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吾妻鏡』에 보이는 ‘武威’의 諸相

        남기학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6

        본고에서는 종래 주목하지 않았던『吾妻鏡』의 ‘武威’에 관한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鎌倉幕府의 지배이념의 하나를 파악하려고 했다.『吾妻鏡』에는 武士의 武勇을 상찬하고 있는 곳이 많다. 그것은 주로 막부에 대한 충성과 奉公을 암묵의 전제로 하여 戰士로서 무용을 떨치는 경우를 가리켰다. 御家人 무사의 무위는 때로는 윤리적․추상적으로 이상화되기도 했다. 그러나 무사 개인의 사사로운 이해관계를 위해 莊園公領制 질서를 어지럽히는 폭력행위는 朝廷과 幕府에 의해 억제되어야 할 부당한 ‘私武威’로 간주되었다.『吾妻鏡』은 領主로서 무사의 私的인 이익이나 개개의 무사 가문의 명예를 위한 무위를 부정하는 한편, 국가(조정)를 수호하는 무위의 公的 역할을 자임하고 또 그것을 강조하고 있었다.『吾妻鏡』이 무사의 무용을 상찬한 것은 무사의 무예가 무사정권의 아이덴티티를 이루는 바탕이었기 때문이다.『吾妻鏡』은 막부가 본질적으로 무력에 입각한 지배권력임을 역설하고 있는데, 이것은 무사정권으로서 막부의 자기 인식 내지 자기 주장의 표출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막부는 조정과 寺社勢力에 대해서 무위를 과시․현양하기도 했다. 나아가『吾妻鏡』은 외국(高麗)에 대해서 무사 및 무사정권의 무위를 현양한 것을 자부심을 가지고 기술하고 있다.『吾妻鏡』에 대해서는 ‘撫民’의 유교적 통치이념에만 주목해 온 경향이 있지만, ‘『吾妻鏡』 다시 읽기’를 통해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吾妻鏡』에는 막부의 北條氏의 정치사상인 ‘무민’과 함께 현실적인 지배의식인 ‘무위’가 투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민’과 ‘무위’는 막부의 지배이념을 지탱한 두 개의 축이었으며,『吾妻鏡』의 핵심 주제도 여기에 있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鎌倉幕府觀의 시대적 변천

        남기학 일본사학회 2014 일본역사연구 Vol.40 No.-

        The essay examines the changes of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about the Kamakura Bakufu in Japanese history. In general, medieval men considered Minamotono Yoritomo, the founder of the Kamakura Bakufu, in a quite favorable manner. For people in the early modern times, Minamotono Yoritomo was none other than ‘the progenitor of military family.’ It was exactly in this early modern times that the view regarding the birth of the Kamakura Bakufu 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history of Japan was firmly established. In the modern time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especially since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historiography, discussions about the Kamakura Bakufu and its founder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ly, as for Minamotono Yoritomo, more emphasis was paid on the historical circumstance around him rather than on his moral sense or his personal character. Secondly, there had been much debate on the issue of whether his loyalty to the Court(imperial family) was sincere or not, and the theory of regarding the founder as ‘loyal to the king’ generally came to gain more influence. Thirdly, the warriors of the eastern provinces came to be considered as a pathfinder to the Japanese medieval times, through an analogy with the feudalism in the middle ages of Europe. From the formation of modern historiography to the postwar 1950s, researchers of the Japanese medieval times figured out warriors as main body of reform who were getting over the royal regime, an ancient kingd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Kamakura Bakufu as the beginning of Japanese medieval feudalism also has its basis in Japanese modern and postwar historiograph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鎌倉時代의 ‘武威’에 관한 논의에 붙여서 ―鎌倉時代 ‘武威’論의 현황과 쟁점

        남기학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8 No.-

        이 글은 鎌倉時代의 ‘武威’에 관한 논의를 정치의식과 국가의식의 측면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鎌倉幕府를 東國國家(王權)로서 간주하는 시각과 국가를 守護하는 軍事權門으로 이해하는 시각에 따라 정치의식으로서 ‘武威’에 대한 평가가 다르다. 전자가 지역의 자립성을 주목한다면, 후자는 왕조국가로부터의 위임을 강조한다. 한편, 군사권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동국의 武士政權으로서 일정한 자립성과 독자성을 가진 권력으로서 막부의 ‘무위’를 파악하는 절충적인 이해도 있다. 鎌倉時代의 ‘무위’에 대해서 近世의 ‘무위’와의 격절을 강조하는 시각과 양자의 연결을 찾으려는 시각이 있다. 전자는 鎌倉時代의 국가의식을 ‘神國’의식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무위’를 낮게 평가하는 반면, 후자는 ‘무위’를 국가의식으로 적극 평가하고 ‘신국’과 ‘무위’의 결부를 주목하고 있다. 여기에는 鎌倉時代 무사와 무사정권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차가 가로놓여 있다.

