriate technology at the government level, and to establish a network and platfor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were suggested to advance the introduction of welfare technology in the practical area of social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