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이 타이밍과주의력,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남궁영,손다인,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5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3 No.2

        Objective : To report the effects of a specific intervention, the Interactive Metronome® (IM), on timing, attention and motor function of a children with ADHD. Methods : The study is case reports about two boys with ADHD. One boy who is born 2008 is attending general elementary school as a first year student (case 1), and another boy who is born 2001 is attending general elementary school as a second year student (case 2). For each case subject, IM training was provided during 3 weeks, from January 2015 to Febrary 2015. Evaluations were performed pre- and post-intervention in order to exam timing, attention and motor skills. The measurements uses in this study are Long Form Assessment (LFA) for the timing, RehaCom screening module for the attention, and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rot Proficiency, second version (BOT-2) for the motor function. Results : The timing function was improved in both cases since both showed reduced response time for all motor tasks of LFA. In terms of attention, case 1 showed improvement of visual attention division, neglect and response Inhibition, and case 2 showed improvement of sustained attention. Lastly, in the BOT-2, case 1 showed improved the percentile rank of short (from 42%ile to 96%ile), and case 2 also showed similar improvement (from 21%ile to 66%ile).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s positive evidence that the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has positive power to facilitate several body functions such as timing, attention and motor control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two case studies. 목적 : Interactive Metronome(IM) 훈련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타이밍과 주의력 그리고 운동기능에 미치는영향을 사례보고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진단을 받은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2008년생 남아(사례1)와 일반중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2001년생 남아(사례2)를 대상으로 2015년 1월 12일부터 2월 6일까지 4주간 IM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M Pro 9.0을 이용하여 타이밍 향상을 위한 중재로 사용하였다. 총 3주간, 주 5회, 총 15회기, 회기 당 50-60분간 적용하였다. 또한 IM 훈련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후에 타이밍, 주의력, 운동기능을 평가하였는데 평가 도구로는 타이밍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IM의 Long Form Assessment(LFA) 를 사용하였다.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해 Rhehacom 판별 검사(RehaCom screening module)를 사용하였고, 운동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판(BOT-2)를 사용하였다. 결과 : LFA의 타이밍 능력의 평가 결과는 사례 아동 모두에서 전체 운동과제의 평균 반응 속도가 감소되어 타이밍기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의력은 사례1 아동에서 시각적 분리 주의력(visual attention division), 편측무시(neglect) 그리고 충동 조절(response inhibition) 기능이 향상되었고. 사례2 아동에서는 지속적 주의력(sustained attention) 기능이 향상되었다. 운동기능은 BOT-2 단축폼(short form)의 백분위(%ile Rank)가 사례1 아동은 42%ile에서 96%ile로 향상되었고, 사례2 아동은 21%ile에서 66%ile로 향상되었다. 두 사례 아동 모두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항목과 상지 협응(upper-limb coordination)항목의 등가연령이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사례보고는 IM 훈련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타이밍, 주의력, 운동기능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편마비 환자의 손목 관절 고유수용감각 훈련에 있어 ‘결과 지식’피드백의 효과

        남궁영,정보인,조상현,허혜경 대한작업치료학회 200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nowledge of results’ on wrist proprioceptive training in three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who had no unilateral spatial neglect on MVPT and had adequate cognition on MMSE-K. A single subject design with multiple baseline across individuals was employed. Each subject participated daily in the 10-15 minutes' wrist proprioceptive training for the affected wrist with ‘knowledge of results’ which informed the subjects of their wrist position verbally or visually as feedback. The proprioception was measured as averag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correct responses on the wrist proprioceptive test in the affected side using apparatus of researcher’s own design and SoloSystem.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baseline, immediately, and 30 minutes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7.20(36.00%), S2 7.25(36.25%), and S3 10.58(52.92%) respectively. 2.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14.07(69.67%), S2 12.83(64.17%), and S3 15.63 (78.13%) respectively. 3. Thirty minutes after the training,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15.53(77.67%), S2 14.25(71.25%), S3 6.38(81.88%) respectively. 4. All the three subjects showed more correct responses in wrist proprioceptive tests at wrist flexion 60°and extension 60°during both the baseline and the training period. They also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of correct response at neutral wrist posi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knowledge of result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wrist proprioception of affected wrists in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Effect of such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aspect of stroke-affected upper extremity remains to be evaluated in the later study.

      • KCI등재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 개발 연구

        남궁영,김경미,김미선,이지영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7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 and was to confirm a competency model through validation. Methods :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expert opening survey, and expert focus meeting to draw up draft competency model. And then, we carried out Delphi survey twice and consulted an expert to confirm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 Results :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tructured into 4 competency cluster, 15 competency, 60 competency indicators. 4 competency clusters had expertise, professionalism, interpersonal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 The competency model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critical data to foster development of competency based curriculum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KASI).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수준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 개방형 설문조사,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역량군, 역량, 행동지표의 체계를 가진 감각통합중재를위한 역량모델 초안을 작성하였고, 2차의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받아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결과 : 총 4개 역량군, 15개 역량, 60개 행동지표로 구성된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전문성 역량군’에는 5개의 역량(작업치료 일반 지식, 감각통합중재이론 지식, 평가 기술, 분석 기술, 중재 기술)과31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전문가 의식 역량군’에는 4개의 역량(전문성 고취, 교육, 윤리 의식, 정책적 관심)과13개의 행동 지표가 포함되었다. ‘대인 관계 역량군’에는 2개의 역량(의사소통, 협력)과 6개의 행동지표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 역량군’에는 4개의 역량(자기 확신, 자기 성찰, 자기 관리, 긍정적 태도)과 10개의 행동 지표가포함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의 한 영역인 감각통합중재를 위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는데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의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