      • KCI등재

        일본 사학사에서 신황정통기의 위치

        남기학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3 No.-

        I tried in this article to reveal the special character of Jinnōshōtōki as a historical book and to establish its position clearly in the history of Japanese historiography. I looked at its nature especially as compared with Gukanshō. Jinnōshōtōki and Gukanshō had appeared in the midst of a newly rising trend of Japanese historiography after the 11th century. Breaking away from the ancient convention of historiography in Chinese style of writing, these books not only provide a concret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Japan in Kana but also suggest their own interpretation and critical perspective. Although both are based on chronology, Gukanshō incorporates the chronology into its overall unique system while Jinnōshōtōki depends entirely upon its chronological narrative form. Gukanshō leaves out the description of the Age of God as it regards its existence as self-evident, but Jinnōshōtōki gives the Age of God profound significance as the origin of Japanese history, and describes it with great care accordingly. Kitabatake Chikafusa tried to show the principles that could encompass both the Age of God and the Age of Human Emperors, aiming ultimately at absolutizing and mystifying the legitimacy and authority of the Southern dynasty. The two books also differ in their historical awareness. Jinnōshōtōki expresses optimistic confidence in the future in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overcome the current chaotic state and to restore the original correct state, even though Chikafusa considered his age as ‘the end of the world’. It is in stark contrast to Gukanshō, which accepts the contemporary situation as a given, so gropes for a realistic alternative. Furthermore, Jinnōshōtōki criticizes actual politics and looks at history based on a specific political ideology of Confucianism. It is quite far in attitude from Gukanshō, which seeks its guidance from empirical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Of course, it should be noted that, in Jinnōshōtōki, the Confucian ideology gets settled very firmly in the Shito system. Though placing emphasis on moral responsibility and also considering human moral behavior as very important, Chikafusa thought that such moral demand itself is ‘divine will’ and human history unfolds itself according to this mysterious ‘divine will’. 이 글에서는 신황정통기(神皇正統記)의 사서로서의 성격을 규명하고 일본 사학사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위치를 정확히 자리매김하려고 했다. 특히 우관초(愚管抄)와의 비교를 염두에 두면서 정통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정통기는 우관초와 더불어 11세기 이후 일본 사학사의 새로운 흐름 속에서 탄생하였다. 두 사서는 고대 이래 한문체의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일본어 가나로 일본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서 독자적인 해석과 비판을 전개하고 있는 사론서이다. 정통기와 우관초는 모두 연대기를 기초로 하지만, 우관초가 전체적으로 독특한 체제 속에 연대기를 자리매김하고 있는 반면, 정통기는 연대기적 서술형식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우관초는 그 존재를 자명한 것으로 여기고 신대(神代)의 기술을 생략했지만, 정통기는 신대에 일본 역사의 근원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고 심혈을 기울여 기술하고 있다. 기타바타케 지카후사(北畠親房)는 신대와 인황(人皇)의 시대에 통하는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남조(南朝)의 정통성과 권위를 절대화․신비화하려고 했던 것이다. 두 사서의 차이는 역사의식에서도 나타난다. 정통기는 지카후사 자신이 살던 시대를 ‘말세’로 인식하고 있지만, ‘말세’인 현재의 혼란한 세상을 극복하여 본래의 올바른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확신을 피력하고 있다. 우관초가 그것을 일단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정통기는 유교라는 특정한 정치이념에 입각해서 현실의 정치를 비판하고 역사를 바라보고 있다. 역사사실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통해 지침을 구하려고 하는 우관초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다만 정통기에서는 유교이념이 신도(神道) 사상과 결합된 형태로 신도적 체계 안에서 수용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지카후사는 도덕적 책임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역사에서 인간의 도덕행위를 중시하고 있지만, 그러한 도덕적 요구 자체가 ‘신의 뜻’이라고 보고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인간의 역사 자체가 불가사의한 ‘신의 뜻’에 따라 전개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